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on the academic stress: Focus on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bstract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에 따른 남‧여학생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는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 2.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여학생의 차이는 어떠한가?
2-1 남자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
2-2 여자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주특별자치도에 소재지를 둔 제주시 중학교 2곳, 서귀포시 중학교 3곳 총 5곳에 다니고 있는 중학교 1,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5년 11월 20일부터 12월 10일까지로 하였으며, 총 400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 답변 28부를 제외한 372부를 최종 확보하여 통계 작성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모 학업성취기대 척도는 오은진(2013)이 사용한 총 24문항의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였고, 다음으로 학업스트레스 척도는 곽민경(2015)이 사용한 총 35문항의 Likert식 5점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료 분석방법은 SPSS for Window 18.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 및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분석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학업 압박기대와 학업스트레스 각 하위요인 및 하위요인을 모두 합산한 학업스트레스 전체와의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들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학업압박기대가 높아질수록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증가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아버지의 학업 지지기대와 학업스트레스 전체 및 하위요인별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설명된 학업 압박기대와는 반대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학업 지지기대가 높아질수록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어머니의 학업 압박기대와 학업스트레스 간에도 이와 동일한 양상이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학업 압박기대와 학업스트레스 각 하위요인 및 하위요인을 모두 합산한 학업스트레스 전체와의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학업 압박기대가 높을수록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반면 어머니의 학업 지지기대와 학업스트레스 전체 및 하위요인 간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설명된 학업 압박기대와는 반대로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학업 지지기대가 높아질수록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낮아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둘째,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 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남‧여학생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남자 중학생의 경우, 남자 중학생이 지각하는 아버지의 학업 압박기대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버지의 과도한 압박적인 학업기대가 남자 중학생들에게는 학업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여자 중학생의 경우, 여자 중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학업 압박기대가 높을수록 학업스트레스를 더 많이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학업 지지기대가 높을수록 여자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어머니의 과도한 압박적인 학업기대가 여자 중학생들에게는 학업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어머니의 지지적인 학업기대는 여자 중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면,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남‧여학생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남자 중학생의 경우는 아버지의 학업기대의 영향에 따라 학업스트레스를 높게 받을 수도 있고, 낮게 받을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여자 중학생의 경우는 어머니의 학업기대의 영향에 따라 학업스트레스를 높게 받을 수도 있고, 낮게 받을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여학생이 동성의 부모와 맺는 관계의 특수성을 이해한 부모‧자녀의 관계 증진을 위한 방법적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부모‧자녀의 긍정적인 관계 맺기를 위한 가정에서의 대화 방법 및 소통을 위한 상담 및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have a look at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on the academic stress, and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refore, subjects for inquiry are arranged as the following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e study:

Q1: Does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affect to their academic stress?
Q2: What's the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middle students in their perceiv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2-1) What effect does mal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stress make on their academic stress?
2-2) What effect does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stress make on their academic stress?

For this study,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by middle school students from five schools: two Jejusi-located middle schools, and three seogwiposi-located middle schools. Survey period was arranged from Nov. 20th to Dec. 10th , 2015. Statistical investigation are made based on the 372 answers, except for insincere 28 answers from 400 answers.
Study measurement tools are the followings.
First,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scale was measured by 5-point-Likert scale, composed of total 24 questions, which was used by 오은진(2013). Next, academic stress was measured by 5-point-Likert scale, composed of total 35 questions, which was used by 곽민경(2015).
The data was verified by SPSS for Window 18. 0,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o sum up,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the followings.
First, fathers' academic expectation is statistically correlated not only to each sub factor of academic stress, but also to the sum of all the sub factors.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perceived fathers' academic pressure-expectation increases, students' academic stres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fathers' academic support-expect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both to each sub factor of academic stress, and to the sum of all the sub factors, in statistics. In opposition to academic pressure-expectation, students' perceived fathers' academic support-expectations increases, students' academic stress decreases.
The similar aspect was observed between mothers' academic expectation and academic stress. Mothers' academic expectation is statistically correlated not only to each sub factor of academic stress, but also to the sum of all the sub factors. It can be understood that as perceived mothers' academic pressure-expectation increases, students' academic stress increases. On the other hand, mothers' academic support-expecta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both to each sub factor of academic stress, and to the sum of all the sub factors. In opposition to academic pressure-expectation, student's perceived mothers' academic support-expectations increases, students' academic stress decreases.
Second, the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on academic stres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are the followings.
In case of male middle school students, as perceived fathers' academic pressure-expectation increases,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increases. Therefore, fathers' excessive academic expectations is found out to be a factor raising male students' academic stress.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as perceived mothers' academic pressure-expectation increases,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increases. However, if perceived mothers' academic support-expectation increases, the students' academic stress decreases. Therefore, while mothers' excessive academic expectations is found out to be a factor raising female student's academic stress, mothers' supportive academic expectation decreases academic stress of female middle students.

To sum up, students' perceived parents' academic expectation affects to academic stress meaningfully. Also, according the result of comparison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academic stress of male middle students can be either high or low, depending on the effect of fathers' academic expectation. In case of female middle students, the academic stress can be high or low, depending on the effect mothers' academic expect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strategic intervention for develo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nsidering the special tie derived from the same sex, should be needed. Therefore, education and counselling for communicating with family must take precedence to mak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uthor(s)
이복자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50
Alternative Author(s)
Lee, Bok Ja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제주특별자치도 중학생 9
가. 제주특별자치도 9
나. 중학생 12
2. 부모 학업기대 14
가. 부모 학업기대의 개념 및 중요성 14
나. 부모 학업기대의 유형 16
다. 부모 학업기대 관련 선행연구 18
3. 학업 스트레스 20
가. 학업 스트레스의 개념 20
나. 청소년기 스트레스 22
4. 부모학업기대와 학업스트레스 관계 선행연구 고찰 25
Ⅲ. 연구방법 29
1. 연구대상 29
2. 연구절차 29
3. 연구도구 30
4. 자료처리 및 분석 3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5
1. 측정변인들의 기술통계 평균 및 표준편차 35
2. 부모학업기대, 학업스트레스의 상관관계 36
3. 부모학업기대와 학업스트레스 간 관계 남여 성별차이 40
Ⅴ. 논의 및 결론 44
참고문헌 54
Abstract 69
부록목차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복자. (2016).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학업기대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