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자아분화를 매개로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perceived family strength on outlook on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mediated by self-differentiation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 건강성, 자아분화, 결혼관의 관계를 살펴보고, 가족건강성과 결혼관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제주도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결혼관, 자아분화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제주도 대학생들이 자아분화가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
결혼관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도 4개의 대학에 대학생 350명을 비례유층표집하여 2015년 10월 3일부터 17일까지 14일간 자료 수집하였다.

연구의 측정 도구는 가족건강성을 위해서 유영주,이인수,김순기,최희진(2013)
한국형 가족 건강성 척도(총22문항, 5점 Likert)를, 자아분화 측정은 서루비(2013)
대학생용 자기분화 척도(총36문항, 5점 Likert)를, 그리고 결혼관은 정윤경,김경희,
배진아,김찬아(1997) 결혼관 척도(총30문항, 5점 Likert)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for Windows 18.0에 의해서 빈도 분석, 상관분석,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건강성, 자아분화, 결혼관은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가족건강성은 결혼관에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자아분화는 결혼관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가족건강성과 자아분화는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가족건강성이 결혼관에 정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자아분화가 부분 매개하여 긍정적인 결혼관을 높이는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을 나타났다. 또한, 자아분화의 하위 요인 중 '자기주장', '정서적 거리두기'는 유의한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대학생의 가족건강성이 결혼관에 정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경로에서 자아분화가 부분 매개하여 긍정적인 결혼관을 높이는 간접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 결과가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아분화 증진을 통해 긍정적인 결혼관을 높이는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하는 실제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family strength, self-differentiation, and outlook on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and verify the effect of perceived family strength on outlook on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mediated. For this, this study set up subjects for inquiry as follows;

First subject for inquiry, do family strength and self-differentiation, outlook on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subject for inquiry, do the sub factors of family strength and self- differentiation, outlook on marriage of university student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chool adaptation?

To solve above subjects for inquiry, 350 students of 4 university schools of Jeju-do Self-Governing Province were proportionate stratified in sampling, so date was collected during 14 days from October 3, 2016 to October 17, 2016.

The measuring tools of the study were 'korea family strengths scale' of Yoo, Youngju, Lee, Insoo, Kim, Sunki, Choi, Heejin(2013) to measure family strength, 'self Differentiation scale for university stuednt' of Seo, Ruby(2013) to measure self differentiation, and the 'outlook on marriage scale' of Jeong, Yoonkyung, Kim Kyunghee, Bea, Jina, Kim, Chana(1997) to measure outlook on marriage.

The study utilized 'SPSS for Windows 18.0' for analysis, and used such
statistical methods as correlation analysis, and mediating effect analysi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family strength, self-differentiation and outlook on marriag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Family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utlook on marriage. In addition, self-differentiation indicated positive correlation with outlook on marriage. And family strength and self-Differentiation illustrated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 that family strength had direct influence in the positive direction on outlook on marriage, self-differentiation had indirect influence to enhance outlook on marriage by mediating partly. In addition, 'self-assertiveness', 'emotional regulation' of self-differentiation, had partial medi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above study results, family strength of university students had indirect effect to enhance outlook on marriage as self-differentiation mediated partly in the route to have direct influence on outlook on marriage in the positive direction. Thu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results will be used as base date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to enhance outlook on marriage through improving self-differentiation among university students.
Author(s)
임수빈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43
Alternative Author(s)
Lim, Su-Bi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8
1. 가족건강성 8
2. 자아분화 15
3. 결혼관 23
4. 가족건강성, 자아분화, 결혼관의 관계 27
5. 가설 및 연구모형 31
Ⅲ. 연구방법 33
1. 연구대상 33
2. 연구도구 35
3. 자료처리 및 분석 3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8
1. 측정 변인들의 기술통계 평균 및 표준편차 38
2. 가족건강성, 자아분화, 결혼관의 상관관계 40
3. 가족건강성과 결혼관의 관계에서 자아분화의 매개효과 42
Ⅴ. 논의 및 결론 49
참고문헌 57
Abstract 68
부록목차 7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임수빈. (2016). 대학생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자아분화를 매개로 결혼관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