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Using Metaphor on Collegiate Alexithymia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감정표현불
능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Ⅰ.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 인식 향상
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Ⅱ.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 표현 향상
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문제 Ⅲ.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외부지향적사고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비동등 집단 사전·사후검사 설계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에 의해 실험 연구가 수행되었다.
제주도 내 J대학교의 1, 2학년 197명 중에서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점수가 상위
약 15% 이내의 대학생 4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 중 16명의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실험집단 8명, 통제집단 8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을 실시하
였다. 실험집단에는 3시간으로 구성된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실시
되었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를 사전 및 사후검사로 실시하여 그 변화를 살펴보
았다. 통제집단에는 프로그램이 실시되지 않았고, 동일한 검사가 실시되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한국형 20항목 토론토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TAS-2OK)이다. 이 척도는 Taylor 외(1985)가 개발한 TAS(Toronto
Alexithymia Scale)의 개정판인 TAS-20(Bagby et al, 1994)을 정운선 외(2003)
가 한국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
구자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한 후, 혼합변량분석(Mixed
ANOVA)과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서 인식 향상에 유의
한 효과를 보였다. 감정표현불능증의 하위요소 중, 정서인식 어려움(요인1)에 대
하여 실험집단의 사후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통제집단에서
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서 표현 향상에 유의
한 효과가 있었다. 감정표현불능증의 하위요소 중, 정서표현 어려움(요인2)에 대
하여 실험집단의 사후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지만, 통제집단에서
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외부지향적사고 감소에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감정표현불능증의 하위요소 중, 외부지향적사고(요
인3)에 대한 실험집단 및 통제집단의 사후점수는 각각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 인
식과 정서 표현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 연구자는 특히 자
연물인 돌에 얼굴표정을 은유하는 과정을 이용하여 자신의 정서를 돌에게 투사
시켜 이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돌에 투사된 얼굴표정을 통해 자신
의 정서를 알아차린 후, 미술도구를 이용하여 돌의 표정을 뚜렷하게 표현하는 과
정은 자신의 정서를 이해하는 데에 어느 정도 기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연
구는 국내 연구에서 처음 시도되어졌고, 감정표현불능증 완화 및 추후 정서 이해
프로그램 개발 연구에 은유가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an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using metaphor to treat collegiate alexithymia. The research
questions that will be answered to achieve research purpose are as follows:
Question 1. Will an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using metaphor
influence an increase in collegiate emotional identification?
Question 2. Will an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using metaphor
influence an increase in collegiate emotion expression?
Question 3. Will an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using metaphor
influence a decrease in collegiate externally-oriented thinking?
In order to ident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40 undergraduates who have alexithymia scale scores within the top
15% of first-year and second-year students, 197 undergraduates, at J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South Korea. 16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the 40
undergraduates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each 8 subject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implemented
the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on the experimental group once for 180
minutes and the alexithymia scale was applied for preliminary and post tests.
The same test was taken by a control group which did not undertake the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The measurement tool used in this study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20-item Toronto Alexithymia Scale (TAS-20K). The TAS-20K developed by
Lee, Y.H. (2003) is an adapted version of Bagby et al's TAS-20 (1994) which
was appropriate for Korean society and in turn was developed from the TAS
(Toronto Alexithymia Scale) designed by Taylor et al. (1985).
The research findings were processed by the SPSS Win 18.0 progra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omputed and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to verify the hypothesis were Mixed ANOVA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using metaphor was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collegiate emotional identification.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the
difficulty of emotional identification as a subcategory of alexithymia decreased
meaningfully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program using metaphor presented a significant enhancement in
collegiate emotion expression.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of the difficulty
of emotional expression as a subcategory of alexithymia decreased
meaningful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rd, the program using
metaphor did not result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collegiate
externally-oriented thinking as a subcategory of alexithymia. Even though the
experimental group's score for externally-oriented thinking decreased, the
change was not statistically important.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emotional understand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enhancing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nd it suggests
there i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decline of collegiate alexithymia. This
study contributed in some part to students understanding their own emotions
because they could see their emotional state through projected facial
expressions on stones painted clearly with art supplies.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time in Korea that the effect of metaphor to
understand emotions by projections on natural objects, stones, has been tested
and verified in relation to its effect on alexithymia. This process should be
applied in further research into developing emotion understanding programs to
treat alexithymia.
Author(s)
이소라
Issued Date
2016
Awarded Date
2016.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70
Alternative Author(s)
Lee, So Ra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ⅴ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3
3. 용어의 정의 4
1) 정서 이해 4
2) 감정표현불능증 4
Ⅱ. 이론적 배경 5
1. 정서 5
1) 정서의 의미와 기능 5
2) 정서와 얼굴표정 9
2. 정서 이해 11
3. 감정표현불능증 15
4. 정서 이해와 은유 19
1) 은유의 의미와 기능 19
2) 은유의 치료적 기능과 정서 이해 22
3) 정서 이해에서 은유의 활용 24
Ⅲ. 연구방법 29
1. 실험설계 29
2. 연구대상 29
3. 측정도구 30
4. 실험도구 31
1)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사전 작업 31
2) 프로그램 구성 및 전개 33
5. 통계적 분석 41
Ⅳ. 연구결과 42
1. 정서인식 어려움의 감소 효과 42
2. 정서표현 어려움의 감소 효과 44
3. 외부지향적사고의 감소 효과 45
Ⅴ. 결론 및 논의 47
참고문헌 51
ABSTRACT 59
부 록 6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이소라. (2016). 은유를 활용한 정서 이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