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밥상머리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implementation of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Abstract
본 연구는 밥상머리교육의 실시 여부가 중학교 청소년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밥상머리에서 웃어른으로 부터 배우는 예절교육이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밥상머리교육 실시여부에 따라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밥상머리교육을 받는 학생의 경우 가족과 대화하며 식사한 기간과 식사횟수, 식사시간에 따라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밥상머리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라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밥상머리에서 예절교육을 받는 빈도에 따라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도내 공립 중학교 4개 학교 350명을 임의 표집하여 자기 기입식 질문지 조사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2015년 10월 12일부터 10월 16일까지 5일간 연구자가 직접 해당 학교를 방문하여 설문지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설문지를 수거하는 절차로 진행하였다.

연구의 측정도구는 밥상머리교육 척도는 김숙경(2014)이 개발하여 사용한 설문지와 이정선(2009)이 사용한 문항 및 연구자가 개발한 밥상머리에서의 예절교육 내용에 관한 문항(총 14문항, 5점 Likert 방식)을 종합하여 사용하였고, 학교부적응 척도는 박정미(1984), 이상필(1990), 전용태(1992) 등이 사용한 설문지를 김혜영(2014)이 학교부적응 요인을 4개의 영역(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생활관계, 학교규칙준수 관계)으로 나누어 사용한 척도(총 24문항, 5점 Likert 방식)를 사용하였다. 청소년 비행 진단척도는 전영실(2001)과 정귀화(2001)가 사용한 비행요인을 함께 구성한 경미현(2013)의 진단척도(총 33문항, 5점 Likert 방식)를 사용하였으며, 4개의 하위요인(도피비행, 폭력비행, 재산비행, 성비행)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0.0에 의해 빈도분석 등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t-검증, F-검증, 일원분산분석 및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밥상머리교육 실시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의 차이분석에서는 밥상머리교육 실시 여부가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 전체 및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밥상머리교육을 받는 학생이 받지 않는 학생보다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밥상머리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의 경우 가족과 함께한 식사 기간, 식사횟수, 식사시간에 따른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분석결과 학교부적응에 대한 차이는 식사한 기간에 따라 교사관계영역과 학교규칙준수관계영역에서, 식사횟수에 따라 교사관계영역, 학습활동관계영역, 학교규칙준수관계영역에서, 식사 시간에 따라 학습활동관계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행 행동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는 식사한 기간에 따라 도피비행과 폭력비행에서, 식사횟수에 따라 도피비행과 성비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분석 결과 식사기간에 따라서는 '1년 이상-3년 미만'인 집단은 '7년 이상'인 집단보다 도피비행과 폭력비행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식사횟수는 '주 1회'인 집단은 '주 4회'인 집단보다 도피비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주 2회'인 집단은 '주 5회 이상'인 집단보다 성비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과 함께하는 가족식사에 대한 인식정도에 따른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가족과 함께하는 가족식사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정도가 높은 집단이 긍정적인 인식정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서 학교부적응 수준과 청소년비행 수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밥상머리에서 예절교육을 받는 빈도에 따라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밥상머리 예절교육의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학교부적응 전체 및 4개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학교부적응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청소년비행의 경우에도 밥상머리 예절교육의 빈도가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비행 행동의 전체 및 하위요인 중 도피비행, 폭력비행, 성비행에서 비행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밥상머리교육이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과 상관관계가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향후 청소년들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 행동을 예방하고 올바른 인성관을 심어줄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밥상머리에서의 예절교육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여 가정에서의 밥상머리교육 프로그램을 짜고 교육을 실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연구의 대상이 제주지역 중학교 학생으로만 한정 되어 있어서 향후 연구자들은 연구범위를 지역별로, 학교급별로 확대하여 연구함으로서 학교폭력 등 청소년 비행 예방을 위한 가정에서의 인성교육이 저 연령 때부터 바르게 정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밥상머리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킬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whether implementation of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brings meaningful difference to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explore the difference caused by the courtesy education learned from seniors in family to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the following research agendas were established.
Research agenda 1. Whether implementation of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brings meaningful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agenda 2. In case of students with opportunity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do the period of dining and conversation with family, number and duration and time of dining occasion brings meaningful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agenda 3. Does the level of recognition on the family dining with family members bring meaningful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Research agenda 4. Does the frequency of courtesy lesson in family brings meaningful difference to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resolve the above research agendas, a survey was implemented by self input questionnaires method by sampling 350 students in 4 public middle schools in Jeju Island. During 5 days from Oct 12 to Oct 16 2015, the researcher visited the schools to explain on the questionnaires and collecting the responses.

