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공직자의 기부 인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Research on donation awareness of the Jeju public official
Abstract
본 연구는 천원미만의 급여우수리 금액을 모아서 도내 어려운 이웃들에게 정기·비정기적으로 기부활동을 하고 있는 제주지역 공직자의 기부에 관한 인식 정도를 연구하여 공직자 기부 인식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서귀포시 행정시, 도 직속기관(자치경찰, 소방), 등 소속 일반직, 특정직, 공무직 등 공직자 368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고 자기보고 형식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 중 불성실하거나 설문에 미기재 된 총 31부의 표본을 분석과정에서 제외한 최종 설문지 337, 기부 자발성, 기부 경험 유무, 기부활동의 정기성 등에 따른 기부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 기부경험 유무에 대한 응답은 318명(94.9%)이 '기부활동을 하고 있다.'로 나타났다.
성별은 남성 219명(65%), 여성 118명(35%)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30대(47.%), 40대(32.1%), 교육수준은 대학교 졸업이 267명(80.2%), 월평균 소득은 200~299만원(49.1%)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측정도구에 따른 기부인식에 대한 차이를 요약하면, 기부의 자발성 여부에 따른 기부인식에 대한 차이분석 중 '기부는 경제적 여유와 관계없이 일부를 나누는 것이다'(t=2.308, p<.05) 문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비자발적 기부(M=3.47)보다 자발적 기부(M=3.50)가 높게 인식하고 있다.
기부활동의 정기성 여부에 따른 기부인식에 대한 차이 분석에서는 '나는 기부에 관심이 많은 편이다'(t=5.357, p<.001)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바, 기부활동의 비정기성(M=3.17)보다 정기성(M=3.66)이 높게 인식하고 있다.
기부동기에 있어서는 '딱한 사정을 접하면 돕고 싶어져서'(M=3.85) 등이 평균값이 높게 분포하고 있다.
제주지역 공직자의 기부 인식 향상을 위해서는 정기적인 기부 활동과 자발적인 기부가 이루어 질 수 있는 분위기 조성과 기부자에 대한 인센티브 도입 등 관련 제도 정비와 시간적·재정적 지원 등이 충분히 뒷받침 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처럼 제주지역 공직자 기부 인식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과 관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for enhanced awareness of donations in public officials by research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donations in public officials in the Jeju region, who regularly or irregularly partake in donations for needy neighbors within the province by colleting change from their wages amounting to less than 1,000 won.
To achieve this, 368 public officials, such as regular government officials, specific officials, and public servants in organizations (local police, fire station) belonging to th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the administrative city of Jeju and Seogwipo, or province,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a self-reporting survey. A final number of 337 surveys, which exclude 31 samples that were insincere or unanswered, were examined on the difference in the awareness of donations based on willingness, experience in donations, the regularity of donations. As a result, the answers with respect to experience in donations displayed that 318 (94.9%) 'currently partake in donations'.
Sex among the responders was distributed to 219 males (65%) and 118 females (35%), with ages in the order of 30's (47%) and 40's (32.1%). Furthermore, with respect to academic standards, 267 (80.2%) responders were university graduates, and the highest proportion of average monthly income was 2 million-2.99 million won (49.1%).
In summary of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donations based on measurement tool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played in the category 'donations mean sharing a portion of income regardless of financial stability' (t=2.308, p<.05),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donations based on the willingness of donating. Furthermore, the responders had a higher awareness of voluntary donations (M=3.50) over non-voluntary donations (M=3.47).
In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awareness of donations based on regular donation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displayed in the category 'I am interest in donating' (t=5.357, p<.001), and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 responders who make regular donations (M=3.66) had a higher awareness in donations than responders who make irregular donations (M=3.17).
With respect to the motivation for making donations, 'pitiable situations urge me to want to help' (M=3.85) displayed the highest distribution.
In order to enhance the awareness of donations in public officials of the Jeju region, time and financial support, and institutional devic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an environment for voluntary donations and regular donation activities to be achieved and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s towards donators, must be sufficiently supported.
As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role and interest for enhanced awareness of donations in the public officials of the Jeju region.
Author(s)
김창수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19
Alternative Author(s)
Kim, Chang soo
Department
행정대학원 행정학과
Advisor
진관훈
Table Of Contents
I.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II. 이론적 배경 3
1. 공직자와 기부에 대한 논의 3
2. 기부행위 관련 이론에 대한 논의 6
3. 선행연구 고찰 8
III. 연구 방법 13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13
2. 측정도구 13
3. 자료 분석방법 15
IV. 연구결과 16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16
2. 주요 변수의 기술통계 17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기부인식의 차이분석 22
V. 결론 및 제언 31
1. 연구결과 요약 31
2. 제언 33
참고문헌 35
부록 37
Abstract 4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Citation
김창수. (2016). 제주지역 공직자의 기부 인식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