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학생상담사들의 학교상담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of Student Counselors in Jeju: A Grounded Theory based approach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 학생상담사의 학교상담경험을 살펴보고 이해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학생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가? 셋째, 제주도 학생상담사들은 학교 조직을 비롯한 외부 환경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주도 학생상담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한 10명을 모집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 연구방법 중 하나인 근거이론 접근방법의 주요 절차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코딩 과정을 거쳐 면담 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103개의 개념, 4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7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범주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축코딩 결과 인과적 조건은 '채용 배경', '있는 듯 없는 듯한 위클래스'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이 경험하는 중심현상은 '주변인'이며 이러한 중심 현상에 대처하는 방식인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변화 모색', '학생상담사로 일하는 의미를 발견함', '존재감 구축', '소통', '신분의 한계 인식'이었다. 현상에 영향을 미치면서 동시에 패러다임 전체의 배경이 되는 맥락적 조건은 '상담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학교시스템과 상담의 부조화', '상담에 대한 자신감 부족' 이었고 작용/상호작용 전략을 억제하거나 촉진하는 중재적 조건은 '동기화', '한계 체험', '상담공부 전후의 변화', '삶의 경험이 상담 자원이 됨'이었다. 마지막으로 이에 따른 결과는 '신뢰받는 체험'과 '현실 만족'으로 드러났다.
범주들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결 짓는 과정분석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의 학교상담 경험을 살펴본 결과 탐색 및 적응단계, 자기인식단계, 동기의 내면화 단계, 그리고 구축단계의 4단계로 정리되었다.
분석의 마지막 단계인 선택코딩에서 학생상담사의 학교상담경험에서 드러난 핵심범주는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로 드러났다. 이 핵심 범주를 반영하는 연구 참여자들의 진술에 따라 두 가지 방식의 이야기 전개를 서술하였고 핵심범주와 관련된 가설을 토대로 학생상담사의 학교상담 경험 유형을 '변화지향형', '수용지향형', '현실안주형'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중심현상인 '주변인'과 핵심 범주인 '변화와 성장에 대한 목마름으로 희망을 갖고 투신하기'에 대한 의미와 시사점을 선행 연구를 토대로 논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또 다른 학교상담자 그룹인 학생상담사의 경험을 깊이 있게 들여다봄으로써, 학교상담에 대한 전체적인 안목을 강화하였고 현재 우리 나라 학교상담의 전반적인 인식과 흐름을 확인하였으며, 학생상담사들의 학교생활 전반과 그들의 삶을 정리하여 전체적인 지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는 제주도 학생상담사를 둘러싼 제도 및 조직 이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제도의 개선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는 '학교상담'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향후 학교상담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of student counselors in Jeju.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 'What are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of student counselors?', 'What is the meaning of experiences?', and 'How do student counselors interact with their circumstances?'
To explore these questions, this study has adopted Strauss & Corbin's(1998) grounded theory and has collected dat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10 student counselors.
Using grounded theory, this study ha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and has resulted in 103 concepts, 45 sub-categories, and 17 categories. It has found that the key experience of student counselors is identified as 'the marginalized'. A paradigm model was proposed as follows: The casual conditions for 'the marginalized' are 'Employment background' and 'Wee class which does not seem to exist'. The contextual conditions related to 'The marginalized' are 'Negative perception about counseling', 'Incongruity between counseling and system at school', and 'Counselor's lack of confidence'. The intervening conditions are 'Motivations', 'Limit experiences', 'Changes before and after studying counseling' and 'The life experiences as a counseling resource'. Action and interaction strategies are 'Seeking change', 'Finding meanings as a school counselor', 'Establishing the presence of a school counselor at school', 'Communications', and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their status'. The results are either 'Experience of being trusted' or 'Complacence'.
The core category in the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of student counselors is 'The hopeful commitment with craving for growth and change'. Participants have passed through the four stages with time in their school counseling experiences: the stage of searching and adjustment, that of self-recognition, that of the internalization of motivation, and that of settlement.
Hypothetical statement were generat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ore category and context condition, thus three types were derived as follows: change-oriented, acceptance-oriented,, and complacen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Author(s)
안혜정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46
Alternative Author(s)
An, Hye-Jung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5
1. 학교상담 5
가. 학교상담의 개념 5
나. 학교상담의 역사 7
다. 학교상담자 9
라. 전문상담사의 역할 및 업무 11
마. 학생상담사 12
2. Wee 프로젝트 13
가. 추진 배경 13
나. Wee 프로젝트 구축 및 운영 현황 13
Ⅲ. 연구 방법 15
1. 근거이론 방법 15
2. 연구참여자 18
가. 연구참여자 선정 18
나. 연구참여자 특성 19
3. 자료 수집 21
4. 자료 분석 21
가. 개방코딩 22
나. 축코딩 22
다. 선택코딩 23
라. 분석전략 24
마. 연구의 신뢰가능성 및 타당성 평가 25
Ⅳ. 연구 결과 27
1. 제주도 학생상담사의 학교상담경험 범주화 결과 27
2. 패러다임 모형에 의한 범주 분석 97
가. 인과적 조건 97
나. 중심현상 98
다. 맥락적 조건 99
라. 중재적 조건 100
마. 작용/상호작용 전략 100
바. 결과 101
3. 과정분석 104
가. 탐색 및 적응단계 104
나. 자기 인식단계 106
다. 동기의 내면화단계 107
라. 구축단계 108
4. 핵심범주 109
5. 이야기 전개 113
6. 가설적 정형화 및 관계 진술 118
가. 가설적 정형화 118
나. 가설적 관계 진술 121
7. 유형분석 123
가. 변화지향형 123
나. 수용지향형 126
다. 현실안주형 128
Ⅴ. 논의 130
1. 중심현상에 대한 논의 130
2. 핵심범주에 대한 논의 133
3. 연구의 의의 및 제언 136
참고문헌 138
ABSTRACT 142
부록 144
연구참여동의서 144
연구 결과에 대한 연구 참여자의 피드백 14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안혜정. (2016). 제주도 학생상담사들의 학교상담경험에 대한 근거이론적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