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해녀 생애사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revitalization strategies of cultural contents through storytelling focused on life history of Jeju Haenyeo
Abstract
제주해녀의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등재를 앞두고 제주여성의 강인한 삶을 대변하는 제주해녀의 삶과 가치를 문화적 관점에서 조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제주해녀는 제주 해양경제를 이끌어 온 어업군으로서의 위상으로만 조명되어왔고 행정 역시 해녀들의 물질작업에 대한 자원이나 잠수병 치료 등에 대한 접근으로 제주해녀의 문제를 인식해왔었기 때문이다.
제주해녀가 국가를 대표하는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이라는 글로벌 브랜드의 취득을 앞두면서 과연 제주해녀의 어떤 부분이 미래세대에게 전파해야 되는 지속가능한 무형 문화유산의 가치이고, 글로벌 브랜드로서의 문화콘텐츠를 어떻게 마련하여야하는가에 대한 문제인식을 갖게 되었다.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제주해녀만이 지닌 특유의 문화 속성들을 파악하고 제주의 고유한 문화원형들 가운데서 특히, 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어떻게 스토리텔링을 잘 활용하여 문화콘텐츠로서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세계적인 브랜드로 만들 수 있느냐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 데 있다. 궁극적으로는 해녀 문화 및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보존을 위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세계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세계적인 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제주해녀의 고유한 문화원형을 활용한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과 브랜드화를 통한 제주해녀의 지속가능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다.
그 중에서도 제주해녀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생애사에 관한 이론적 배경, 제주해녀의 원형콘텐츠를 활용한 OSMU(One Source Multi Use)의 사례를 함께 조사, 정리하였다.
특히 생애사 연구는 제주해녀에 대한 각종의 기특과 연구자료, 직접 대면 등의 생생한 목소리를 통해 그녀들의 제주해녀로서의 삶과 생활을 직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활용해서 어떻게 스토리텔링하여 현재는 물론 미래세대까지 제주해녀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삶과 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을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제주해녀의 문화콘텐츠 사례분석은 무대공연, 축제, 방송, 영화, 음악, 인프라사업, 만화·애니메이션, 캐릭터, 출판 등의 다양한 활용사례 연구와 더불어 일본 아마의 사례분석도 병행했다. 일본의 아마가 제주해녀보다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등재추진이 늦었지만 국가적 차원에서의 등재노력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고, 일본 아마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한 다각적인 콘텐츠 활용사례를 분석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로 해녀문화와 공동체의 지속가능성과 보존을 위한 문화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제주해녀 문화콘텐츠 관련 법·제도 기반 강화
둘째, 제주해녀 문화콘텐츠 전담부서와 전문성 강화
셋째, 제주해녀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질적 지원
넷째, 제주해녀의 자력화와 네트워크 구축

올해 말이면 제주해녀는 유네스코의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가 될 것으로 우리는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유네스코 등재가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유네스코 등재는 거쳐 가야 할 당연한 과정 중의 하나일 뿐이다. 제주해녀문화의 세계화는 유네스코 등재를 넘어 제주사람에 대한 가치, 도민의 자존감과 국가브랜드로서 세계에 한국여성문화의 대표성으로 그 위상을 드높이는 의미 있는 일이다.
유네스코 등재를 넘어 제주도와 한국을 넘어 세계로 제주해녀문화가 공감대를 확산하려면 세계인의 언어라고 하는 '문화'라는 관점에서 더욱 적극적인 정책과 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다. 제주인만이 아닌 국내외의 문화예술가들이 제주해녀를 소재로 작업할 기회를 제공하고, DB자료 구축과 제주해녀 아카이브 작업에도 속도를 내어야 할 것이다. 그래야 거친 자연을 이겨내며 뜨거운 삶을 살아낸 위대한 제주 어머니들의 가치를 지켜내는 일이 될 것이다.
In registering Jeju Haenyeo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voices are urging that we have to see Jeju Haenyeo's life and value that represents Jeju women's strong spirit from the cultural point of view. Jeju Haenyeo has only been seen as a fishing worker who has led Jeju maritime economy and their issue was dealt only to support their work or for decompression sickness cure.
As Jeju Haenyeo is about to acquire the global brand,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ustainability of intangible value of Jeju Haenyeo and how to prepare cultural contents as a global brand to pass down to the future generation.
This study was aimed at suggesting a direction to make Jeju Haenyeo a global brand to represent Korea as a cultural content making the best use of storytelling abou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fter examining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Jeju Haenyeo. Ultimately, the study was aimed at developing storytelling for sustainability and preservation of Haenyeo and communities and suggesting a plan to activate the global cultural contents to attract the world's attention.
For the purpose, the study sought for the possibi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lan through branding of Jeju Haenyeo as a cultural content using the unique cultural feature of Jeju Haenyeo. To study a plan to activate the cultural content with storytelling of Jeju Haenyeo, the study collected and arranged examples of OSMU(One Source Multi Use) us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fe history and proto contents of Jeju Haenyeo.
In studying life history, the study could understand the life of Jeju Haenyeo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by various materials, research data and direct interviews. Using the data, the study also studied how to use the data in storytelling for Jeju Haenyeo's sustainable development and to be help of their life in the present and the future.
Moreover, the study conducted and example anlaysis of cultural contents of Jeju Haenyeo along with Japanese Ama as well as various applications in performance, festivals, broadcasting, movies, music, infra business, cartoon and animation, characters, publishing, etc. Although the Japanese Ama began preparation for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ater than Jeju Haaenyeo, the study analyzed what Japan was doing for the registration and various contents applications to promote Ama all around the world.
As the result, the study suggested a plan to activate the cultural contents for sustainability and preservation of communities and Haenyeo culture as in the following.

