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Abstract
현재 우리나라 전체 인터넷 이용자의 6.9%, 청소년은 12.5%가 인터넷 중독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문제가 심각하다. 청소년기의 인터넷 중독은 신체적, 정신적 발달
과 성장에 큰 걸림돌이 될 수가 있어서 청소년들에게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전 예방과 치
유는 교육적으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실에서 국가에서도 매년 인터
넷 중독 예방 및 해소 추진계획을 범정부 차원에서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여러 연구
자들에 의하여 인터넷 중독 청소년에 대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인터넷 중독 청소년에 대한 치료프로그램은 주로 실내에서 시행되고
있다.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은 닫힌 공간에서 사이버란 가상세계에서 인터넷을 강박적
으로 사용하여 내성과 금단현상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치료는 닫힌 공간이 아닌 열린 공간에서 여러 가지 상호작용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스스로 인터넷 사용조절 능력과 자기효능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숲 체험활동이 필요하
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연구1과 연구2로 구분하였다.
연구문제 1.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성 할 것
인가?
연구문제 2.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2-1.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은 인터넷 중독 점수완화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2-2.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은 자기통제력 향상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2-3.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을 것인가?
먼저 프로그램을 타당하게 구성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인터
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모형을 구안하고 이 모형의 절차
에 따라 숲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의하여 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제주특별자치도 00시에 소재한 S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다. 연구대상
자 선정은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검사(K-척도)결과 잠재적 위험사용 군 및
고 위험사용 군으로 판명된 학생 중 교사의 추천과 학부모와 본인의 동의를 얻은
16명이다. 대상 학생들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무선배정 하였다. 실험
집단에는 숲 체험프로그램을 90분씩 총 8회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숲 체험프
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으며 인터넷 중독 예방 교육 등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
는 외부 변인을 통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과 사후 및 추후에 인터넷 중독경향성과
자기통제력 및 자기효능감에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각 집단에서 동질적인 인터넷 중독 및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가지는지
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동질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
증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한 시계열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넷 중독 경향성과 자기통제력 및 자기효능감 척도는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3주 후에 실시한 추후검사
에서도 그 효과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개발모형에 따라
사전요구조사, 선행연구 분석, 전문가의 의견 등을 종합하여 목적 및 목표설정, 내
용구성, 프로그램 예비검증 및 보완 등의 과정을 걸쳐 타당하게 구성되었다.
둘째,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인터넷 중독 점
수 완화와 자기통제력 향상 및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으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
년들의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실천적인 프로그램으로서 의의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특정지역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8회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효
과를 검증하였는데 보다 다양한 대상으로 회기를 증가하여 연구한다면 일반화 가능
성이 더욱 높아 질 것이다. 또한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의 가족 간 원만한 의사소통
의 문제점 등을 고려 할 때 부모동반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숲 체험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인터넷 중독을 완화시키고, 자기통제력 및 자기효능감을 증대시켰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인터넷 중독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중독완화 및
해소 프로그램으로 숲 체험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인터넷 중독
치료를 위한 숲 등 자연에서의 활동이 인터넷 중독의 예방과 치료의 기재로서 작용할 수 있
다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고 본다.
Today Korean teenagers' Internet addiction problem is serious because 6.9% of
all the Internet users and 12.5% of teenagers are addicted to the Internet. Because
teenagers' Internet addiction can hinder their physical and mental development,
prevention and cure for it is educationally very important to them. This reality led
Korean government to make a plan for prevention and cure for the Internet
addiction and put it into action and many researchers to develop the programs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However, the cure programs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are usually
enacted indoors until now. They have a difficulty in daily lives due to tolerance
and withdrawal symptoms after they used the Internet, a cyber space, a virtual
reality obsessionally indoors. Cure should be enacted not indoors but outdoors with
this point of view. Therefore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is necessary for
teenagers because they can develop controling ability of using the Internet and
improve self-efficacy through various interaction. Accordingly This research is for
developing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and
verifying its effect. The research problem is divided into inquiry 1 and inquiry 2 as
follows.
Inquiry 1. How is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organized validly?
Inquiry 2. What is the effect of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2-1. Is the program effective for lowering the score of the Internet addiction?
