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Influence of the Death Attitude and General Self-Efficacy on the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안전의식에 미
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연구자가 구
체적으로 탐구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감 및 안전의식은 차이가 있는가?
향을 미치는가?
의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자는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측면
을 제시하고,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
한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제주특별자치도에 있는 2개 대학교의 남․여 대학생
369명의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안전의식은 대학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특히, 대학생은 나이가 많을수록 죽음에 대한 공포
가 유의미하게 낮았다. 혼자 생활하는 대학생은 가족 혹은 공동체 생활을 하는
대학생에 비해 죽음에 대한 공포가 유의미하게 낮고,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소방
안전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공계열의 대학생이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보다
소방안전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둘째, 대학생의 죽음수용 태도 및 죽음공포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은 대학
생의 안전의식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유의미한 예측변인이었으며, 회귀분
석 결과 10.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대학생의 안전의식은 죽
음수용 태도 경향이 높을수록, 죽음공포 태도 경향이 높을수록, 일반적 자기효능
감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학생의 죽음 태도의 하위요인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분야
별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안전의식의 분야에 따라 예측변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생활안전의식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변인은 접근적 수용, 탈출
적 수용(부적 영향), 죽음회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생활안전의식에 대해
14.5%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방안전의식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
변인은 접근적 수용, 죽음회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소방안전의식에 대해
10.7%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재난안전의식에 대한 유의미한 예측
변인은 죽음회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재난안전의식에 대해 10.9%의 설
명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결과는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안전의식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특히, 죽음 태도와 안전의식간의 관계
를 살핀 국내 문헌이 없는 상황에서 우리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에 대한 심리적
고찰의 첫 시도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의
식 함양을 위해 죽음에 대한 인식개선과 함께 획일적인 안전교육프로그램보다는
개인들이 갖는 죽음 태도를 반영하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분야별
로 특성화된 안전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안전교육프로그램
에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안전사고 및 죽음의 가능성을 피할 수 있음을 알리
는 지속적인 홍보활동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eath
attitude and general self-efficacy on the safety awareness for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researcher addressed these questions:
First, is there sign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 death attitude, general self-efficacy
and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relat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econd, the death attitudes and general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ll influence the safety awareness?
Third, the death attitudes sub-factors and general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ill influence the sectoral safety awareness?
To reach the goal of this study, researcher starts with presenting a
theoretical aspect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secondl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death attitude and general self-efficacy on the safety
awareness through the survey of over 369 university students on two
universities located in Jeju isl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differences between the death attitude, general self-efficacy
and safety awareness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university students. In particular, older university students had lower the fear
of death than youngers. Living alone students had lower the fear of death and
higher the general self-efficacy, fire safety awareness compared to living with
families or communities. The fire safety awareness of students majored in
Science and Engineering were higher tha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Second, there we found that the attitude acceptant death, fear of death and
general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
positive influence on the safety awareness. It was confirmed to have
explanatory power of the results in 10.5% by regression analysis. That is, the
safety awareness of university students stay higher when the tendency to
attitude acceptant death, fear of death and general self-efficacy goes higher.
Third, from the result of how sub-factors for the attitude death of
university students and general self-efficacy influence on the safety awareness,
there we found predictors appeared differently upon on the field of safety
awareness. Significant predictors for life safety awareness were confirmed as
approach acceptance, escape acceptance(negative influence), avoidance of death
and general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o have explanatory power of the
results in 14.5%. Significant predictors for fire safety awareness were
confirmed as approach acceptance, avoidance of death and general self-efficacy.
It was confirmed to have explanatory power of the results in 10.7%. Significant
predictors for disaster the safety awareness were the avoidance of death and
general self-efficacy. And those predictors identified the explanatory power on
the disaster safety awareness in 10.9%.
The results of this study has an importance in that it confirms that the
attitude death and general self-efficacy influences the safety awareness. In
particular, without previous study in korean literature reviews of relations
between the death attitude and safety awareness, that was the most important
first step towards a psychological analysis for our people having safety
frigid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suggested the necessity in
specialized program of safety education by field which reflect the death attitude
for individuals and improve the general efficacy than uniformity program.
Also, taking active part in safety education program, it suggested the need for
continuous PR activities for avoiding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and deaths.
Author(s)
강지숙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66
Alternative Author(s)
Kang, Ji Sook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민호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4
3. 용어 정의 4
Ⅱ. 이론적 배경 6
1. 죽음 태도 ············································································································ 6
2. 일반적 자기효능감 9
3. 안전의식 12
Ⅲ. 연구 방법 17
1. 연구 모형 17
2. 연구 대상 18
3. 측정 도구 18
4. 자료 분석 22
Ⅳ. 연구 결과 23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 및 안전의식
의 차이 23
2.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27
3. 죽음 태도의 하위변인과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분야별 안전의식에 미
치는 영향 30
Ⅴ. 논의 39
Ⅵ. 결론 및 제언 45
1. 결론 45
2. 제언 47
참고문헌 48
Abstract 53
< 부록 1> 죽음 태도 56
< 부록 2> 일반적 자기효능감 58
< 부록 3> 안전의식 5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강지숙. (2016). 대학생의 죽음 태도와 일반적 자기효능감이 안전의식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