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성차별주의(Sexism)-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성차별주의(Sexism)을 분석하는 것이다. 현행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의 서술 내용을 분석하여 교과서에 성 편향적이고 성차별적인 부분이 있는지를 살피고, 이러한 표현 및 서술이 왜 바람직하지 못한지를 논할 것이다. 그리고 교과서 속 성차별적인 사례와 관련된 현실의 다양한 사례를 비교·제시하고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재현들이 현실 속 불평등을 얼마나 그대로 담아내고 있는지, 어떤 부분에서 잘못 된 것인지를 비판할 것이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교과서 내용 서술이 재현하고 있는 성차별주의와 성역할 고정관념을 밝혀낼 것이다. 그리고 교과서에 재현된 성차별주의는 단순히 교과서만의 문제가 아니라, 현실 세계의 주된 문제 중 한 가지라는 사실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유도할 것이다. 그리하여, 계속된 수정 권고와 비판하는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지 않는 성차별적인 교과서 속 재현에 대한 비판을 하고자 한다. 우리 교과서가 보다 성평등하고 인권친화적인 방향으로 개선되길 바란다. 본 연구의 분석 범위는 중학교 교과서의 지리 영역 부분(1~7단원)이며, 해당 부분에 제시된 사진과 삽화 및 텍스트 자료를 분석하여 교과서의 성 편향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대상이 된 교과서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3종의 교과서로 하였다. 교과서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과 삽화, 텍스트 속 등장인물의 출현빈도에서 성별 편향성이 나타나는가? 이 때, 등장인물의 역할 비중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둘째,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과 삽화 속 등장인물의 활동과 역할 및 태도, 직업은 성별에 따라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가? 셋째, 사진과 삽화 속 인물들의 공간 활동 범위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는가? 만일 그렇다면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분석결과 첫째, 교과서 속 사진과 삽화, 텍스트 속 인물은 여성 인물이 남성 인물의 40~43%의 밖에 출현하지 않아, 모두 남성편향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등장인물의 역할 비중 역시 남성 중심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대개 남성 인물이 상황을 주도하고,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사진과 삽화 속 등장인물의 활동은 여성 인물이 남성 인물에 비해 소극적이고, 보다 적은 활동을 하며(여성의 활동 개수는 남성 활동의 1/3이다), 그나마도 성역할 고정관념화 되어 있는 활동들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컨대, 남성 인물이 스키를 타고, 암벽 등반을 하며, 용암 사진을 찍고, 일광욕을 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반면, 여성 인물은 아이를 안고 있거나 청소기를 돌리는 등의 일을 한다. 이는 직업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여성의 직업으로 재현되고 있는 직업의 종류는 남성의 것으로 제시되는 것의 1/3 밖에 되지 않았다. 또한, 여성은 주로 '간호사, 영양사, 교사, 기상캐스터, 은행원'과 같이 전통적으로 여성들이 많이 진출해 있는 업종이거나 '돌봄 노동'과 관련되어 있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었다. 이는 성역할 고정관념적인 재현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교과서 속 인물들의 역할 및 태도는 여성 인물이 남성 인물에 비해 부수적인 역할을 담당하며, 수동적이고 의존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재현 되고 있었다. 셋째, 인물들의 활동을 '가정, 지역사회, 국가, 세계'라는 공간 스케일(Scale)로 나누고, 각각에 해당되는 활동의 특성을 성별로 분석해 본 결과,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예컨대, 세계 스케일(Scale)에서 여성은 총 9회 재현되어 24%의 비율을 보였고, 남성은 총 28회 재현되어 76%의 비율로 재현되고 있었다. 하지만 여성 인물이 재현된 9차례 중에서 여성이 혼자서 세계 스케일 (Scale)의 활동을 하는 것으로 묘사된 것은 단 한차례에 불과했다. 그 한차례를 제외한 나머지 8차례의 경우에는 여성 인물은 모두 남성 인물과 동행하는 것으로만 재현되고 있었다. 반면, 남성 인물은 여성 인물 없이도 다양한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재현되고 있었는데, 여성 인물과 동행하지 않고 남성 인물만 세계 스케일(Scale)의 활동을 즐기는 것으로 20차례 재현되고 있었다. 따라서 공간 활용의 범위에 있어서도 성차별적인 재현이 반복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성인, 남성, 비장애인, 이성애자'를 기준으로 사고를 전개하는 우리 사회의 인식을 엿볼 수 있는 사례들이 있었다. 또한, 교과서 속 다양한 사례들 에서 연령주의와 성차별주의가 내재해 있음을 살펴 볼 수 있었으며, 우리 사회의 기준(성인, 남성, 비장애인, 이성애자)을 벗어나는 인물들, 즉 정상성의 범주를 벗어나는 인물들이 '비가시화'되고 있다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예컨대, 장애인은 분석의 대상이었던 3종의 교과서 중에서 단 한 차례 등장하고 있었으며, 우리 사회가 생각하는 표준 체격을 벗어나는 몸을 가진 인물 또한 거의 재현되지 않고 있었다. 그리고 교과서 속 모든 사례는 이성애를 기본 전제로 한 사례였으며, 단 한 차례도 성 소수자들은 등장하지 않고 있었다. 