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유형별 노인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Elderly Welfare Service Ttyp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복지법 및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사회복지사업법 등 노인복지 관
계법규와 정책과 지침 등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노인복지서비스를 노인입소생활
서비스와 노인재가복지서비스, 노인여가복지서비스로 유형화하여 노인복지서비스
가 노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각각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
의 결과를 통해 노인복지서비스 현장에서 필요한 복지서비스와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정책적 지원을 위한 기초근거를 제공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내 노인복지서비스 제공기관인 노인양로
시설, 노인요양시설, 노인방문요양시설, 노인돌봄센터, 노인복지관, 경로당에서 복지
서비스를 이용하는 60세 이상 남녀노인 543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 하였고 연구도
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문 문항은 노인의 일반적인 특성 8문항, 심리적복지
감 25문항, 자아존중감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수행을 위해 노인의
개념과 심리적 특성, 노인복지서비스 유형, 노인의 심리적복지감, 노인의 자아존중감
을 이론적 배경으로 적용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와 관련한 여러 가지 복지
서비스 중 노인입소생활서비스와 노인재가복지서비스, 노인여가복지서비스를 유형화
하고 조작적 정의를 하여 연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 18.0(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
리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각 변수들의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노인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유형의 차이를 살펴보
기 위하여 카이스퀘어 분석(x²검증), 노인복지서비스 유형이 심리적복지감과 자
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노인의 심리적복지감
과 자아존중감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유형에 의한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 수준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각각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노인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복지감,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연구 결과는 노인입소생활서비스, 노인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보다 더 높은 긍정적복지감을 가지고 있음
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서비스 유형에 따라 긍정적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노인입소생활서비스, 노인여가복지서비스를 이
용하는 사람이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보다 더 낮은 부정적복지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서비스 유형에 따라 부정적복지감에 미치는 영
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노인입소생활서비스, 노인여가복지서비스
를 이용하는 사람이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보다 높은 자아존중감
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동시에 서비스 유형에 따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 노인복지서비스 유형별 이용 노인의 심리적복지감, 자아존중감의 수
준과 관련한 연구결과 긍정적 복지감은 노인여가복지서비스, 노인입소생활서비
스, 노인재가복지서비스 순으로 노인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긍정적복
지감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의
긍정적복지감 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부정적 복지감은 노인재가복지서비스,
노인입소생활서비스, 노인여가복지서비스 순으로 노인입소생활서비스와 노인여가
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보다 노인재가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이 부정적
복지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복지서비스 상호작용 효과에 의한 노인
의 심리적복지감, 자아존중감의 수준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긍정적 복지감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유형의 이원변량분석 결과, 성별, 연령대, 이용기간, 서비
스결정, 건강상태와 서비스유형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
로 나타났으나, 친구관계와 현재의 어려움과 서비스유형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정적 복지감에 대한 일반적 특성
과 서비스 유형의 이원변량분석 결과, 성별, 연령대, 서비스결정과 서비스유형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용기간, 건강상
태, 친구관계, 현재의 어려움과 서비스유형에 대한 주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존중감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유형의 이원변량
분석 결과, 성별, 연령대, 이용기간, 서비스결정, 건강상태, 현재어려움과 서비스유형
의 상호작용 효과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와 서비스
유형의 상호작용 효과 역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노인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의 수준은 이용
하는 서비스유형에 따라 서로 다른 영향을 보이고 있으며 노인여가복지서비스와
노인입소생활서비스에 비해 노인재가복지서비스 이용자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
존중감의 수준이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여가복지시설과 생활시설에 대한 지원
강화는 물론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고 있는
재가복지사업에 집중적인 복지사업의 강화와 프로그램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노인복지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이 지각하
는 개인별 특성이 서비스 이용자 개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영
향이 있음에 따라 서비스 제공 시 사회복지사, 상담사, 보건의료 분야 등의 전문
가들이 참여하는 종합적이고 개별화된 맞춤 서비스로서 노인의 건강관리와 지역
사회 인적네트워크 등을 활용한 관계증진프로그램, 해결 중심의 상담 등 서비스
를 통해 서비스의 효과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역 거주 노인의 복지
사각지대 문제 해소와 서비스 수요자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원 등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미래지향적인 노인복지서비스 체계 개선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have a look at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of the elderly using each service by classifying various elderly
welfare services, which are offered based on the elderly welfare service-related
laws and regulations, policies, and guidelines, such as elderly welfare act, elderly
long-term nursing insurance act, and social welfare service act, into three
categories: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elderly
welfare servic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also set in providing basis for policy support, and
giving direction of necessary welfare service and programs to elderly welfare
service field
To fulfill these purposes, the study surveyed the elderly people over 60,
who use facilities for elderly welfare service in Jeju, such as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elderly, elderly care facilities, elderly care center, seniors welfare center,
and senior citizen center. For the study measurement tool, a questionnaire was used,
consisting of the elderly's general characteristics-related 8 items, and
self-esteem-related 10 items. Also, concept and psychological traits of the elderly,
types of elderly welfare service, and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ing and
self-esteem were applied as theoretical backgrounds to conduct the research. This
study classified, and operationally defined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among
various elderly-related welfare services.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by SPSS for Window 20.0.
