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초등학교 영어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lementary English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s
Abstract
1997년 초등학교에서 영어를 정규 교과로 도입한 이래로 음성언어를 중심으로 한 영어 구사 영어 구사 능력이 더욱 중요시 되면서 영어를 영어로 가르칠 수 있는 초등 교사와 더불어 다양한 영어 교사가 학교 현장에 투입되어 영어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초등영어를 가르치는 초등담임교사, 영어전담교사, 원어민 강사, 영어회화 전문 강사들의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으며 영어 교육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 지 알아보고 영어 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 세 가지 연구 과제를 설정하여 연구를 하였다.
첫째, 현재 초등영어 교과 시간에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는 초등교사, 영어회화 전문 강사, 원어민 강사 간에는 영어교육에 대해 어떠한 인식과 태도의 차이가 있는가?
둘째, 영어 교과를 중심으로 가르치는 영어 전담 경험이 있는 교사와 전담 경험이 없는 교사 간에는 어떠한 인식과 태도의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했던 연구(김익상, 2007)와 비교했을 때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제주도내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교사 128명(영어전담 경험이 잇는 교사:93명, 영어전담 경험 없는 교사:35명), 영어회화 전문 강사 50명, 원어민 강사 62명, 총 240명이며 측정 도구는 Reber(2001)가 사용했던 설문지를 한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은 초등교사, 영어회화 전문 강사, 원어민 교사 세 집단 인식 비교를 위해서는 기술통계분석 및 일원분산분석(One way ANOVA)를 실시하고 영어전담교사와 초등담임교사 두 집단 인식 비교 및 초등 교사들의 약 10년 기간의 인식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김익상(2007)의 연구와의 비교를 위해서는 t검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수업에서 영어를 지도하고 있는 초등교사, 영어회화 전문 강사, 원어민 교사의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세 집단의 인식에 대한 분석 결과 원어민 강사는 제2언어 습득 이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문법 규칙을 연역적으로 방법으로 지도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교육학이나 언어학을 배우지 않은 원어민 강사들에 대해서는 일정 기간 영어 교육 연수를 제공할 필요가 있고 창의적 체험활동이나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에서는 일부 시행되고 있는 점을 볼 때 원어민 교사 단독수업을 지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영어회화 전문 강사의 경우에는 오류를 범할 때 왜 그것이 틀렸는지 '설명'해 주는 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영어회화 전문 강사 채용 연수 과정에서 이와 같은 인식의 개선을 위한 연수가 있어야 한다.
초등교사, 영어회화 전문 강사, 원어민 강사간의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차를 좁히고 바른 인식을 갖도록 연구회 활동이나 다양한 연수 활동을 할 수 있는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영어 전담 교사와 초등 담임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초등 담임교사에 비해 영어 전담 교사가 영어 활용을 훨씬 많이 하고 학생들에게 영어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소집단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불안을 감소시키고 소집단 활동을 잘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어 전담제 운영이 영어 교육에 대한 이해와 영어 지도에 대한 전문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초등교사의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김익상(2007)의 연구와의 비교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학습 이론의 바른 이해, 의사소통적 교수법의 적극적 활용, 학습자 중심 교육, 문화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다양한 방법과 상황을 토대로 한 평가 등에서 2007년과 2015년 사이 초등교사의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는 매우 유의미하고 긍정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이 연구는 제주도내 일부 교사들을 대상으로 했다는 데 연구의 제한이 있으며 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전국 단위 연구가 진행된다면 더 의미 있고 시사하는 바가 클 것으로 보인다.
English has been considered an important subject and it has been given more room in the curriculum since it first appeared on the elementary curriculum in 1997. This has led various kinds of English teachers into schools including full-charge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s. This study aims to reveal diverse elementary English teachers' beliefs and opinions about English education and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past ten years.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formulated for the study. Are there any difference in their beliefs and opinions among elementary teachers,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s and native English instructors?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eachers with full-charge teaching experience in English and the ones with no full-charge experience? What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during the period between Kim(2007) and the present study(2015)?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 128 elementary teachers (93 with experience in full-charge English teaching 93, 35 with no experience in full-charge), 50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s, and 62 native English instructors. The study uses a Korean-version of the same measurement in Reber(2001), Kim(2007), and Yang(2007).
To compare three different groups of elementary teachers,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s and native English instructor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T test was also performed to compare the recognition between full-charge English teachers and homeroom teachers and also to figure out the changes in the past ten years between Kim(2007) and the present study.
The results and findings are summarized in three parts.
Firstly, the results of their beliefs show that native English instructors seem not to fully understand elementary English curriculum and tend to prefer to teach grammatical rules with deductive method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nglish training programs for native English instructors who did not learn Pedagogy or linguistics. Considering that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fter-school programs partly come into force, it should be avoided for pooly qualified native English instructors to participate in teaching by themselves. Furthermore, national support for diverse research activities and training activities will be needed to narrow the different views on English education among elementary teachers, English conversation instructors and native English instructors.
Secondly, on analysis of the different views on English education between elementary class teachers and English subject only teachers, it is found that full-charge English teachers not only use much more English and encourage students to use English a lot more than elementary class teachers do, but also reduce the anxiety of learners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and make good use of them. Consequently, English subject only teaching can be useful to understand English education and increase expertise in teaching English.
Thirdly, comparative analyses are done in order to figure out any meaningful changes about the awareness and the attitude of English education between the previous study(by Iksang Kim, 2007) and that of present elementary teacher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erms of understanding language learning theory, making full use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implementing learner-centered education, appreciating the importance of culture education and estimating based on diverse ways and situation, very meaningful and positive changes occurred to elementary teachers both in 2007 and in 2015.
However, this study has a limit in tha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teachers who live only in Jeju Province. Therefore, nationwide study on elementary teachers' beliefs and attitude of English education would be more meaningful and provide more beneficial implications for English education.
Author(s)
김수자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52
Alternative Author(s)
Kim, Su Ja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영어교육
Advisor
김익상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iv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의 과제 2
Ⅱ. 이론적 배경 3
1. 관련 이론 및 교수 방법
2.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9
1. 연구 대상 9
2. 측정 도구 9
3. 분석 방법 10
Ⅳ. 연구 결과 11
1. 초등교사, 영어회화전문 강사, 원어민 강사의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 11
2. 영어전담 경험 유무에 따른 영어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 37
3. 초등교사의 영어 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39
Ⅴ. 결론 및 제언 53
참고문헌 56
ABSTRACT 57
부 록 6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수자. (2016). 초등학교 영어 교사들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