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경찰공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f Police Public Official in the Jeju Region in the Participation of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지역 경찰공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봉사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제주지역의 사회적 자본구축과 관련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과관계를 보여주는 경험적 연구로서, 그러한 인과관계를 제주지역 경찰공직자의 인식분석을 통하여 지역경찰활동의 성과 향상 및 제주지역 사회적 자본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경찰공직자을 대상으로 편의표집방법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분석에 활용된 설문지는 107명으로, 사회적 자본이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은 살펴본 결과 성별은 남성90명(84.1%), 여성 17명(15.9%)의 분포를 보였으며, 연령은 30대(48.1%), 40대(25.5%), 20대(15.1%), 50대(11.3%) 순으로 나타났고, 응답자의 학력을 살펴보면 대졸이 가장 높은 비율(63.4%)을 차지하고 있으며. 출신지역은 제주도내 88명(84.6%), 도외 16명(15.4%) 로 제주지역 출신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직위를 살펴보면, 경장, 경사, 순경, 경위 순으로 나타났고 재직기간은 5-10년 이하 36명(34.3%)으로 가장 많았으며, 5년 이상 27명(25.7%), 10년-20년 이하 25명(23.8%), 20-30년 이하 12명(11.4%)순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봉사활동 경험 유무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있다 58명(55.2%), 없다 47명(44.8%)으로 응답하여 비교적 봉사활동에 대한 인식이 보편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자원봉사활동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사회적 자본이 자원봉사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경찰공직자가 가족, 친척, 이웃, 친구인 개인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었고 사회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봉사활동을 지속적으로 하고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회적 자본의 지수가 높을수록 봉사활동의 참여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사회적 자본의 향상이 자원봉사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개인적, 사회적 활동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실천적 함의를 제시한다.
첫째, 지역사회의 신뢰 구축은 사회적 자본 형성의 가장 중요한 전제이다. 본 연구에서 응답자들은 신뢰를 사회적 자본 중 가장 중요한 변수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형성을 위해 무엇보다도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신뢰가 구축되어야 하고 사회적 자본의 축적은 주민자발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한 자원봉사자 마일리지 시스템 등 다양한 프로그램개발과 같은 적극적인 노력과 장치의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둘째, 지역사회 구성원들은 지역의 사회적 자본을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부단한 노력을 하여야하고, 경찰기관을 비롯한 정부도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 구축을 위하여 적극적인 관심과 자원을 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먼저 지방정부는 지역거버넌스 체제의 확립을 비롯한 주민자치활동 및 주민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시민교육의 강화 및 새로운 도시공동체 운동의 적극적 전개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effects of the social capital of the public police in the Jeju region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and in obtaining the institutional implications related to constructing social capital in the Jeju region.
As an experiential research displaying the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obtaining the institutional implications for the social capital in the Jeju region and enhancing the performance of regional police activities of such cause-and-effect relationship through the analysis awareness of public police in the Jeju region.
To achieve thi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on the public police in the Jeju region. The final analysis was based on the survey answers of 107 responders, which observed the factors of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upon examining social capital based on the demographic sociological properties of the subjects, sex displayed a distribution of 90 males (84.1%) and 17 females (15.9%), with the age in the order of 30's (48.1%), 40's (25.5%), 20's (15.1%) and 50's (11.3%), and university graduate (63.4%) displayed the highest proportion with respect to the academic background of the responders. Most of the responders were from the Jeju region, accounting for 88 (84.6%) responders, and 16 (15.4%) from outside the province of Jeju. With respect to position, the responders displayed a distribution in the order of corporal, sergeant, constable, followed by lieutenant, and with respect to the period of employment, 36 (34.3%) responders had less than 5-10 years of experience, followed by 27 (25.7%) with more than 5 years, 25 (23.8%) with less than 10-20 years, and 12 (11.4%) with less than 20-30 years of experience. In response to the question asking about the responders' experienc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58 (55.2%) responders answered yes and 47 (44.8%) answered no, which displayed that the awareness towards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was comparatively generalized.
Second, upon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individuals of the public police displayed to participate in more volunteer services if they had greater reliability on family, relatives, neighbors, and friends, and they continued in volunteer services if they had a greater awareness towards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is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the participation in volunteer services increased with a greater index in social capital, and that enhanced social capital positively affected volunteer service activities, to greatl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 and social activitie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are proposed.
First, the construction of reliability in the regional society is the most important prerequisite in establishing social capital. The responders of this study recognized reliability as the most important variable among all factors of social capital. Accordingly, reliability must be constructed throughout the regional society in order to establish social capital in the regional society, and there will be a need to prepare active effort and tools, such as various programs including a volunteer service mileage system, for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residents, in that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is based on the willingness of the residents.
Second, the members of the regional society must make constant effort to further enhance the social capital of the region, and the government, including police organizations must provide active interest and resources for the construc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regional society. To achieve this, the local government must make various efforts, such as active support towards the residents' self-governed activities and regional groups, reinforced citizen education and active progress of new urban group movements, in addition to the establishment of a regional governance system.
Author(s)
고원혁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18
Alternative Author(s)
Ko, Won hyuk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진관훈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필요성 2
II. 이론적 배경 4
1. 사회적 자본 4
2. 자원봉사 활동 14
3. 선행연구 고찰 22
III. 연구 방법 30
1.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0
2. 변수와 측정 30
3. 설문지 구성 30
4. 연구모형 33
5. 자료 분석방법 및 측정도구 33
IV. 연구결과 35
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5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36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적 자본의 차이분석 38
4. 사회적 자본이 봉사활동에 미치는 영향 41
V. 결론 및 제언 44
1. 연구결과 요약 44
2. 제언 46
3. 연구의 한계 47
참고문헌 49
부록(설문지) 51
Abstract 5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고원혁. (2016). 제주지역 경찰공직자의 사회적 자본이 자원봉사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