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on the Effects of Self-Esteem: Mediation Effects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Abstract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 그리고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
와 종속변수인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는지, 고
등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이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
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2.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에
어떠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
연구문제 3 고등학생의 정서인식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하는가?
연구문제 4. 고등학생의 정서표현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매개하는가?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제주특별자치도 내 소재한 고등학교 30개교
중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라 15개교의 평준화 지역 일반고, 비평준
화지역 일반고, 특수목적고, 특성화고의 1학년, 2학년, 3학년 남ㆍ여학생을 대상
으로 학년별 한 학급씩 1106명을 유층표집, 비례유층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
하였고 여기서 전체 1106부의 설문지를 수거 할 수 있었다. 이들 중 무응답과
불성실한 응답자와 설문지 작성시 1개 이상의 척도에서 응답을 하지 않은 38
명의 학생들의 응답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1068명의 응답 자료를 최
종적으로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은 정서인식, 정서표현, 자아 존중감, 인
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관한 것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
을 사용하였다. 각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분포를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
통계분석을,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분석을 실
시하였다.
정서인식, 정서표현, 자아 존중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각 변인들 간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정서인식, 정서표
현, 자아 존중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각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고
Cronbach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라 자아 존중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라 자아 존중감의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가 있
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One Way ANOVA 분석(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
였다. 또한 정서인식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이 어떠한지, 정서표현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로 자아 존
중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또한 어떠한지 알아보기 위하여 매개효과 회귀분
석을 단계별로 실시하고,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sobel test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사용하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의 어떠한 유이미한 차이
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검증 결과 유의 수준을 벗어나
남녀 성별에 따른 자아 존중감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른 자아 존중감의 차이를 살
펴보기 위하여 One Way ANOVA 분석 결과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 정서표현, 자아 존중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각 변인들 간
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P < .01) 수준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정서인식,
정서표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자아 존중감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정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독립변수인 정서인식과 종속변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매개변수
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 변인으
로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부
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독립변수인 정서표현과 종속변수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에서 매개변
수의 조건을 충족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매개 변인
으로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통계적 유의수준 하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정서인식, 정서표현, 자아 존중감의 영향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
절 전략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하여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은 부분매개 효과
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다.
둘째,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인식, 정서표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자아 존중감 간의 상관관계
는 모두 정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정서인식, 자아 존중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간의 유의한 영양관계에
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정서표현, 자아 존중감,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간의 유의한 영향관계
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부분매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
다.
따라서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라서 자아 존중감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
으나 남자와 여자의 평균을 비교해 보았을 때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평균이 높
게 나타나 자아 존중감이 높을 것으로 예측해 볼 수 있으며, 고등학교 학교형
태(학교 계열별 유형)에 따른 자아 존중감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특수
목적고가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일반고, 특성화고 순으로 나타났
다. 매개효과 회귀분석 결과에서 살펴보면, 정서인식, 정서표현, 인지적 정서조
절 전략을 주로 많이 사용하는 사람일수록 자아 존중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
을 알 수 있다. 정서를 인식하는 특성이 정서표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인
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자주 사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
능하게 할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정서를 인식, 조절하고 전략적으로 선택하려
는 노력이 없다면 자아 존중감의 수준을 높이고 유지하려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음으로 정서인식, 정서표현,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이 병행 되어야 한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ical difference in self-esteem by
each type of high school or sex and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in relation between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We set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How different
self-esteem is depending on the sex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How
different self-esteem is depending on type of high school. Thir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 in rel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awareness and self-esteem. Fourth,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ediate in rel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emotional expression
and self-esteem.
We conducted survey of 1106 students from 15 high schools selected by
school type in Jeju province. 38 questionnaire was excluded due to either
non or insincere respons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test, One
Way ANOVA and calculating Cronbach α with SPSS 18.0. Also, we use
sobel tes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by sex. (p>0.05) However,
there was statical significant difference in self-esteem by type of high
school with One Way ANOVA. Regarding to the correlation, it is
significant among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expression,
self-esteem,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each variable. (P<.01)
Also,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has partial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self-esteem is different from students of each school type.
The more frequently students use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the more higher
students' self-esteem is. The character of recognizing the emotion has
influence on emotional expression. Furthermore, it could give directions to
us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more effectively. Unless
students don't do their best to understand and control their emotion
strategically, it is hard to enhance and maintain level of self-esteem. Thus,
emotional awareness, emotional expression and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strategies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it.
Author(s)
강갑주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762
Alternative Author(s)
kang, Kab Joo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8
3. 연구모형 9
4. 용어의 정의 10
1) 고등학생 10
2) 정서인식 11
3) 정서표현 11
4)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11
5) 자아 존중감 12
Ⅱ. 이론적 배경 14
1. 정서 14
2. 정서인식 16
3. 정서표현 17
4.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20
1) 정서조절의 개념 20
2) 정서조절 전략의 개념 23
3) 인지적 정서조절 24
4)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25
5. 자아 존중감 29
6. 정서인식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31
7. 정서인식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34
8. 정서인식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35
9. 정서표현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의 관계 38
10. 정서표현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41
11. 정서표현과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4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44
1. 연구대상 44
2. 연구절차 44
3. 연구도구 45
가. 정서인식 척도 45
나. 정서표현 척도 45
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 척도 46
라. 자아 존중감 척도 47
4. 자료분석 방법 4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50
1.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50
2. 연구변수 기술통계 51
3. 측정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51
4. 고등학생의 남녀 성별에 따른 자아 존중감의 독립표본 t-test 분석 결과 52
5. 고등학교 학교형태(학교 계열별)에 따른 자아 존중감의 One Way ANOVA 분석(일원배치분산분석) 결과 53
6. 정서인식과 자아 존중감 간의 영향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회귀분석결과 54
7. 정서표현과 자아 존중감 간의 영향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회귀분석결과 56
Ⅴ. 논의 및 결론 59
1. 논의 59
2. 결론 66
참고문헌 71
91
부 록 9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갑주. (2016). 고등학생의 정서인식, 정서표현이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