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relation to between Ego-Resil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 학 교적응 정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 학교적응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진로 성숙도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도 제주시 한 개의 학교와 서귀포시 두 개의 학교를 임의표집 하여 제주시 중학교 1학년생 210명과 서귀포시 190명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2015년 12월 7일에서 25일까지 약 3주간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으로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독립표본 t 검증, Baron과 Kenny가 제시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은 부분적으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아탄력성은 성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진로성숙도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학교적응 수준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 보다 높은 것으로 남녀의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은 대체적으로 하위요인별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은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도,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 변인의 하위요인별 상관관계는 대체로 정적상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는데 단지, 진로성숙도의 목적성과 학교적응의 하위요인 전체와의 관계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유의미하지 않았고, 목적성과 자아탄력성 전체와의 관계는 미약하게 정적 상관이 나타났지만 하위요인별로 볼 때 호기심 외에는 다른 요인들은 정적 상관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셋째,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진로성숙도가 부분 매개하여 학교적응을 높이는 간접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의 하위요인별로 본다면, 진로의 준비성, 결정성, 확신성은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보였고, 진로의 목적성, 독립성은 통계적으로 매개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에서 중학교 1학년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났다.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간접적으로 진로성숙도를 매개하여 학교적응을 높이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에 따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의 신장과 진로 교육의 연결을 고려해 보고, 개인마다 자아탄력성의 고취와 진로교육 및 진로프로그램을 통한 성숙한 진로태도가 학교적응을 원만히 하여 청소년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예방적 방안임을 검증하였기에 학교적응 프로그램개발에 기여할 것을 기대 한다. 이와 함께 진로성숙도 신장을 위한 학교현장에서의 노력이 필요하고 진로성숙도가 학교부적응 상담의 개입전략에 적용되거나 학교 부적응 청소년들의 치료적 차원의 접근을 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 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maturity in relationship of Ego-resil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based on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e set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how ego-resilience, career matur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hich middle school student recognized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by sex?
Second, what relationship is among ego-resilience, career matur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how career maturity shows mediating effect between ego-resil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The two schools were selected from each Jeju and Seogwipo randomly. The subjects were 210 students from middle school in Jeju and 190 students from Seogwipo. We conducted the survey for 3 weeks from 7th to 25th December 2015.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Baron & Kenny's Procedures for mediation hypotheses with SPSS 18.0. After that, we performed a Sobel test.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y sex in ego-resilience, career maturit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perceived by 1st grade of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is higher in girls but adaptation to school life is higher in boys. Otherwise, there is no difference in ego-resilience by sex.
Second, the correlation of students' career maturity,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ego-resilience were thought to b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re were correlation among the sub-factors but not between purpose of career maturity and whole sub-factors of adaptation to school life.
Third, ego-resilience improves adaptation to school life directly as career maturity partially mediates in process. Sub-factors for career maturity – career readiness, self-determination, conviction - have partial effect on relationship of ego-resil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However, career purpose, independence had no influence statistically on mediating it.

In conclusion, career maturity has partial effect in relationship of ego-resilience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Ego-resilience has influence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not only directly but also indirectly by mediating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is research, we prove that proper career education and program promotes students' satisfaction. Therefore, we expect to develop the program of school adaptation for student applying the intervention of counselling for maladjusted students.
Author(s)
이승미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59
Alternative Author(s)
Lee, Seung mi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5
3. 연구모형 6
4.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1. 개념 정의 9
가. 자아탄력성 9
나. 진로성숙도 14
다. 학교적응 18
라. 자유학기제 21
2. 변수간의 관계 25
가.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 25
나. 진로성숙도와 학교적응 27
다. 자아탄력성과 진로성숙도 28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30
2. 측정도구 30
3. 연구절차 및 분석 방법 35
Ⅳ. 연구결과 및 해석
1. 중학생이 지각한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일반적 경향 37
2. 성별에 따른 변인들 간의 비교 40
3. 자아탄력성, 진로성숙도, 학교적응의 변인 간 상관 분석 44
4.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 간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검증 48
Ⅴ. 논의 및 결론
1. 결과에 대한 논의 61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65
참고문헌 69
Abstract 79
부록목차(설문지) 81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승미. (2016). 중학생이 지각하는 자아탄력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