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자기장학을 통한 교사의 수업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Qualitative Study about Effects of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on Teacher's Attitude and Teaching-Learning Process: For Kindergarten Playtim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장학의 방법으로 장학의 실질적인 사례를 연구하여 유치원
자유선택활동 운영에 대한 자기장학의 과정이 교사의 태도와 교수․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에서 자기 장학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태도의 변화는
무엇인가?
둘째, 유치원 자유선택활동에서 자기장학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교수․학습의
변화는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의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2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16년 4월부터 6월까지 총 8주 동안 진행하였다. 연구참여
자의 자기장학의 방법으로 유아 놀이 관찰 자료, 교사의 자기 평가 및 반성적 저널
쓰기, 동료교사와의 협의 내용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같은 주제별
로 묶은 후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분석된 자료를 교사의 태도의 변화와 교사의 교
수․학습의 변화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은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자유선택활동 결과물보다 자유선택활동 과정을 중시하게 되었다. 연
구참여자는 자기장학을 실시하기 전에는 교실환경구성에 필요한 작품 결과물에 중
시하면서 자유선택활동이 이루어졌었는데 자기장학의 과정을 거치면서 작품 결과물
보다는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의 과정에 초점을 맞추게 되면서 유아의 작품에서 유아
의 생각이 표현되는 창의성을 볼 수 있었다.
둘째,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는 교사를 볼 수 있었다. 자유선
택활동 시간에 교사는 유아들이 활동에 도움이 필요한 영역위주로 참여하게 되면서
다양한 영역에서의 유아 활동에 대한 관찰이 어려웠다. 그러다보니 교사가 관찰하
지 못한 영역에서는 놀이 통제가 되지 않아 놀잇감이 정리정돈 되지 않고 유아들의
활동은 주제와 관련이 없이 진행되었다. 자기장학을 실시하면서 유아가 놀이할 때
필요로 하는 재료가 무엇인지, 선호하는 놀이가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유아들이 창
의적으로 활동을 하면서 확장활동이 이루어질질 수 있을지 궁금해지면서 유아의 놀
이를 관찰하게 되었다. 유아의 놀이를 관찰하는 과정에서 유아 개인의 놀이 성향,
함께 놀이하는 친구, 다음날 자유선택활동이 확장되기 위해 교사는 무엇을 준비해
야 하는지 등을 알 수 있었으며 자유선택활동계획에 적용하기 시작하였다.
셋째, 유아들이 활동에 흥미를 보이지 않을 때 무엇이 문제인지 고민하는 교사가
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는 쌓기놀이영역에서 '내가 만든 우리집'이라는 주제로 우
리집 구성하기 활동을 유아들에게 제안했다. 첫째 날에는 남자친구들이 아주 많은
관심을 보이면서 벽돌블록을 이용하여 집을 구성하겠다고 제안하면서 활동에 참여
했지만 교사가 놀이에 참여하여도 놀이가 지속되거나 관심을 보이지 않아 연구참여
자는 '왜 유아들이 활동에 관심을 보이지 않을까' '어떻게 하면 흥미를 갖고 참여할
수 있을까?'하고 고민을 하게 되었다. 그래서 연구참여자는 둘째 날에 집 모양의 사
진 자료를 제시하고 교사와 유아가 함께 집의 구조에 대해 이야기하는 과정에서 관
심을 보이지 않던 여자 유아들도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유아의 생각을 반영한 교구를 만들어 제시하였다. 수․조작 영역에 흥미가
많은 유아의 놀이 성향을 반영하여 수․조작영역에 필요한 게임판을 유아들과 함께
만들었다. 자기장학 전에는 누리과정 활동 지도안의 게임 자료 또는 시중에 판매되
는 게임자료를 제시했던 연구참여자는 자기장학 반성적 저널 쓰기를 하면서 수․조
작 놀이에 흥미를 보이지 않던 유아들도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아들
과 함께 게임판을 만들어 제시하였다. 자유선택활동 소개시간에 유아들과 함께 만
든 수․조작영역의 게임자료를 소개하는데 평소 이야기에 집중하지 않던 유아도
"와, 저거 우리가 만든건데"하면서 이야기에 참여하며 관심을 보였다. 그리고 자유
선택활동 시간에 흥미를 보이지 않던 유아도 활동에 참여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아들 스스로 확장활동을 하면서 수학적 개념을 익힐 수 있는 활동이
되었다.
