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09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alysis of the Content Connectivity of the 2009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Consumption' Area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09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 연계성
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2015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의 '소비생
활' 영역 내용 연계성 분석을 하거나 '소비생활' 영역의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분석대상 교과서는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12종,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서 9종,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 2종이었으며, 분석범위는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소비생활' 관련 단원으로 한정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준거는 '시장과 소비자이해', '합리적인 소비', '소비자문제의
해결과 예방', '바람직한 소비문화 형성', '소비생활 진로와 직업'과 등 5개 영역, 9
개의 주제영역으로 설정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 단위는 9개 주제영역의 학습요
소와 관련된 내용이 기술된 문장과 보조자료였다. 내용 연계성은 교과서 내용 분
석 결과를 바탕으로 '발전', '반복', '격차', '축소' 등의 분석준거를 기준으로 분석
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는 주로 소비생활과 관련된 문제를 평가하
고, 해결하여 건강한 소비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고등학
교는 현대 사회의 소비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속 가능한 소비생활의 실천과 방법
을 강조하였고,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에서는 가계재무관리와 소비생활에 대
한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둘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고등학교 가정과
학 교과서에서 2009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성취기준에서 부합하는 내용들을
적절하게 구성하고 있었지만 교과서마다 학습요소들에 대한 개념과 내용은 상이
하게 다루고 있었다.
셋째,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간,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간에 학습 요소
에 대한 내용 편차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제시되지 않고
있었으며, 학습 요소의 개념이 명확하게 정의되어 있지 않은 경향이 있었다.
넷째, 청소년들이 주체적인 소비자로 소비생활에서 학습한 내용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내용 보충이 필요하였다.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연계성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적으로 발전 11회(32.4%), 반복 6회(17.6%), 축소 13회(38.2%), 격차
4회(11.8%)의 분포로 나타났으며, '축소'의 연계성 형태를 가장 많이 볼 수 있었
으며, 근소한 차이로 '발전'의 연계성 형태성이 나타났다.
둘째, '돈과 신용'의 학습요소는 '격차'와 '발전'의 연계성을 볼 수 있었고, '합리
적인 소비' 영역에서는 '축소'와 '반복'의 연계성을 볼 수 있었으며, '축소'의 연계
성이 더 많이 나타났다. '소비자분쟁의 해결과 예방' 영역에서는 '축소', '반복', '격
차'의 연계성이 있었으며, '축소'의 연계성 형태가 가장 많았다. '바람직한 소비문
화 형성' 영역에서는 '발전'의 연계성 형태가 가장 많았다. '반복'과 '축소'의 연계
성도 있었으며, '진로와 직업' 영역에서는 '발전'의 연계성이 있었다.
셋째, 학교급별의 연계성 형태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심화 학습에 대
한 연결이 끊기거나, 단절이 될 수도 있다. 하지만 '발전'의 연계성만이 바람직한
연계성의 형태라고는 볼 수 없으며, 학교급별의 수준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고려여 '소비생활' 영역의 학습요소들의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교과서 내 기술방
법 혹은 학습 보조자료를 통한 제시와 같이 다양한 구성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상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한다.
첫째, 소비자교육의 기초지식으로서 필요한 학습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에서는 '시장과 소비자이해' 영역에 대해 전혀 다루고 있지 않고
있으며,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에서도 '돈과 신
용' 영역에 대해서만 다루고 있어 소비자교육의 기초 학습내용임을 고려하여 '시
장과 소비자이해' 영역을 교과서 내용으로 구성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와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
서 간의 내용 연계성만을 분석하였으므로 '소비생활' 영역에 대해 다루고 있는
사회과, 윤리 등 타 교과들과도 연계성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기술·가정 교과의 의·식·주생활 영역과 관련된 소비생활 학습 내용을 포
함하지 않은 한계점이 있으므로 후속 연구에서는 이들의 내용을 포함하여 분석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connectivity of the
'consumption' area of the 2009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analyzing the 'consumption' area of the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or developing an effective teaching & learning method
in the area of 'consumption'.
In regards to textbooks to be analyzed, they were 12 kinds of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① textbooks, 9 kinds of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2 kind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As for the scope of analysis, it was restricted
to units related to 'consumption' in the textbooks.
In regards to the textbook content analysis standards, they were established
as 5 areas of 'Understanding of Market and Consumers', 'Reasonable
Consumption', '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sumer Issues', 'Formation of a
Desirable Culture of Consumption' 'Consumption Career and Occupation' and
9 areas of subject areas. As for the textbook content analysis units, they
were sentences and supplementary data describing contents related to the
study elements of 9 subject areas. In regards to content connectivity,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analysis standards of 'advancement',
'repetition', 'gap' and redu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extbook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of textbook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dealt with
contents on evaluating and solving issues related to consumption to practice
desirable consumption. High school textbooks emphasized the understanding of
culture of consumption of modern society and sustainable consumption
practice & method.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dealt
with overall contents on family financial management and consumption.
