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최정숙』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f Developing 『Choi, Jeong-suk』Storytelling Contents
Abstract
본 연구는 교육자이자 독립운동가인 최정숙 선생에 관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을 위한 것으로, 독립운동가로서 선생과 관련된 자료를 분석하고 1919년 3월 1일 행적을 중심으로 다큐멘터리 시나리오 제작을 위한 시놉시스와 트리트먼트를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최정숙 선생은 1902년 제주읍 삼도리에서 태어나 1909년에 신성여학교를 졸업하고 서울 유학을 떠났다. 전명여자고등보통학교에서 공부하면서 나라를 잃은 민족의 한을 가슴에 품고 민족의식을 키웠다. 경성관립고등보통학교 사범과에 진학한 선생은 일본 교사들의 조선인 차별 교육에 맞서기도 하면서 '나라를 찾을 수만 있다면 내 한 목숨 바치는 게 아깝지 않다'라며 독립을 향한 의지를 표출하였다. 불운의 시절, 학생으로서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행동으로 실천하였으며 3월 1일 만세 운동에 참여하였다.
최정숙 선생은 단순히 3월 1일, 독립만세의 현장에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어린 시절부터 지속적으로 민족의식을 품고 고민하였으며, 그 심화의 단계를 거치며 위기의 순간마다 민족혼을 표현하고 실천하였고 79 소녀결사대를 조직하여 독립만세운동을 도모하다가 3월 1일에 이르자 서울의 중심부에서 만세운동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선생은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서대문 형무소에 수감된 이후에도 독립을 향한 열망을 숨기지 않는다. 일본인 검사와의 심문을 통해 조선도 자유의 나라가 되길 바라서 독립을 원한다고 당당하게 자신의 의견을 밝힌다. 18세의 앳된 나이였음에도 올곧은 정신과 태도로 일본의 총칼 앞에서 물러서지 않았던 것이다.
독립운동가로서의 선생의 의기(義氣)는 5·16 민족상을 받은 제주도 초대 교육감이자 교육자로서의 업적과 순례자이자 수도자의 삶을 살았던 재속프란치스코 회원으로서의 삶에 가려져 지금껏 제주 지역의 사람들에게조차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선생이 걸어온 삶을 기록한 내용 가운데 언급되기는 했지만 사람들의 관심을 끌지 못했던 것이다. 독립운동가 최정숙 스토리텔링의 의의는 여기에 있다.
본 연구는 최정숙 선생의 일대기적 서사구조를 분석하고자 선생의 평전 및 관련 자료를 살펴보았다. 2장에서 살펴본 선생의 자료는 평전, 유품 전시회, 학술세미나, 시, 수필, 논문 등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료는 교육자이자 종교인 최정숙의 진면목을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물론 칠십 평생의 삶에서 교육자이자 종교인으로서 이룩한 업적은 위대하다. 그렇지만 선생이 살았던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그 시절 삶의 여정이야말로 이후 선생의 삶을 짐작케 하고, 오늘날의 대한민국 사람들이 깨닫고 되돌아볼 만한 보편적 가치를 담고 있다. 3장에서 최정숙이라는 인물의 일대기적 서사구조를 살펴보고, 독립운동가 최정숙의 서사와 맥이 닿는 이야기를 뽑아 재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서사의 재구성을 통해 최정숙 다큐멘터리 제작에 필요한 시놉시스와 트리트먼트를 제시하였다.
최정숙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모색하고 개발하면서 가장 염두에 둔 가치는 최정숙의 이야기가 현재를 사는 많은 이들의 공감을 자아낼 수 있는가에 있었다. 나라의 주권을 빼앗긴 아픔의 시대, 국가를 이루는 근간을 빼앗겼던 그 시절, 잃어버린 봄을 찾기 위해 무던히 애를 쓰며 청춘의 시절을 살았고, 서대문형무소에서 복역하며 얻은 지병으로 평생을 앓으면서도 남은 생애에 걸쳐 민족 교육과 의술의 나눔, 사회봉사 활동 등으로 헌신한 선생의 삶이 많은 이들에게 알려져 그들의 삶에 작은 의미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of storytelling contents of Choi,
Jeong-suk, who was an educator as well as an independence
activist. In this study, materials about Choi as an independence
activist were analyzed, and a synopsis and treatment for documentary
film script revolve around her behaviors on March 1st in
1919 were presented.
Choi was born in Samdo-ri, Jeju-eup in 1902, and she went to
Seoul to study after graduation from Shinseong girls' school in
1909. When she studied at Jinmyeong girls' high school, she felt
deep sorrow for Korea which was taken by Japan, and promoted her
national consciousness. After she entered teachers college, she
opposed educational discrimination of Japanese teachers against
Korean and was willing to do anything for independence of Korea,
even risking her life. She had not only agonized what to do as a
student and but also practiced action in real life. Accordingly, she
took part in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Since Choi was young, she worried about Korea with national
consciousness, expressed the national spirit, and practiced action at
the moments of crisis. She also organized 79 girls' dead band and
planned independence movement, and she finally joined the
movement at center of Seoul on March 1st. She did not disguise her
desire for independence of Korea, although she was arrested by
Japanese police and was put in jail at Seodaemun Prison. In
addition, she proudly revealed that she was eager for independence
of Korea while being questioned by Japanese prosecutor. Although
she was only 18 years old, she who had straight mind and attitude
did not step back from Japanese guns and swords. Her heroism as
an independence activist is not well known even to Jeju natives
since it was hidden by her achievements as an educator and a
Franciscan. There are a few documents about her life, but they did
not engage people's at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her life, especially about as an independence activist.
This study examined her critical biographies and related materials
to analyze narrative structure of her life story. Examined materials
are various, such as critical biographies, exhibition of relics,
academic seminar, poem, essay and research papers. Most of them,
however, focused on her life as an educator and a Catholic. Her
achievements as an educator and Catholic in her 70 years life are
great. However, journey of her life in historical maelstrom indeed
has universal value which is worth to realize and look back. In
chapter 3, it was examined narrative structure of life story of Choi
and reconstituted the story as an independence activist. In chapter
4, it was presented a synopsis and treatment for documentary film
script based on reconstituted story. When the documentary content
was developed, the most important value was that Choi's
documentary can arouse public's sympathy. The period of sorrow
because of lost sovereignty, she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reclaim lost country in her youth. Although she had been sick for
rest of her life after the hardship in prison, she had devoted herself
to education, medical service, and social service for public. It is to
be hoped that her life is well known and affect to many people.
Author(s)
이재섭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61
Alternative Author(s)
Lee, Jae-Sub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
Advisor
양진건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ⅵ
Abstract ⅷ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 대상 및 방법 4
3. 역사 인물 스토리텔링의 사례 6
Ⅱ. 최정숙자료 분석 9
1. 회고담 10
2. 평전 14
3. 최정숙 관련 행사 19
4. 기타 23
Ⅲ. 스토리텔링을 통한 최정숙콘텐츠 전략 28
1. 역사 인물최정숙스토리텔링 28
2. 최정숙의 서사 32
Ⅳ. 최정숙스토리텔링 콘텐츠 42
1. 독립운동가 최정숙 스토리텔링 콘텐츠 42
2. 다큐멘터리 긔렴 : 1901 2632 45
Ⅴ. 결론 57
참고문헌 60
부록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이재섭. (2016). 『최정숙』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Storytell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