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온작품읽기를 통한 초등 독서 지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Primary Reading Guide through Reading the Whole Work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온작품읽기를 통한 독서 교육의 새로운 지도 방안을 연구
하는 데 있다. 현재의 독서교육은 읽기교육과 문학 교육 사이에서 본인의 자리
를 잡지 못하고 있으며 연구 또한 척박한 실정이다. 반면 국민들 사이에서는
독서운동이라는 말이 자연스럽게 적용될 정도로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기는 하
다. 종전의 문학· 읽기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읽기를 강요하거나 정해진 기능을
익히기 위한 보조자료로서의 텍스트 읽기가 우선시되었다. 이에 하나의 완성된
문학작품을 활용하여 일상생활과 학습 상황에서 필요한 비판적이고 창의적인
독서 능력을 기르고 다양한 방향으로의 독서활동을 경험함으로써 바람직한 독
서 태도를 기르고자 한다.
Ⅰ장에서는 새로운 독서지도의 필요성과 기존 연구을 살펴보았으며 Ⅱ장에서
는 이 연구의 시작점인 독서의 변화된 의미와 현행 독서의 실태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온작품읽기의 개념과 그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온작품읽기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1절에서는 지도 방안 모
색을 위한 기본적 원리를 추출하였고, 2절에서는 지도의 방법을 구안하여 온작
품읽기의 전체 흐름을 제시하고 각 단계에서 이루어질 활동의 틀을 제시하였
다. Ⅳ장에서는 온작품읽기 활동을 실행하기 위해 1절에서는 적용대상과 방법
을 제시하고, 2절에서는 온작품읽기 활동을 통한 독서교육 계획에서 텍스트를
선정하는 기준과 선정과정, 세부지도계획을 세우고, 4회의 수업을 제시한다.
그리하여 총 10회기로 짜여진 수업에서 특징이 될 만한 4개의 수업을 구체적
으로 기술하였다.
Ⅴ장에서는 온작품읽기 지도의 결과를 원리가 어떻게 구현되었는지 살펴보고
학생의 변화를 전체 설문 및 개별 학생의 쓰기 결과물과 인터뷰를 통해 확인해
본 후 온작품읽기 지도에 있어서 교사가 가졌던 고민을 정리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온작품읽기를 통해 학습자들은 작품을 읽을 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읽
기 전략을 터득하게 되었다. 다른 다양한 텍스트를 만났을 때도 적용 가능한
어휘지도와 작품을 읽어가는 과정에서 배경지식을 활용하거나 앞뒤 문맥을 살
피는 등의 전략을 활용하여 다층적 의미를 읽어낼 수 있었다.
둘째, 함께 읽기의 즐거움을 알고 독서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높아졌다. 함
께 읽기는 교과서 제재에서도 자주 하던 활동이기는 했다. 온작품읽기에서는
다른 학습자와 함께 읽기의 즐거움을 나누게 되었고 학습자들은 이후 더 자주
책을 함께 읽고 싶어 했다.
셋째, 학습자들은 작품에 대해 개별적으로 의미있는 문학 작품 읽기의 경험
을 하게 되었다. 학습자들은 한 작품을 읽으면서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깊이
있는 사고와 정서적 반응을 끌어낼 수 있었다.
넷째, 온작품읽기 활동에서는 읽기에서 자연스럽게 듣기·말하기로, 쓰기로 이
어지는 통합적 수업이 이루어졌다. 총체적 언어교육에서 주장하듯이 자연스러
운 환경에서 언어를 익힐 수 있게 하며 훈련을 한다기보다 실제로 필요한 부분
에서 그 기능을 익히고 표현할 수 있었다.
다섯째, 학습자들은 읽은 내용에 대해 분석, 종합, 평가하거나 자신의 판단을
형성하는 비판적 사유를 경험할 수 있었다. 학습자들끼리의 생각을 나누는 과
정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이는 다시 독자와 텍스트 사이의 교류를 계속해서
강화시키고 변화시켜 마침내는 자신의 관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더불
어 작품을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생산하는 경험을 통해 학습자의 삶의 경험을
확장하는 긍정적 계기가 되었다.
