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Metadata Downloads
Abstract
제주시 원도심은 1980-90년대 이후 상권이동과 도시 주변 지역의 도시개발사
업 및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인해 도심 기능의 외연적 확산 및 상주인구 감소
등 도심의 주거 기능화 경제활동이 위축되어 인구의 공동화, 기반시설의 노후
등 도심 공동화가 가속화되었다.
주변 지역의 개발사업은 기존도심으로부터 주요 도심 기능을 이전받고, 이 과
정에서 기존 원도심은 쇠퇴하는데 도심의 지하상가도 동반 쇠퇴하는 과정을
겪으며 이용자들의 발길이 점차 줄어들고 있다.
많은 사람이 쉽게 이용하게 하고 그러면 상권이 활성화되고, 상권이 활성화되
면 또 사람이 모이는 선순환이 될 수 있도록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도심재생 및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지하상가가 도심의 구심점 역할을 할 수 있
는 공간을 창출하고, 상권을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이를 위해 많은
이용객이 편리하고 유용하게 정보를 받을 수 있도록 하나의 통일된 사인시스
템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상가의 활성화 방안 중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중요한
역할을 찾고 시각적 혼란을 구조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하상가의 웨이파인딩
(wayfinding) 역할을 재검토하여 누구나 편하게 이용할 수 있고, 쾌적하고 효
율적인 사인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목적, 방법, 범위를 설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사인시스템 디자인 요소와 종류, 지하상가의 개념과 특성, 문제점
에 대한 기존 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설명하였다.
제3장에서는 다른 지역 사례보고 :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성공적인 사례
를 알아보고 사인시스템 현황 파악을 위해 사례 조사 및 분석, 정리하였다. 연
구 대상지의 안내·유도 사인시스템의 시각적인 요소를 분석한 결과 현재의
공간을 쉽게 인지하는 데 있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 번
째 사인시스템은 공간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가이드맵을
통해 공간 인지의 효율성을 높임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 명료성이 높은 사
인의 요소를 통해 명확한 사인시스템이 구성되어 시각적인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공간과의 조화를 고려한 사인시스템의 색채는 일관성 있
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 연속성을 주어 공간을 인지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네 번째, 이용자 중심의 관점에서 사인을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디자인은 기능적인 측면에서 뛰어난 사인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기여
할 수 있다.
제4장에서는 현재 원도심의 현황과 문제점을 설명하고 제주시 지하상가의 상
가 사인시스템 사례연구를 통해 지하상가를 목적지 또는 쇼핑의 목적으로 하
는 이용자의 길찾기 과정을 확인해보고, 현재의 사인시스템 영향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지하상가를 이용하는 시민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 이용자들은 지하상가 공간 내에서 길찾기의 어
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사인의 방향 정보
전달 및 기본적인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기능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근본적 원인은 복잡한 공간에서 안
내·유도사인시스템이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지 않아 정보의 연결성이 끊어지
고, 공간의 일치성이 없는 불명확한 정보 전달로 인해 웨이파인딩(way
finding)의 기본 역할을 못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사인시스템의 구성
요소도 전달성, 통일성, 공공성에 대한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자의 길찾기를 위한 안내·유도사인시스템의 분석을 통해 보행자, 이용객들을
위한 디자인을 한정된 범위에서 제안하여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정보와
공간을 일치화하여 목적지로의 접근성을 높이고, 적절한 위치에 사인 설치를
통해 보행 중 이동 경로의 결정을 돕도록 하였다.
제5장에서는 설문조사와 분석을 기본으로 한 사인시스템(sign-system)의 효율
적 정보전달을 위해 구성 요소를 일관성 있게 표현하고 디자인 표준화를 통하
여 디자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제6장에서는 연구의 요약과 결론을 설명하고 연구의 의의와 함께 향후 과제에
대한 내용에 대해 언급하였다.
Author(s)
송호림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24
Department
산업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Advisor
김기필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Ⅸ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Ⅱ. 이론적 고찰 5
1 사인시스템 이론적 고찰 5
1) 사인시스템 정의 5
2) 사인시스템 기능 5
3) 사인시스템 종류 9
4) 보행자 중심의 사인시스템 14
5) 사인시스템의 구성요소 17
6) 도장의 구성요소 30
2. 지하상가의 이론적 고찰 32
1) 지하상가의 정의 32
2) 지하상가의 문제점 33
Ⅲ. 웨이파인딩(wayfinding)의 시스템 사례 연구 35
1. 국내사례 37
1)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37
2) 강남역지하상가 42
3) 부평역지하상가 46
2. 해외사례 51
1) 일본 텐진지하상가 51
Ⅳ. 대상지 현황 및 분석 55
1. 대상지 공간 정보 55
1) 제주시 원도심 현황 55
2) 원도심 관련 계획 현황 56
3) 제주시 지하상가 현황 59
4) 제주시 지하상가 문제점 63
2. 대상지 사인시스템 현황 및 문제점 분석 64
1) 지하상가 사인시스템 현황 및 문제점 64
3. 설문조사 66
1) 설문조사 목적 및 방법 66
2) 설문조사 결과 분석 66
Ⅴ. 디자인 제안 81
1. 디자인 범위 81
2. 디자인 개발 81
1) 디자인 방향 81
3. 디자인 가이드라인 82
4. 디자인 시안 88
1) 안내사인 88
2) 유도사인 91
Ⅵ. 결 론 96
1. 연구의 요약 및 결론 96
2. 연구의 의의 및 향후과제 97
참고 문헌 112
부 록 11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산업대학원
Citation
송호림. (2016). 상가 사인시스템(sign-system) 디자인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Industry > Industrial Desig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