Frequency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executed to investigat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chi-squared analysis was execu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to analyze the effect of elderly welfare service types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one-way ANOVA was
executed to have a look at the differences of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the result of the effect of elderly welfare service on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the elderly using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had higher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using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n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differed
according to types of service. Also, the elderly using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had lower negative
psychological well-bing than those using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n negative psychological welfare differed according to
types of service. Furthermore, the elderly using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had higher self-esteem than those
using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at the same time, the effect on
self-esteem according to types of service.
Secondly, as the result of a research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fare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ypes of elderly welfare system,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is high in order of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elderly institution-living, and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In other words,
while the elderly using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scored the highest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those using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scored the lowest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is high in order of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elderly
institution-living,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The elderly using elderly
home care welfare system scored highest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than
those using In other words, while the elderly using scored the highest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those using elderly institution-living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Thirdly, the level of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affected by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interaction
effect of elderly welfare service did not have significance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service types' two-way
ANOVA, sex, age, use of period, service decision, physical condition, and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ervice. However, it had significance on relationship
with friends, current difficul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ervice. Also,
the level of the elderly's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affected by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lderly
welfare service it did not have significance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negative psychological well-being, service types' two-way ANOVA, sex, age,
service decision,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ervice. However, it had
significance on use of period, use of period, physical condition, relationship with
friends, current difficul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ervice. In
addition, it did not have significance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positive
psychological well-being, service types' two-way ANOVA, sex, age, use of
period, service decision, physical condition, current difficulty,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ervice; however, it had significance on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the interaction effect of types of service.
In conclusion,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the followings:
Most of all, the level of the elderly's psychological welfare and
self-esteem differs according to the types of service. The self esteem of the
elderly who use elderly home care welfare system is lower than those of the
elderly who use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therefore, it is necessary not only to develop programs of elderly
institution-living welfare service and elderly leisure welfare service, and to
support and develop elderly home care welfare service, which scored relatively
lower self-esteem of the elderly. Also, individualized health service and
relationship promotion service through associations with local community,
which are planned by social workers, and experts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should be offered, based on the fact that the elderly's perceived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condition, and relationship with friends
have an effect on the level of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elf-esteem.
Like the above, It is expe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would be
applied and become the base in giving direction of elderly welfare policy and
offering stronger, and more effective welfare service.
Author(s)
김진우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28
Alternative Author(s)
Kim, Jin Woo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문제 및 가설 6
Ⅱ. 이론적 배경 8
1. 노인 및 노인복지 개념 8
2. 노인복지서비스 및 서비스유형 11
3. 노인의 심리적복지감 22
4. 노인의 자아존중감 23
5. 선행연구의 고찰 25
Ⅲ.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도구 33
3. 통계처리 34
Ⅳ. 연구결과 및 해석 35
1. 노인복지서비스 유형에 따른 대상자의 일반적특성 35
2. 노인복지서비스 유형이 심리적복지감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39
3. 노인복지서비스 유형에 따른 노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 수준에 차이 41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서비스 유형에 의한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의 수준 45
Ⅴ. 논의 및 제언 52
1. 논의 52
2. 제언 55
참고문헌 57
Abstract 65
부 록 6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진우. (2016). 유형별 노인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심리적복지감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