2-2. Is the program effective for enhancing self-control?
2-3. Is the program effective for enhancing self-efficacy?
First of all, I made the developing model for a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and developed the program by the procedure of the
model in order to organize a program properly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I verified the effect of the program like this
procedur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ere students of the second graders of S
middle school in a city, Jejudo. The selection of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done to the 16 students who were identified as latent risky users and
high risky users by Korean Internet addiction self-diagnosis test(K-scale),
recommend by their teachers, and approved by their parents and themselves.
They are assigned random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with 8 members. The experimental group joined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8 times, 90 minutes per one time. The control group didn't take
anything including the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education for controling
outer factors which can affect the experiment.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I gave a pretest, a posttest and a
further test to check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n other words, I
gave them a pretest for homogeneity to find out if they have the
homogeneous Internet addiction,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Besides, I had
a time series analysis of variance with the pretest as a covariance and I also
had a paired-t-test to check the difference of the two groups by period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s that levels of the Internet addiction
tendency,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between comparative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nd a further test
that was conducted 3 weeks later after the program showed that the effect
had lasted. The conclusion is as in the following by the result of the
research.
First,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was
validly constituted in the process of setting aims and objectives, constituting
contents, pre-verifying and supplementing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model
of developing program including pre-demand survey,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nd experts' advice.
Second,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had an effect on lowering participants' scores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improving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t shows that the program which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a practical program which is
applicable to the teenagers who have a difficulty in their everyday lives due
to the Internet addiction.
However, the program was applied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a
specific area at 8 times. The possibility of generalization of the program will
be increase if the program is applied for more students in different areas at
more times. Furthermore,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accompanying their
parents is necessary because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have a difficulty
in communicating in their family.
If the results are put together, this research is very significant since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for the Internet addicted teenagers alleviated their
Internet addiction and enhanced self-control and self-efficacy. It is anticipated
that the program will be used as a program of alleviating and solving their
Internet addiction. In addition, it can be suggested that activities in nature for
curing the Internet addiction may be utilized as a mechanism for preventing
and curing the Internet addiction.
Author(s)
오창홍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40
Alternative Author(s)
Oh, Chang Hong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박정환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9
1. 인터넷 중독 9
가. 인터넷 중독의 개념 9
나. 인터넷 중독의 증상 11
다. 인터넷 중독의 원인 15
라. 청소년과 인터넷 중독 18
마. 인터넷 중독과 숲 치유인자 20
바. 자기통제력과 자기효능감 및 인터넷 중독의 관계 24
2. 자기통제력 25
가. 자기통제력의 개념 25
나.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발달 26
다. 청소년의 자기통제력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28
3. 자기효능감 29
가. 자기효능감의 개념 29
나.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의 발달 30
다.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32
4. 숲 체험 프로그램 33
가. 숲의 개념과 효능 33
나. 인터넷 중독 청소년과 숲 체험 35
다. 숲 체험 프로그램 37
라. 프로그램 모형 분석 41
마. 인터넷 중독 청소년과 숲 체험 프로그램 구성방향 51
바.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모형 52
Ⅲ. 프로그램 개발 과정 및 결과 58
1.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의 실제 58
2.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구성 결과 113
Ⅳ.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효과 검증 115
1. 연구가설 115
2. 연구방법 115
3. 숲 체험 프로그램 효과 검증 결과 120
Ⅴ. 논의 및 결론 145
1. 논의 145
가.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논의 145
나.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논의 149
2. 결론 및 제한점 153
참고문헌 156
Abstract 170
부 록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설문지 (학부모용) 174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설문지 (학생용) 178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설문지 (상담가용) 182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설문지 (교사용) 190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설문지 (전문가용) 197
한국형 청소년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K-척도) 206
자기통제력 척도 207
자기효능감 척도 208
프로그램의 내용 타당도 검증을 위한 설문지(전문가) 209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진행 지침서(예비검증) 212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 진행 지침서(실험집단) 215
프로그램 진행 시 준비물 237
프로그램 개발모형 240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대학원
Citation
오창홍. (2016). 인터넷 중독 청소년을 위한 숲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