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ilience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조건적 자기수용, 회복탄력성, 정서인
식의 관계를 살펴보고,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
다.
연구문제.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2개의 4년제
대학과 2개의 2년제 전문대학, 총 4개 대학교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총
재학생수는 19,315명으로 설문지 500부를 각 대학 재학생수에 비례하여 배포, 임
의표집 설문을 실시하였다. 2016년 3월 1일부터 2016년 3월 20일까지 20일간 자
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500부 중 470부가 회수되어 94%의 회수율을
보였고, 문항에 대한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36부를 제외한 434명의 자료
가 최종분석에 사용하여 자료 유효율은 86.8%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Chamberlain과 Haaga(2001)가 제작‧수정을 거
친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를 추미례와 이영순(2014)이 타당화한 한국판 무조건
적 자기수용 척도, Reivich와 Shattė(2003)의 척도를 우리나라 문화를 고려해 수
정‧보완한 김주환(2011)의 한국형 회복탄력성 지수(KRQ-53), 정서적 지능의 하
위 요인들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Trait Meta-Mood Scale(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 1995)를 이수정, 이훈구(1997)에 의해 번안과 타당화
한 한국판 특질 상위-기분 척도(TMM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dows 18.0에 의해 전반적인 자료의 특성을 알아
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여 자료의 이상치, 정규성을 검토하여 각 변인
별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각 변인별 신뢰도 검증을 위해서
Cronbach's ⍺값을 검토하였으며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상관분석
을 하였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분
석을 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조건적 자기수용, 회복탄력성, 정서인식의 관계에서 변인 간에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무조건적 자기 수용이 높을수록 회복
탄력성이 높고,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높을수록 정서인식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
다.
둘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이 회복탄력성에 정적인 방향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끼
치는 경로에서 정서인식이 부분 매개하여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간접 효과를 보
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인식의 하위 차원인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기대도 모두 부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대학생의 긍정적 대처기제인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개입 요인으로서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따라서 대
학생의 회복탄력성 증진을 위한 상담현장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근거로
무조건적 자기수용 경험과 정서자각을 통한 개입이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targeting on college students of Jeju, aimed to have a look at
the relation amo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resilience, and emotion
recogni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ilience. For this study, research
problems were arranged as the following:
1. Does the emotion recogni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between college
student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ilience?
To examine th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sampled enrolled
students at four college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se four
colleges are composed of two universities(4-year-course college) and two
junior colleges. The entire number of enrolled students was 19,315, and 500
questionnaires were randomly distributed to the four colleges in portion to
each of their enrolled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ch 1st to 20th,
in 2016. Among 500 questionnaires, 47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with
94% of collect rate. However, total 434 answers, which exclude 36 insincere
or containing omitted answers to question,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with 86.8% of effective rate.
The measurement tools used for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Korea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Questionnaire validated by Rye Me
Chu and Young Soon Lee in 2014, which is derived from USAQ developed
and edited by Chamberlain and Haaga in 2001, (2)Korean Resilience
Quotient(KRQ-53), which Ju Hwan Kim improved in 2011 with consideration
of Korean culture from Revich and Shatte's RQ(2003), and (3)Korean Trait
Meta-Meed Scale adapted and validated by Soo Jung Lee and Hoon Koo Lee
in 1997 from TMMS, which was designed to measure sub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 1995).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SS for Window 18.0.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are calculated, examining outlier,
and normality of data by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to examin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data. In addition, Cronbach's α was executed to verify
reliability of each variabl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relations among variables. Lastly, after analys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 recognition betwee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resilience,
Sobel Test was executed.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in the relations among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resilience,
and emotion recognition, there exis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It implied a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s higher, the resilience
is higher; as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s higher, emotion recognition is
higher. Second, in the process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giving a direct
effect to resilience in a positive way, emotion recognition partly mediated in
raising resilience as a indirect effect. Also, sub factors of emotion recognition,
such as clear awareness of emotion, caution for emotion, and emotion
expectation, all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and emotion recognition as mediating factors in raising college
students' resilience which is their positive reacting mechanism.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vention through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experience and emotion recognition are used as a foundation to develop
counseling field and education programs, to raise college students' resilience.
Author(s)
한명희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49
Alternative Author(s)
Han, Myeong Hui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용어의 정의 6
가. 대학생 6
나. 무조건적 자기수용 7
다. 정서인식 7
라. 회복탄력성 7
Ⅱ. 이론적 배경 9
1. 무조건적 자기수용 9
가. 수용 및 자기수용 9
나. 무조건적 자기수용 10
2. 정서인식 11
가. 정서 11
나. 정서지능의 기본개념과 정서인식 13
3. 회복탄력성 16
가. 회복탄력성 16
나. 회복탄력성 구성요소 18
4. 선행연구 20
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20
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정서인식의 관계 20
다. 정서인식과 회복탄력성의 관계 21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22
2. 측정도구 23
가. 무조건적 자기수용 척도 23
나. 정서인식 척도 25
다. 회복탄력성 척도 26
3. 자료분석 27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0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 30
2.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 31
3.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과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32
가.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32
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하위요인 명확한 정서인식 매개효과 35
다.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하위요인 정서에 대한 주의 매개효과 37
라.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하위요인 정서기대 매개효과 39
Ⅴ. 논의 및 결론 42
참고문헌 47
Abstract 63
부록(설문지)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한명희. (2016). 대학생의 무조건적 자기수용과 회복탄력성의 관계에서 정서인식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