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Loneliness on Smartphone Addic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Efficacy.
Abstract
본 연구는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에게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과 적절한 예방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을 예방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가설1.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전체)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1.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기조 절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2.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1-3.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과제난 이도 선호는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제주도내 5개 중학교 남녀 학생 595명이며 사용한 측정 도구는 외로움척도, 스마트폰중독척도, 자기효능감 척도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전체) 요인이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독립변인과 종속변인 매개변인이 서로 유의한 영향이 있어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전체)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중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과제난이도 선호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상담현장에서 중학생의 외로움으로 인해 스마트폰 중독을 사전예방하고 조절하기 위해 자기효능감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aims to educate teenagers regarding the proper use of cellephones and to develop and spread the program to prevent smartphone addiction.
For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as set and related hypothesis were made.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under that condi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loneliness causes their smartphone addiction ?
Hypothesis 1. There will b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1-1. There will be a mediating effect on self-control efficacy, as a subfactor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1-2. There will be a mediating effect on self-confidence, as a subfactor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1-3. There will be a mediating effect on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as a subfactor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risk.

The sample consist of 595 male and female students in the first, second, third years of 5 Middle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loneliness scale, smartphone addiction scale, and self-efficacy scale. The collected data was also analyzed using the SPSS 20.0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For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of each scale, Cronbach's α was examined. For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verification procedure of mediating effect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was concerned. As the correlation between independent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exis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partial mediating effec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loneliness and their smartphone addiction, sub factors of self-efficacy such as self-
confidence and self-control efficacy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but the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was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the field of counseling, there exists necessity of constant support and effort of improving students self-efficacy as a way to prevent students from smartphone addiction caused by their loneliness.
Author(s)
장정은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60
Alternative Author(s)
Jang, Jung Eun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목 차 ⅲ
표 목 차 ⅴ
그림목차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3. 연구모형 7
4.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1. 외로움 9
가. 외로움의 개념 9
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 11
2. 스마트폰 중독 13
가. 스마트폰의 정의와 특성 13
나. 스마트폰과 중독 14
3. 자기효능감 16
가. 자기효능감의 개념 16
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중독 17
4. 중학생의 외로움, 스마트폰 중독, 자기효능감의 관계 18
Ⅲ. 연구방법 20
1. 연구대상 20
2. 연구절차 20
3. 연구도구 20
4. 자료처리 및 분석 2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5
1.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5
2. 변수간의 상관분석 27
3. 연구결과 29
가.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29
나. 자기효능감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 29
다.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전체)의 매개효과 30
라.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자기조절 효능감의 매개효과 33
마.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자신감의 매개효과 36
바.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과제난이도의 매개효과 38
Ⅴ. 논의 및 결론 40
1. 논의 40
2. 결론 42
참고문헌 45
Abstract 55
부록 설문지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정은. (2016). 중학생의 외로움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