Second,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present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were appropriately composed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However, concepts and contents on study elements were being
dealt with differently among the textbooks.
Third, there were content deviations betwee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Furthermore, they were not consistently and
systematically presented. In addition, there was a tendency of lack of clear
definition of concept of study elements.
Fourth, they needed supplementary contents on a method of practicing the
contents that young adults studied in the consumption area as autonomous
consumer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onne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extbook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results were shown in the distribution of 11 times for
advancement (32.4%), 6 times for repetition (17.6%), 13 times for reduction
(38.2%) and 4 times for gap (11.8%). In addition, the connectivity form of
'reduction' was seen most frequently, followed by the connectivity form of
'advancement' in a narrow margin.
Second, the connectivity between 'gap' and 'advancement' was shown in the
study element of 'money and credibility', while the connectivity between
'reduction' and 'repetition' was shown in the area of 'reasonable consumption'
with a higher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connectivity of 'reduction'. In
the area of 'solution and prevention of consumer conflict', there was the
connectivity between 'reduction', 'repetition' and 'gap' with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connectivity of 'reduction'. In the area of
'formation of a desirable culture of consumption', there was the highest
frequency of appearance of the connectivity of 'advancement'. There was also
the connectivity between 'repetition' and 'reduction' and in the area of 'career
and occupation', there was the connectivity of 'advancement'.
Third, various forms of connectivity according to school class were shown
with possible discontinuation or severance regarding in-depth study. However,
it cannot be seen that the connectively of 'advancement' is exclusively a
desirable form of connectiv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various
composition plans such as presentation based on textbook description method
or study supplementary material by preventing any discontinuation of the
flow of study elements in the 'consumption' area upon consider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curriculum and the level of school class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 area of 'understanding of market and consumer' was not be dealt
with at all in the middle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even though it is an essential study content needed as basic knowledge of
consumer education. In addition,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also only dealt
with the 'money and credibility' area.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compose
the textbook contents with the 'understanding of market and consumer' area
considering that it is basic study content of consumer education.
Second, this study only analyzed the content connectivity between the
middle &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connectivity with other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and
Ethics that deal with the area of 'consumption'.
Third, there is a limitation in this study in the sense that it did not include
study contents on consumption related to the area of Food, Clothing &
Shelter of Technology & Home Economics subjec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se contents in a follow-up study for analysis.
Author(s)
박지숙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17
Alternative Author(s)
Park, Ji-sook
Department
교육대학원 가정교육
Advisor
김정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2009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3
1) 기술가정교육과정의 편제 3
2) 기술가정교육과정의 가정생활 영역의 성격과 목표 4
3)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체계와 성취기준 5
2. 학교 소비자교육의 내용 체계와 목표 7
1) 학교 소비자교육 목표 7
2) 학교 소비자교육 내용 체계 9
3. 교육 내용의 연계성 12
1) 연계성의 개념 12
2) 연계성에 대한 이론 13
4. 선행연구 고찰 15
1) 교과서 내용 분석 15
2) 내용 연계성 분석 16
Ⅲ. 연구방법 17
1. 연구문제 17
2. 연구방법 18
1) 분석 대상 교과서 18
2) 교과서 내용 분석 준거 19
3) 교과서 내용 연계성 분석 준거 20
Ⅳ. 교과서 내용 분석 결과 및 논의 21
1. 중학교 기술가정① 교과서 내용 분석 21
1)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의 내용 구성과 목표 21
2) 청소년의 소비생활 단원 교과서 내용 분석 22
2.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내용 분석 37
1) 건강 가정과 지속 가능한 소비생활 단원의 내용 구성과 목표 37
2) 건강 가정과 지속 가능한 소비생활 단원 영역별 내용 분석 38
3.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 내용 분석 45
1) 소비자와 가계 재무 설계 단원의 내용 구성과 목표 45
2) 소비자와 가계 재무 설계 단원 영역별 내용 분석 46
4. 중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및 고등학교 가정과학 교과서 소비생활 영역 내용 기준별 분포 52
Ⅴ. 교과서 내용 연계성 분석 결과 및 논의 54
1. 시장과 소비자이해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54
2. 합리적인 소비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56
3. 소비자 분쟁의 해결과 예방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58
4. 바람직한 소비문화 형성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61
5. 진로와 직업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64
6. 교과서 내용 연계성 분석 결과 66
Ⅵ. 결론 및 제언 67
참 고 문 헌 71
Abstract 7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지숙. (2016). 2009개정 기술·가정교육과정 '소비생활' 영역의 내용 연계성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Home Econom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