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 있는 CPSQ 관심군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Case Study of Art Therapy on Children Who Have Social Problems and Withdrawal/Depression in CPSQ: Child Problem-Behavior Screening Questionaire
Abstract
이 연구는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에 어
떠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참여아동은 CPSQ에서 관심군으로
선별된 초등학교 4학년 여아 1명이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 중 ABA설계를
사용하였고, 독립변인은 미술치료, 종속변인은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었다.
참여아동에게 2015년 10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주 2회 회기 당 50분, 총30회기
의 미술치료를 중재하였다. 연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미술치료 활동내용과
작품을 기록하였다. 미술치료의 효과가 미술치료중재 장면에서와 함께 아동의 주
요생활 장면에서도 나타나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 아동의 모, 상담교사, 지역
아동센터 사회복지사 4명의 관찰자가 정서·행동관찰 평가지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유지기간의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KHTP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
된 자료로서 정서·행동관찰 평가는 그래프로 나타내 분석하여 각 기간별 평균과
변화율을 산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KHTP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분석
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활동내용과 작품을 질적 분석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
다. 회기별 활동모습과 작품내용에서 초기에는 원하는 대로 되지 않거나 힘들게
느껴지면 바로 그만두고 싶어 하였고 연구자에게 의존하였으나 후기에는 자신의
의도대로 되지 않았을 때 의존하지 않고 스스로 방법을 찾아 해결하려는 등 타
인을 배려하는 능동적이고 긍정적인 사회적 행동이 증가하였다. KHTP검사에서
도 사회적 미성숙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질적 분석과 함께 객관적 검사로서 정서·행동관찰 평가에서도 기초선에 비
해 유지기간이 82%낮게 변화되어 사회적 미성숙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둘째, 주요생활 장면에서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에 대한 관찰자
별 변화 양상은 4명의 관찰자와 기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기초선에 비해 유지기간의 변화가 연구자는 93.2%, 아동의 모는 76%, 사회복지
사는 84%, 상담교사는 76%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4명의 관찰자마다 사회적
미성숙의 변화양상은 다르지만 76%이상의 변화를 기록하여 아동의 주요생활 장
면에서도 미술치료의 효과로 인해 사회적 미성숙이 감소되고 그 효과가 안정적
으로 유지되었다.
셋째,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었다.
회기별 활동모습과 작품내용에서 초기에는 자신의 모습이 노출되는 것을 부담스
러워하는 위축되고 회피적인 모습에서 후기에는 적극적이며 자신있는 모습으로
변화되었다. KHTP검사에서도 위축/우울이 사전 검사에 비해 사후 검사에서 긍
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정서·행동관찰 평가에서도 기초선에 비해 유지기간
이 78%낮게 변화되어 위축/우울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넷째, 주요생활 장면에서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에 대한 관찰자별 변
화 양상은 4명의 관찰자와 기간에 따라 조금씩 다른 변화를 보이고 있다. 기초선
에 비해 유지기간의 변화가 연구자는 79%, 아동의 모는 81%, 사회복지사는
69%, 상담교사는 84%의 변화를 기록하고 있다. 4명의 관찰자마다 위축/우울의
변화양상은 다르지만 69%이상의 변화를 기록하여 아동의 주요생활 장면에서도
미술치료의 효과로 인해 위축/우울이 감소되고 그 효과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었
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보아 미술치료가 CPSQ 관심군 아동의 정서·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몇 가지 제한점을 갖고 있으며, 그에 따른 후속연구가 요구
된다. 우선 이 연구는 단일대상 연구로서 연구결과를 일반화 하는데 한계가 있
다. 또한 아동의 주요생활 장면에서의 4명의 관찰자가 실시한 정서·행동 관찰은
미술치료 장면과 동일한 환경이 아니므로 관찰자 신뢰도를 구할 수 없으며 다양
한 변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치
료의 효과를 다양한 장면에서 관찰할 수 있는 보다 정밀한 연구 설계가 필요하
다.
This research's propose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hy on
emotion and behavior of the childeren identified as demanding attention on
their emotion, behavior problem by CPSQ.
Participating child is a 4th grade girl of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used ABA design of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art therapy, the dependent variable was emtion and behavior ;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Researcher had conducted art therapy
to participating child 30times, twice a week for 50minute from 2015. 10. to
2016. 2.
