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十牛圖)』의 접점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angent Points of the Gestalt Therapy and The Ten Ox-Herding Pictures: Focused on Theory of Contact Boundary
Abstract
현대인들은 심리적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고자 하기에 마음의 치유에 관심을 두
고 있다. 마음의 치유 방법은 동양과 서양 간에 차이가 있다. 동양에서는 선가
(禪家)에서 전해 내려오는 선(禪)수행을 통해 심리적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이
있다. 반면에 서양에서는 심리치료를 통해 인간관계를 이해하고 자각하여 심리적
불안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양의 게슈탈트치료와 동양의
불교적 전통을 계승한 선수행법인 십우도 를 비교하여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간의 접점을 찾는 것이다. 연구자는 최근 선수행법을 심리치료에 활용하고자 하
는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점에 주목하며, 선수행의 안내서인 십우도 를 심리치
료에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논문의 최종 목적지
는 십우도 를 심리치료의 기법으로 활용하여 그 치료의 효과를 확장시킬 수 있
는 길을 안내하는 것이 되겠다.
먼저 연구자는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의 개념에 대하여 기술하고,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의 의미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십우도 는 인간의 본성을 찾아가는 단계를 그림으로 표현하여 깨달
음에 이르는 수행의 길을 알려주고 있다. 이것은 게슈탈트치료에서 내담자가 알
아차림을 통하여 자기완성을 추구하는 과정과 같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게슈탈트
접촉주기와 십우도 과정의 개연성을 비교한 결과, 십우도 가 심리치료의 지평
을 품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를 철학적 렌즈로
바라보고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이라는 세 가지 철학적 분석틀로 정돈한 결과
실존성, 자각, 지금-여기라는 지점에서 만나고 있었다.
십우도 에서 참자기를 찾기 위하여 단계적 수행으로 깨닫게 되는 과정은 심리
치료에서 내담자의 심리적인 불안이 잘못된 인식임을 알아차리게 하는 과정과
같다고 할 수 있다. 게슈탈트 치료에서 강조하는 게슈탈트 접촉주기와 십우도
의 깨달음의 과정이 서로 만나고 있다는 점은 최종적으로 십우도 를 게슈탈트
치료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으로 나아간다.
Modern people have a keen interest in mental health and alleviating
psychological stress. Differences in approaching these goals exis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In the East, people release their psychological anxiety
through Zen practice, passed down from the Zen family. On the other hand,
people in the West took an approach in which they resolve their psychological
anxiety by understanding and realizing human relationships through
psycho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ints of
intersection between the Gestalt therapy and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is will be accomplished by comparing the Gestalt therapy of the Wast and
The Ten Ox-Herding Pictures, Zen Buddhist practice of the East.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interest in
harnessing Zen practice for psychotherapy, the researcher tries to present a
direction of properly applying The Ten Ox-Herding Pictures, which is regarded
as the guide of Zen practice, to psychotherapy. The goal of this dissertation is
to identify methods to expand the effect of the treatment, making use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 as a psychotherapeutic technique.
First of all, the researcher―in order to help people understand the
Gestalt therapy and The Ten Ox-Herding Pictures―describes the concepts and
discusses the meanings of the two. The Ten Ox-Herding Pictures, with the
pictures depicting the steps of searching for human nature, leads to the path
of asceticism through which people can reach self-realization. This can be seen
to be the same as the process of a client's seeking to complete oneself
through self-realization in the Gestalt therap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probability of the Gestalt Cycle and the steps presented in The Ten Ox-Herding
Pictures has found out that The Ten Ox-Herding Pictures embraces the horizon
of psychotherapy. What's 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xamination
through a philosophical lens and arrangement in appropriate philosophical
frameworks of ontology, epistemology, and axiology, an encounter occurs at the
points of existentiality, self-awareness, and here-and-now.
In The Ten Ox-Herding Pictures, the process of self-realization through
step-by-step asceticism to find the true self can be the same as the process in
which a client, during psychotherapy, realizes that his or her psychological
anxiety stems from false perception. The fact that the contact boundary period,
which is highlighted in the Gestalt therapy, and the self-realization process of
The Ten Ox-Herding Pictures intersect, leads to the possibility that ultimately
The Ten Ox-Herding Pictures can be applied in the Gestalt therapy.
Author(s)
손명숙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64
Alternative Author(s)
Son, Myoung Sook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서명석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론 1
Ⅱ.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十牛圖) 의 선이해 4
1. 게슈탈트치료 4
가. 게슈탈트치료의 개념 4
나. 접촉경계 / 접촉주기 6
다. 게슈탈트치료의 철학적 분석 8
2. 십우도 의 텍스트 12
가. 십우도 의 개념 12
나. 십우도 의 철학적 분석 19
Ⅲ.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의 접점 23
1. 게슈탈트 접촉주기와 십우도 과정 비교 23
2.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 의 접점 26
가. 실존성(existentiality) 26
나. 자각(self-awareness) 27
다. 지금-여기(here-and-now) 28
Ⅳ. 결론 30
참고문헌 32
ABSTRACT 3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손명숙. (2016). 게슈탈트치료와 『십우도(十牛圖)』의 접점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