한편, 여성의 나이듦을 인정하지 않는 우리 사회의 분위기도 그대로 반영되어서, '젊고 예쁘고 날씬한' 획일적인 이미지의 여성 인물들만이 재현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여성들의 경력 단절 등 우리 사회의 문제를 그대로 담지한 재현들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들을 찾아내고, 이러한 점들이 왜 부적절한 지를 밝혔다.이러한 차별적 인식을 내재한 재현들이 반복되지 않도록, 교과서 개발에 참여하는 모든 주체들은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보다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교과서 개발 주체들은 각 영역의 전문가로 구성된 교과서 집필진 뿐만 아니라, 교과서 속 삽화를 그리고 구성하는 일러스트레이터, 교과서의 편찬 과정에 전체적으로 참여하는 출판사 담당자 등 모든 이들을 포함한다. 또한, 교과서를 개발하는 과정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은 필수적으로 성 평등 관련 교육을 이수 받도록 해야 하며, 이 교육은 성차별적인 교과서 집필의 구체적인 사례들을 포함한 것이어야만 할 것이다. 이는 단순히 '여성과 남성의 등장 수를 맞추고, 주방에 여성 인물만을 그려 넣지 않는다'와 같은 엉성한 사례 제시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그러한 것들이 '왜' 차별적인 재현인지, 그리고 현실의 어떤 문제들과 맞닿아 있는지에 대한 구체적 사례가 제시되어야 한다. 삽화나 사진 속 인물의 묘사 중 구체적으로 '어떤' 부분이 '왜' 잘못된 것인지를 정확히 짚어주는 사례 제시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래야만 성 평등을 위한 기계적 대응이 아니라, 공감에서 비롯된 대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체적 사례 제시를 포함한, 성평등 교과서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개발하여, 교과서 개발 과정에서 이를 엄격히 지키도록 권고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exism represented in the geography part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It examines how sexist perceptions are represented and reveals why this become a problem by analyzing the narrative contents of the geography part of textbooks in middle school under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range of analysis of this study is the geography part(1-7 units) of the textbooks in middle school. Also this study reveals Sexism by analyzing materials of pictures, illustrations, and texts presented in the textbook. This study raises three research problems for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First, is there any gender bias in the appearance frequency in the pictures, illustrations, and texts, presented in the textbooks? Or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haracters is varied according to the gender? Second, how are the activities, roles, attitudes, and occupa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provided in the textbooks according to the sex? Third,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activity space in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depending on the sex? If so, what does this mean? Results are following: first, female characters in the pictures, illustrations, and texts in the textbooks were found only in 40~43% of the male characters in there, so all were analyzed as being male-oriented. Als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characters was analyzed as being male-oriented as well. In other words, it appeared that male characters usually lead the situation, convey information, and solve problems. Second, the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s and illustrations showed that the female characters are less positive and have fewer activities than the male characters (the number of female activities was one third of male activities). Moreover, it seemed that the female characters are engaged in sex stereotyped activities. For example, the male characters were depicted as skiing, rock climbing, taking pictures of lava, and sunbathing, while female characters were depicted as holding a child, vacuuming, or etc. This was the same as the case of job. The types of jobs being represented as a female occupation were only one-third of what was suggested as male's occupation. Also, it was represented that women are engaged in the type of business that