As for the measurement tool for this study, the measure of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was used as the combination of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and used by Kim Sook Kyung(2014), the questions used by Lee Jung Sun(2009) as well as the questions on in family courtesy education developed by the researcher (14 questions in total, 5 score Likert method). As the measurement tool for maladjustment to school, the survey used by Park Jung Mi (1984), Lee Sang Pil et al.(1991), Chun yong Che(1992) etc. divided by Kim Hye Young(2014) in four categories of factors of maladjustment to school (relationship with teacher,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 with school life, relation with observation of school regulations)( 24 questions in total, 5score Likert method) was used. As the diagnosis measurement for youth delinquency , the diagnosis measure by Kyung Mi Hyun (2013)(33questions in total, 5 score Likert method)which combined the factor of delinquency used by Chun Young Sil (2001) and Chung Kwi Hwa(2001) together as 4 sub factors (escape delinquencyd, violence delinquency, property delinquency, sexual delinquency) in composition.

For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such a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 F-verification, one way anova analysis and ex post verific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by SPSS 20.0.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onten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rom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whether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is given or not, whether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was given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both total factors and sub factors of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by middle school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the students with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showed meaningfully low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than those without such education.
Secondly,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according to the period of dining with family, number and frequency of such dining out of the students with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the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at the area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the area of observation of school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period of such dining. The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in the area of relationship with teacher, area of relationship with learning activities, area of observation of school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number of dining. Also meaningful difference appeared at the area of relationship with 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dining time.
The analysis result on the difference in delinquency behavior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escape delinquency and violence delinquency according to the period of dining, and in sex delinquency according to number of dining. According to ex post analysis result, no difference appeared between groups according to dining period. But the group with number of dining at twice per week showed higher sex delinquency level than the group with more than 5 times per week. The analysis of difference in dining time did not show meaningful difference.
Thirdly,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recognition on the family dining with family members, the group with positive recognition on the family dining with family members showed lower level in both of maladjustment to school and youth delinquency in comparison with the group with low positive recognition level.
Fourth, the analysis result on the difference in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by middle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taking in family courtesy education, the group with frequent in family courtesy education showed lower level of maladjustment to school than the group with less frequent education in all four sub factors of maladjustment to school. In case of youth delinquency, the group with frequent in family courtesy education showed lower level of delinquency than the group with less frequent education in escape delinquency, violence delinquency, sex delinquency out of all four sub factors of delinquency behaviors.
These results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ly, the existence of correlation between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and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was verified. Based on this, future alternatives can be presented to prevent maladjustment to school and delinquency behavior of youth, and provide proper view on one's life.
Secondly, this study would provide the basic material to design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program within the family and practice education, by analysis on the contents of courtesy education within the family.

Thirdly, the scope of study was limi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region only. So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bring about the interest on the importance of in family education at the dinner table, so that future researchers may expand the scope of their study out to other regions, school classes so that the personality education within family can be established from the low age and youth delinquency such as school violence would be prevented.
Author(s)
장우순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48
Alternative Author(s)
Jang, Woo Soo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7
3. 용어의 정의 8

Ⅱ. 이론적 배경 11
1. 밥상머리교육 11
1) 밥상머리교육의 의의 11
2) 밥상머리교육의 사례 12
2. 학교부적응 16
1) 학교부적응의 개념 16
2) 학교부적응의 유형 19
3) 학교부적응의 원인 21
3. 청소년 비행 24
1) 청소년 비행의 개념 24
2) 청소년 비행의 유형 26
3) 청소년 비행의 원인 28

Ⅲ. 연구방법 31
1. 연구대상 31
2. 연구절차 32
3. 연구도구 33
4. 자료처리 및 분석 3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8
1. 밥상머리교육, 학교부적응, 비행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38
2. 밥상머리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 40
3. 가족식사의 기간, 횟수, 시간에 따른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 45
4. 가족식사의 인식에 따른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 55
5. 밥상머리 예절교육 빈도에 따른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 59

Ⅴ. 논의 및 결론 66
1. 논의 67
2. 결론 71

참고문헌 73
Abstract 80
부 록 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우순. (2016). 밥상머리교육 실시 여부에 따른 중학생의 학교부적응 및 비행행동의 차이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