온작품읽기는 문학작품을 읽을 때 기본적으로 필요한 읽기 전략을 습득하고
학습자 간의 공유 즉 대화를 통하여 서로에게 도움을 주면서 작품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교과통합을 통해 교과내용과 실제적 학습 그리고 삶 사이의 연관성
을 찾아보고, 토론 및 토의 수업을 통해 논리적이고 비판적 사고력을 함양하면
서 생각을 공유하고 나누며 학생 한 명 한 명이 서로에게 작품의 이해의 열쇠
가 되는, 결국 이러한 문학 이해 경험이 자연스럽게 글쓰기로 이어져 작품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 끊임없이 확장되고 심화되는 양상을 띠게 된다. 이 의미있
는 문학 경험을 통해 학생들의 흥미가 유발되고 독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개선
되어 평생 독자로서의 마음가짐을 갖게 된다.
The focus of the Reading Education, to enable readers as to be
qualitatively meaningful reading be read by recognizing the subject
of work to internalize the work and understand the detailsBecame
able to read a criticism should eventually help to build his view,
associated with life. This study is now shown text on central
functions in education is too much and reading curriculum of
modified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acquisition of a sampling or
deformation capability. The functions of one's work to the full
reading and reading should naturally be obtained in the process
starts at home.
Safety and security, chapter II chapter, had we seen new reading
through a guide of the needs and existing yeongueul changed
lifestyles of the current reading and the meaning of reading and
the beginning of this study. Look at the problem and saw a look at
concept and its importance to read the whole work. III chapter, all
the work to seek ways to read ways. Extracts the basic principles
and seek guidance in Section 1, 2 Section The whole work at each
step and come up with the context of reading to propose ways on
the guide. Presented the framework of activities to be achieved.
The chapter IV to read the whole work to implement activities,
applications and proposes a method in Section 1 of Section 2 to
read the whole work activity in from Reading Education, through
planning text selection criteria and the recruitment process,
detailed map, with a plan and the four meetings of class will be
presented. So a total of 10 session organized in four sessions might
be in class features specific technology. How the results of the
principles implemented no idea what Jean reading the whole work
in guide and the students of all changes in the questionnaires and
individual students writing results and interview in agony after
seeing all the work on this guide reading teachers had clearance
verified.
Basically, when you read the whole literature reading strategy to
help, to each other and sharing or through dialogue between the
learners acquire work Understanding process. The academic
department through integration found the link between real life
finds logical,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classes and debate and
discussion, to walk each one of them the key to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each other and understand these literary experience is
naturally led to writing personal response to a work constantly
expanding and deepening Stimulates the veneer. This caused
interest of students by significant literary experience, and
self-awareness as readers have improved mind-set as a lifelong
readers.
Author(s)
한상희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44
Alternative Author(s)
Han, Sang Hee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국어교육
Advisor
이주섭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4
가. 꼼꼼하게 읽기에 관한 연구 4
나. 통합 독서 및 몰입독서에 관한 연구 7
다. 실제 수업에 적용된 사례 연구 8
3. 연구 내용 및 제한점 12
Ⅱ. 독서교육과 온작품읽기 13
1. 독서의 의미와 독서교육의 실태 13
가. 독서의 의미 13
나. 독서교육의 실태 14
2. 온작품읽기의 개념과 의의 17
가. 온작품읽기의 개념 17
나. 온작품읽기의 의의 23
Ⅲ. 온작품읽기 지도 방안 27
1. 온작품읽기 지도의 원리 27
2. 온작품읽기 지도의 방법 29
Ⅳ. 온작품읽기 지도의 실행 37
1. 적용 대상, 기간 및 방법 37
가. 적용대상 37
나. 기간 및 방법 37
2. 온작품읽기 활동을 통한 독서교육 계획 및 활동 38
가. 텍스트 선정 38
나. 세부 지도 계획 40
다. 지도의 실제 43
Ⅴ. 온작품읽기 지도의 결과 63
1. 원리의 구현 63
가. 함께 읽기의 즐거움 63
나. 독서와 쓰기의 통합 64
다. 다양한 시각의 공유 67
라. 실제성의 확보 71
마. 상호텍스트성의 심화 72
2. 독서 태도 및 쓰기를 통해 본 변화 73
3. 교사의 고민 79
Ⅴ. 결론 81
참고 문헌 83
ABSTRACT 86
부 록 8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한상희. (2016). 온작품읽기를 통한 초등 독서 지도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