다섯째, 자유선택활동 영역간의 활동이 통합되어 유아의 놀이가 확장되고 다양한
영역의 놀이 참여가 이루어졌다. 쌓기놀이 영역에서 활동에서 단순히 쌓기놀이 영
역의 교구만을 사용할 때에는 유아들이 활동에 대해 지속성과 흥미를 보이지 않았
다. 연구참여자는 반성적 저널쓰기를 통해 수․조작놀이 영역의 교구와의 통합을
시도해 볼 것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유아들이 '내 몸속의 뼈'를 표현해 볼
때 구체적으로 표현을 하고 놀이에 흥미를 보이면서 참여하는 유아수가 늘어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반성적 저널쓰기와 유아관찰의 자기장학 과정으로 쌓
기놀이영역과 미술영역을 통합시켜 활동을 진행하였다. 쌓기놀이 영역과 미술영역
의 통합으로 쌓기놀이 영역에서 집을 구성하여 집안에 있는 물건을 미술영역의 재
료를 사용해 집안의 물건을 만들면서 영역과 통합으로 유아들이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그리고 쌓기놀이 영역에서만 놀이하던 유아도 다
양한 영역으로 놀이가 확대되었음을 볼 수 있었다.
여섯째,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평가가 다음 수업에 반영되었다. 자유선택활동 시간
에 활동한 것에 대해 유아의 이야기를 듣고 활동 목표 도달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사진 자료를 활용한 평가를 했다. 사진 자료를 활용한 평가는 유아들도 평가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했으며 다음 수업을 준비하는데 교사는 유아의 생각을 계획할 수
있었다. 또한 반성적 저널쓰기를 하며 평가시간의 내용을 다음 수업에 반영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는 자유선택활동에 대한 자기 장학의 과정이 교사의 태도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도록 교사를 협조하고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자기장학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들의 어려움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유치
원 내에 체계적인 장학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며 불필요한 업무를 줄여나가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effects of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on the teacher's attitude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during
kindergarten playtime by analyzing examples of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This study has two specific inquiries for the purpose. First, how does the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change over the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at playtime of a kindergarten? Second, how doe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change over the supervision at playtime of a
kindergarten?
The researcher's two teaching colleagues are chosen for the study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or 8 weeks from April 2016. The two participants
observe children's activities, evaluate their teaching themselves, maintain
reflective daily logs after classes and consult with other teachers for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The written evaluation reports and observation
statements are organized by topics and analyzed, and then the analysis results
are stated focusing on change of the teacher's attitude and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become more concerned with the process than the result of the
playtime. Teachers lay stress on results before the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for a better display. But they more focus on the process of
children's activities than the result after the supervision, which eventually boosts
children's creativity.
Second, teachers more observe children's activities at playtime. During the
observation, teachers come to know an infant's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d
who the infant gets along with. Moreover, they can better prepare for the next
day's playtime for continuity of the play and they start applying their own plans
to the playtime.
Third, teachers try to figure out problems when children are not interested in
play.
Fourth, teachers create toys that children might need. Children are able to
learn numbers and counting by playing with the mathematics toys.
Fifth, play become integrated between areas and is expanded into other areas
of play. Consequently, children participate in play of different areas. The
teachers integrate activities between areas and toys by maintaining daily logs
after classes. After the integration effort, children who had passively participated
in play become more involved in play, which is expansion of play.
Sixth, evaluation results on playtime is reflected in the next class. Assessment
by children and reflective daily logs by teachers are applied to the next clas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cooperation and support for teachers are needed so that the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positively would affect teachers' attitude change for
kindergarten playtime.
Second,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at the kindergarten level and teachers' duties need to be streamlined to alleviate
challenges teachers face during teacher's self-assessment supervision.
Author(s)
오선미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09
Alternative Author(s)
Oh, Seon-mi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이인회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3
3. 연구의 제한점 3
Ⅱ. 이론적 배경 4
1. 자기장학 4
가. 장학 4
나. 자기장학의 개념 및 특성 5
다. 자기장학의 방법 7
라. 자기장학의 모형 9
2. 자유선택활동 15
가. 자유선택활동의 개념 및 의의 15
나. 자유선택활동의 운영 17
다. 자유선택활동에서의 교사의 역할 25
3. 선행연구 분석 27
Ⅲ. 연구방법 32
1. 연구 참여자 32
2. 연구 방법 35
가. 현상학적 연구의 개념 35
나. 현상학적 연구의 과정 35
3. 연구절차 38
4. 자료 분석 40
Ⅳ. 연구결과 및 해석 41
1. 교사의 태도의 변화 41
2. 교사의 교수학습의 변화 47
Ⅴ. 결론 및 제언 53
1. 요약 53
2. 논의 및 결론 55
3. 제언 59
참고문헌 60
ABSTRACT 68
부록 1. 유치원 일일교육계획안 및 평가 예시 70
부록 2. 교실 환경구성 72
부록 3. 유아 관찰 예시 75
부록 4. 반성적 저널쓰기 예시 76
부록 5. 교사 상호 협의록 예시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오선미. (2016). 자기장학을 통한 교사의 수업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