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 질문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n Analysis of Unit Introductory Question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Abstract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단원
도입학습 부분 중에서도 단원 도입 질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는 매 단원 도입부마다 하나의 질문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질문을 실제 현
장에서 교사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적극 활용할 수 있는지 방법을 찾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1학년부터 6학년까지 국어 교과서에 제시된 단원 도입 질문을 분석
해 보았다. 단원 도입 질문과 단원 도입부의 다른 요소들과의 관계를 분석하고
그 의미와 역할을 바탕으로 한 기준을 설정하여 유형화하였다. 유형화 한 결과에
따라서 학년군별 유형의 경향성과 지도 방법을 강구하고자 하였다.
교과서는 여전히 현장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교육과정을 구체화 할 수 있는
학습 자료이다. 특히나 국어 교과서의 경우 매 단원마다 체계적인 단원 구성 요
소와 개발 방향에 따라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교과서에 실린 작은 부분들까지도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동안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단원
도입부의 질문에 관한 관심이나 연구가 부족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해 이에 대
한 이해도를 높이고, 앞으로 단원도입 질문은 개발할 때에는 어떠한 부분을 개선
해야 할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Ⅱ장에서 본 연구에 필요한 이론적인 배경을 정리해 보았다. 1절에서는 교과서
와 단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교과서의 기능과 교과서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살
펴봄으로써 교과서 분석이 필요한 이유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원의 개념과 구
성요소를 정리하였다. 2절에서는 단원도입의 의미와 역할을 통해 단원도입의 중
요성을 정리하고 단원도입이 갖추어야 하는 요소들을 여러 연구자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서 살펴보았다. 이어서 다른 교과의 단원 도입의 제시 방식을 알아봄으로
써 국어 교과서의 단원 도입 방식과 비교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 3절에서
는 본격적으로 단원 도입 질문의 의미를 정의하기 위해 이와 관련하여 학습 질문
의 개념을 탐색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단원 도입 질문이 무엇인지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주제가 되는 개념을 정리하였다. 4절에서 구체적으로 국어 교과서의
단원 도입 질문의 특징을 유형별로 정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이 단원 도입 질문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
인하고 단원 도입 질문의 분석 방법을 정리하였다. 분석은 크게 단원 도입 질문
자체에 대한 분석과 단원 도입 질문 활용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Ⅳ장에서 단원 도입 질문을 분석한 결과와 그 활용 방안 및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먼저 단원 도입 질문이 단원 도입부의 다른 구성 요소인 단원명, 삽화와
얼마나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지를 찾아보았다. 다음으로는 앞서 제시했던
단원 도입 질문의 특성을 바탕으로 유형화 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그 결과를 학
년군별로 묶어서 제시한 후에 각 유형이 차지하는 비중의 경향성을 분석하여 그
의미를 해석해 보았다. 더불어 지도서에서 단원 도입 질문의 지도 방안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분석과 동시에 실제 현장 교사들의 단
원 도입 질문 활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단원 도입 질문의 지
도 방법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nalysis of unit introductory question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looking for the way to understanding
and teaching of the unit introductory question in Korean textbook.
Textbooks are still used that can flesh out the curriculum that is
most common in classroom. Especially, every unit of Korean textbook
made according to the systematic unit components and direction.
Therefore, even small parts of the textbook, it has significant
meaning. Meanwhile there is the lack of interest and research about
unit introduction section and introductory questions of the textbooks
so this study increases our understanding and suggests the idea for
making introductory question.
Chapter Ⅱ describes the necessary theoretical backgrounds in this
study. First, let's have a look for the function of textbook and
concept of the unit. As changing about the perception of the
textbook, textbook analysis is necessary at the reasons. This part
also describes components of the unit. Second, it organized
introduction section's importance through the meaning of the
introduction chapter and their roles, and the essential elements of it
from the results researchers synthesizing. Furthermore this study
presents the way of introduction in other subject's textbook for
comparing it with Korean textbook. Third, as searching for the
concept of learning question it can be helpful to define the meaning
of introductory question. Fourth as organizing introductory questions
as three other type it gives shape to topic.
Chapter Ⅲ confirms once again that the target section is the
introductory questions of this study. They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two different sides. One is the way
that analysis themselves the other is asking questions it was done.
Chapter Ⅳ section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introductory
questions and its utilization and improvement. First it looked for
something that introductory questions section are how close and
relevant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unit introduction. Next the
study summarized the results of typ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roductory questions presented chapter Ⅱ. After presenting the
results they grouped by grade groups the study analyzed the trends
in the proportion of each type occupies and interpreted their
meaning.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d the question of the
actual scene utilization of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 more
effective way to teach using introductory questions and the way how
improvement introductory questions for next new curriculum.
Author(s)
고아라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43
Alternative Author(s)
Ko, A Ra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Advisor
이주섭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ⅶ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2
3. 연구 내용 및 제한점 3
가. 연구 내용 3
나. 연구의 제한점 4
Ⅱ. 이론적 배경 5
1. 교과서와 단원 5
가. 교과서의 기능 5
나. 교과서관 6
다. 단원의 개념과 구성요소 7
2. 단원 도입 10
가. 단원 도입의 의미와 역할 10
나. 단원 도입의 구성요소 13
다. 단원 도입의 제시 방식 14
3. 단원 도입 질문 19
가. 학습 질문의 개념 19
나. 단원 도입 질문의 개념 및 특징 21
다.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부와 단원 도입 질문 25
라.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 질문의 특성 27
Ⅲ. 연구 방법 35
1. 분석 대상 35
2. 분석 방법 35
Ⅳ. 연구 결과 37
1.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 질문 분석 37
가. 교과서 단원 도입 질문과 단원 도입부와의 관계 분석 37
나. 교과서 단원 도입 질문의 유형 분석 42
다.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 도입 질문 지도 방안 분석 67
2. 단원도입 질문의 활용 및 개선 방안 71
가. 단원 도입 질문의 활용 실태 분석 71
나. 단원 도입 질문의 유형별 활용 방안 77
다. 단원도입 질문의 개선 방안 83
Ⅴ. 결론 및 제언 86
참고 문헌 89
ABSTRACT 92
부 록 9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고아라. (2016). 초등 국어 교과서 단원 도입 질문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