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의 기능강화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inforce the func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dit Commitee: Awareness of local people and government official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의 기능강화에 관한 연구로 도민과 공무원 인식을 중심으로 여러 논문 및 석, 박사들의 연구 결과에 대한 내용들을 수집하여 독립성 및 전문성에 대한 내용들을 분석하였다. 2006년 02월 21일 제정된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을 통해 감사위원회 설치 및 법적 근거 마련을 시작을 통해 2006년 04월 12일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 구성 및 운영에 관한 조례⌟가 재정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2006년 07월 01일 서귀포시 제 2청사 내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 사무국이 설치되고 감사위원장 1명, 감사위원 6명이 위촉(도의회 추천 3명, 도지사 추천 3명)됨으로써 공식 출범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 도민의 지방자치,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를 선도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로부터 상당히 많은 권한이 이양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에 맞는 시책 개발, 지역주민을 위한 문화, 복지 등 고품격의 행정서비스 제공에 기여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에서 투명치 못하고 권위가 떨어진 감사위원회의 역할 강화 및 독립기구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가 되었다. 특별법을 통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지방행정분야의 권한이 높은 만큼 중앙정부로부터의 권한 이양이 되어,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의 비리 및 부조리의 증가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지방 행정 특성상 지역 주민들과의 접촉이 많을 뿐만 아니라 규제와 권한 행사에 대한 재량권 등 많은 부분에 있어 비리와 부조리가 발생가능성이 높다. 제주특별자치도의 감사위원회는 제주특별자치도 설치 및 국제자유도시 조성을 위한 특별법 제66조의 규정에 의거 『자치 감사』수행을 위하여 도지사 소속하에 감사위원회를 두되, 그 직무에 있어서는 독립된 지위를 갖는 합의제 행정기관으로 감사위원회 설치의 궁극적인 목적은 특별자치도의 감사권 독립 및 강화에 있으며 중앙감사의 과다 및 중복 등의 폐해를 해소하고 감사의 독립성 및 전문성, 책임성을 강화시켜 감사원 및 국정감사를 제외한 중앙 행정기관의 외부감사를 없애고 자치이념에 부합되는 민주적·자율적 내부통제 시스템을 구축하려는데 있다. 목적은 이상적이나 현실은 다를 수가 있는 부분을 볼 수 가 있으며 감사의 이념은 행정기관 및 공무원들에 대한 내부 통제가 본질이며 통제를 통해 민본지향성을 추구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감사관련 문헌, 법령 및 자치법규 및 연구 발표한 자료를 바탕으로 검토하여,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의 역할 및 기능강화의 당위성을 통해 현 문제점 및 실증 분석결과를 토대로 제주특별자치도에 더욱 바람직한 감사위원회가 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how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dit Commitee and collected various theses and studies of masters and Ph.D's on the awareness of local people and government officials to analyze its independence and specialization. The ⌜Special Act for International Free Cit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nacted on February 21, 2006 installed the Audit Commitee and laid the legal foundation for the enactment of the ⌜Ordinance on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udit Council⌟ on April 12, 2006. Based on this,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dit Commitee was officially founded on July 1, 2006 with a bureau in Seogwipo Government Building, one chairman, and six members (3 referred by Providential Council and 3 by Govern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created to lead the self-governing of local people in Jeju and the local government of Korea. It acquired many authoriti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his has contributed to high level of administrative services including policies right for the local economy, culture for the local people, and welfare. Despite the positive changes, however, the local government of Jeju has found it necessary to reinforce the role of Audit Commitee and operate it as an independent organization as it has failed to secure transparency and authority. As a special act ensures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thority in local administration, there is greater possibility of corruption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administration is more open to the local people and likely to cause corruption and absurdity because of its discretion for restrictions and exercise of author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dit Commitee has enacted Article 66 of the Special Act for International Free City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o organize the Audit Commitee affiliated to the Governor for 『self-audit』 as a council-system administrative office with independence.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udit Commitee is to secure and reinforce the audit of the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ithout excess or redundant central monitoring. It intended to remove external audit by the central administration, except for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and the inspection of government offices, and build a democratic and autonomous internal control system for the true notion of self-governing by reinforcing the independence, specialization, and responsibility of audit. The purpose is ideal, but it may not be the reality. The notion of audit is built on internal control of administration and government officials and should be people-oriented based on control.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on audit, laws and regulations, and resources on researches to justify the reinforcement of roles and functio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s Audit Commitee and make the Audit Commitee more desirable for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ased on a substantial analysis of current problems.
Author(s)
이유승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14
Alternative Author(s)
Lee, Yu-Seung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양덕순
Table Of Contents
제 1 장. 서론 1
제 1절. 연구의 목적 2
제 2절. 연구 범위와 방법 3
제 3절. 선행연구 고찰 4
제 2 장. 지방자치단체의 감사에 대한 이론 고찰 6
제 1절. 지방자치단체 감사제도 고찰 6
1. 자체감사제도의 일반적 개요 6
2. 운영 실태 및 한계 도출 10
제 2절.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 고찰 16
1. 설립 배경 및 개요
2. 운영실태 미 문제점 분석 23
제 3절. 외국의 사례 26
1. 미국의 감사제도 26
2. 영국의 감사제도 27
3. 프랑스의 감사제도 28
4. 외국 감사제도의 시사점 29
제 3 장. 분석의 틀 및 조사개요 31
1. 분석의 틀 31
2. 조사 개요 32
제 4장. 설문 분석 및 정책적 제언 33
1. 일반적 특성 33
2. 조사결과 및 정책적 제언 56
제 5장. 결론 58
참고문헌 60
ABSTRACT 62
부록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이유승. (2016). 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의 기능강화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ETC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