To testify its effect, researcher had recorded activity contents from therapy
and work,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 on main living scene of subject,
researcher not just conducted a KHTP preliminary post inspection, but also
gathered data from the period of baseline, treatment, maintaining using
emotion and behavior observation checklist which had done by a researcher, a
mother of subject, a school counselor, and a social worker from local children
center.
The test of emotion and behavior observation as collected data was
represent as graph and analyzed, effectively verifying its effect by calculating
average and improvements as well as the difference between KHTP
preliminary and post inspection. Furthermore, researcher verified its effect by
quality analysis of contents and works from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by CPSQ.
In early art therapy session, The subject child had wanted to give up and
relied to researcher when she feel tired or things aren't turned out as her
wanting. But by the advanced stage in art therapy her active, positive social
behaviors were increased like trying for solution and not relying anymore
when her intention was not realized.
She showed positive change at post-KHTP inspection than a preliminary
one in social immaturity sector. Not only in qualitative analysis, but also in
emotion and behavior test as objective inspection, social immaturity in
maintenance period marked 82% drop than base line, showing considerable
decrease.
Second, each observer's aspects of transition on social immaturity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s by CPSQ were
showing subtle difference by observer and period. Researcher recorded 93.2%
change on maintenance period comparing with base line, her mother recorded
76%, social worker recoded 84%, and school counselor recoded 76% change.
Aspects of transition in social immaturity are showing a little difference by
each 4 observers, but all 4 recorded not fewer than 76% changes in commo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due to art therapy and maintaining its effect
stably in main livelihood scene.
Third, art therapy was effective on decrease in withdrawal/depression of
child who was identified as having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she has
changed from intimidated, evasive attitude like feeling uncomfortable on being
exposed herself to confident, active attitude in Art therapy session. Also in
emotion and behavior test, withdrawal/depression in maintenance period
marked 78% drop than base line, showing considerable decrease.
Therefore, consider for above research result, art therapy influence positive
effect on emotion and behavior of child who identified as demanding attention
on emotion and behavior problem by CPSQ showing effect on decreasing
social immaturity, withdrawal and depression.
However, this research has some limitations, so following research is
required. In the first place, this research has limitation to generalize as single
subjective research. Also, this research can't find observer confidence degree
because it can't exclude effects from various variables which may be able to
influence emotion and behavior as 4 observers had observed emotion and
behavior of the child in respectively different scene. Therefore, more detailed
research design which can observe the effect of treatment in various scene.
Author(s)
이명숙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69
Alternative Author(s)
Lee, Myoung Sook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민호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4
1) 미술치료 4
2) CPSQ 관심군 아동 4
3) 사회적 미성숙 5
4) 위축/우울 5
II. 이론적 배경 6
1. CPSQ 관심군 아동의 이해 6
1)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CPSQ) 6
2) CPSQ 관심군 아동의 정서행동 특성 8
3) 사회적 미성숙 13
4) 위축/우울 15
2. 미술치료 16
1) 미술치료의 정의 16
2) 미술치료의 이해 17
3) CPSQ 관심군 아동과 미술치료 20
4) 미술치료 선행 연구 21
III. 연구방법 24
1. 참여아동 24
1) 참여아동의 성장배경 24
2) 참여아동의 정서행동특성 25
2. 연구도구 26
3. 연구 설계 및 절차 30
4. 자료처리 및 분석 32
IV. 연구결과 34
1. 양적 변화 34
1) CPSQ 관심군 아동의 사회적 미성숙의 변화 34
2) CPSQ 관심군 아동의 위축/우울의 변화 37
2. 질적 변화 40
1)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 검사(KHTP) 40
2) 미술치료 회기별 활동내용 및 아동의 정서행동의 변화분석 42
V. 논의 106
VI. 결론 및 제언 116
1. 결론 116
2. 제언 118
참고문헌 120
Abstract 129
부록 132
부록 1 학생정서행동특성검사지(CPSQ) 133
부록 2 정서행동관찰 평가지 134
부록 3 미술치료 참여 동의서 135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이명숙. (2016).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우울이 있는 CPSQ 관심군 아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