many women have been traditionally working, such as nurses, dieticians, teachers, weather casters, bankers, and etc., or the type of business either providing services or related to care work. This can be said as a stereotypical representation of the sex role. On the other hand, it was represented that female characters play an ancillary role and have a passive and dependent attitude in comparison with the male characters in the textbooks. Third, in the results of dividing the activities of the characters into the spatial scales of family, community, country, and world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ctivity by sex,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For example, in the characters working in the world scale, it was represented as 9 times in the female and 29 times in the male. Out of these, the case female characters are represented as doing the activities of the world scale without being accompanied by male characters was only one(Visiting uncle's house in Australia for vacation). In addition to this,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non-visualization of social minorities, ageism, reflection of the social atmosphere that denied the aging of women in the textbooks, or etc. And this study found these points and explained why these points are inadequate. In order to prevent the recurrence sexism in these discriminatory perceptions, all the subjects participating the development of the textbooks(the textbooks writers composed of experts in each area, illustrators drawing and organizing the illustrations in the textbooks, the people in charge of publisher participating in the compilation process of the textbooks in general, and etc.) should pay attention to include the consciousness of the gender equality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textbooks. Also, all those involv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extbooks should be mandatory to have gender equality-related education, which should include specific examples of writing the gender discriminative textbooks. In addition, guidelines for the textbooks reflecting the gender equality should be developed, and then they should be advised to strictly obey the guidelines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the textbooks.
Author(s)
김하나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897
Department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Advisor
손명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주요 개념 및 전제 5
3. 연구 내용. 11
4. 연구 방법. 12
5. 선행 연구 분석 14
Ⅱ. 이론적 배경. 19
1. 페미니즘: 타자로서의 여성, 여성의 시선으로 세상 바라보기 19
2. 공간과 여성: 페미니스트 지리학(feminist geography). 23
Ⅲ.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인물들의 성별 가시성 및 성별 역할 비중 28
1. 시각자료에 재현된 인물들의 성별 가시성 28
2. 텍스트에 재현된 인물들의 성별 가시성 30
3. 교과서에 재현된 인물들의 성별 역할 비중. 32
Ⅳ.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인물들의 성별에 따른 역할의 차이 35
1. 사진과 삽화에서 제시된 활동들은 현실을 반영하는가 아니면 고정관념화 되어 있는가 35
2. 삽화에서 제시되는 남성과 여성의 역할은 각각 무엇이며, 처한 상황에 대해 각각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 45
3. 여성이 신분을 증명할 수 있는 집단으로서 단독으로 표현된 사례들이 있는가 남성의 경우와 차이가 있는가 차이가 있다면 이 사례들의 본질은 무엇인가 . 78
Ⅴ.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인물들의 성별 공간 활동 범위 80
1. 성별 공간 활동 범위 분석. 80
2. 분석 결과에 대한 설명과 해석. 82
Ⅵ. 결론 및 제언. 92
Ⅶ. 참고 문헌 98
부록. 108
[부록 1] 암벽등반 선수들이 패러디 화보를 통해 GQ의 성차별 문제를 제대로 꼬집다 108
Abstract. 11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하나. (2017). 중학교 교과서 지리 영역에 재현된 성차별주의(Sexism)-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Geograph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