First, enhancing legal and political foundation in relation with Jeju Haenyeo cultural contents.
Second, enhancing departments in charge of Jeju Haenyeo cultural contents and their professionalism
Third, practical supports for sustainability of Jeju Haenyeo
Forth, establishing network and Jeju Haenyeo's life in their own strength

We are expecting that Jeju Haenyeo would be registered to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by the end of this year. However, the registration shall not be the ultimate goal. It is one of the ways we have to go through. Globalization of Jeju Haenyeo culture is meaningful not just as UNESCO heritage but as the national brand and self-esteem of Jeju people as well as their values to promote Korean female culture around the world.
For Jeju Heanyeo culture to expand its influence on the world beyond UNESCO registration, there shall be more active policies and supports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e', so-called the language of the world. There shall be opportunities for artists inside and outside Korea to work on Jeju Haenyeo and establishment of DB data to speed up the Jeju Haenyeo archive work. This will be the way to prewerve the value of the admirable Jeju mothers who have been fighting against nature with enthusiasm and passion.
Author(s)
이선화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59
Alternative Author(s)
Lee, Sun-hwa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김한일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ⅵ
Abstract ⅸ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생애사 연구 3
1) 생애사 연구의 개념 3
2) 생애사 연구의 의의 5
3) 제주해녀의 생애사 연구 6
2.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7
Ⅲ. 제주해녀의 문화콘텐츠 사례분석 10
1. 제주해녀의 삶과 문화 10
1) 제주해녀의 역사와 삶 10
2) 제주해녀문화 : 생(生)과 사(死)를 함께하는 공동체 문화 15
3) 제주해녀문화 : 공동작업과 굿, 노동요 16
2.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사례 18
1) 문화콘텐츠 산업 진흥 정책 19
2) 무대 공연예술 21
3) 축제 22
4) 방송 24
5) 영화 24
6) 음악 26
(1) 해녀노래 26
(2) 그 외 음악적 시도 29
7) 인프라사업 29
(1) 해녀박물관 29
(2) 한수풀 해녀학교 32
(3) 법환 해녀학교 33
(4) 성산포의 해녀물질공연 35
(5) 혼인지 해녀의 집 35
8) 만화애니메이션 36
9) 캐릭터 36
10) 출판 37
3. 일본의 아마 43
1) 아마 서미트(あま Summit) 47
2) 바다박물관 47
3) 오오사츠 해녀문화자료관 48
4) 아마 마쯔리 - 시라하마 해녀축제 48
5) 아마짱 49
4. 제주해녀의 생태적정서적 삶과 공동체를 살린 문화콘텐츠 52
1) 지속가능한 생태적 삶 제주해녀 밥상 56
2) 여성의 정서적 공동체 여성주의적 거버넌스 구축 58
Ⅳ. 제주해녀의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61
1. 제주해녀 문화콘텐츠 관련 법제도 기반 강화 62
2. 제주해녀 문화콘텐츠 전담부서와 전문성 강화 63
3. 제주해녀문화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실질적 지원 64
4. 제주해녀의 자력화와 네트워크 구축 66
Ⅴ. 결론 및 제언 67
1. 결론 67
2. 제언 69
참고문헌 7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이선화. (2016). 제주해녀 생애사의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