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작품세계 - 문명․직업․여성으로 읽기 -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World of Works of Natsume Sōseki- Themed around Civilization, Jobs, and Women -
Abstract
본 논문은 나쓰메 소세키의 전기 작품을 대상으로 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정신사적 연구 방법으로 고찰한 것이다. Ⅰ장 「서론」에서는 소세키 문학이 나오게 된 시대적 공간과 개인적 체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소세키는 일본이 전근대적인 봉건사회에서 근대 시민사회로 이행하는 격변의 시기에 태어났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적 · 사상적으로 메이지 신정부가 추진하는 근대화의 과정의 모순을 누구보다도 지근거리에서 목격하며 성장했다. 소세키의 텍스트는 일본의 근대화 과정에 생긴 여러 부작용들을 등장인물들을 통해 해부하고 있는데 영국 유학 체험이 큰 영향을 끼쳤다고 보았다. 소세키는 산업혁명 이후 눈부신 발전을 한 빅토리아 시대 말기의 도시문명을 체험했다. Ⅱ장 「으로 본 소세키 작품세계」에서는 전기(前期) 삼부작인 『산시로』『그 후』『문』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허구 세계인 소설 텍스트에 드러나지 못한 작가의 진의를 도출하기 위해 강연, 서간문, 기행문 등을 연계하여 소세키의 문명 비판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산시로』에서는 근대문명을 상징하는 것으로 도쿄라는 공간과 기차․도시의 철도망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문명도시 도쿄의 모습은 산시로에게 낯설고 불안한 세계로 표상되고 있다. 고향 구마모토는 평온하지만 변화가 없으며 정지해 있다는 점에서 전근대를 표상하기에 알맞은 장치로 보았다. 그 공간을 살아가는 어머니로부터 오는 편지의 내용은 구마모토적인 공간을 잘 드러내는 세부 장치이다. 『그 후』에 등장하는 주요 인물은 비평가로 설정하고 있다. 그들의 입을 통해 일본의 피상적인 개화를 비판하고 무분별한 서양 추종에 대해서 경고하고 있다. 소세키는 소설 작품뿐만 아니라 평론, 강연에서도 문명 비판적 태도를 기조(基調)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문』을 집필한 시기는 소세키가 만주와 조선을 여행한 직후이다. 기행문 『만한』에서는 해학적 문체와 지병으로 인한 고통 호소 등을 부각시켜 실체적 진실을 회피했다. 이것은 후속 작품인 소설 『문』에 고스란히 투영되어 있었다. 일본 제국주의와 이에 저항하는 식민지 백성의 진상을 교묘한 수법으로 외면하고 있다. Ⅲ장 「으로 본 소세키 작품세계」에서는 『나는 고양이로소이다』『산시로』『그 후』를 강연, 일기, 평론 등과 함께 소세키의 직업관에 대해 살펴보았다. 작가는 직업군을 지식인 그룹과 실업가 그룹으로 나누어 대립시키고 있다. 이런 설정을 통해 작가는 지식계층의 우월성과 자긍심을 표출하고 있는 반면 실업가와 정치가에 대한 저급성과 불신을 드러내 보였다. 또 여성의 직업 활동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는 여성에 대한 편견에 기인한 것으로서 따라서 여성의 교육과 직업 활동에 대해서도 부정적 인식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고 보았다. 소세키는 강연「도락과 직업」에서 직업이란 본질적으로 타인본위의 속성이 강하다고 규정한다. 소세키는 자기본위에 토대한 활동을 이상적 직업으로 보고 있다. 자기본위는 취미를 충족시키고 즐거움을 주는 활동이라고 정의한다. 『산시로』에는 다양한 형태의 직업이 나오지만, 그중에서 이상적인 직업으로 과학자와 예술가를 제시한다. 그들은 자기본위에 입각한 삶을 사는 대신 고독한 삶을 살아가는 인물들이다. 이들은 작가의 이상을 투영한 인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산시로』에 나타난 자기본위로서의 도락적 직업은 이상일 뿐이다. 그들은 독신의 형태로만 살아갈 수 있으며 가족을 거느리고는 현실세계를 살아갈 수 없기 때문이다. 『그 후』에서는 나가이 집안 인물들의 직업을 살펴보았다. 그들이 속한 실업계는 식산흥업을 기치로 하는 자본주의 제도하의 가업(家業)이다. 이 안에 메이지 시대에 새로 출현한 인간상이 표상되어 있었다. 첫 번째 유형, 나가이 집안의 가장이자 실업가인 나가이 도쿠이다. 그는 전근대와 근대를 공유한 메이지 사회 기성세대의 표상이다. 두 번째 유형, 장남 나가이 세이고이며 신식 고등교육을 받았다. 사교적 성격에 처세에 능해서 메이지 신흥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가는 데 적합한 공리주의자의 전형이다. 세 번째 유형, 차남이자 작품의 주인공 다이스케이다. 메이지 시대에 태어나 근대 엘리트 교육을 받은 지식계급이지만 현실감이 없는 몽상가이다. 취미적 세계 속에서 순수를 지향하는 이상주의자다. 이들은 소세키가 활동한 메이지 신흥 자본주의 시대에 출현한 인물유형이다. Ⅳ장 「으로 본 소세키 작품세계」에서는 『풀베개』『우미인초』『산시로』『열흘 밤의 꿈』『그 후』 등에 등장하는 여성 인물들을 분석했다. 소세키가 이러한 인물을 창출할 시기는 일본에 여성해방운동이 일어날 시기다. 이 무렵 히라쓰카 라이초를 중심으로 최초의 여성 잡지 『세이토』가 창간되고 여성운동이 본격적으로 대두된다. 여성해방운동은 남녀 간의 불평등을 직시하고 바로잡음으로써 남녀가 인간으로서 평등하게 발전하기를 바라는 움직임이다. 소세키가 『산시로』를 집필한 시기와 '신여성'의 등장 시기가 일치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소세키는 신여성의 도래를 의식하고 시대정신을 반영한 인물로서 미네코를 창출했다. 미네코는 표면상으로는 인격적 독립과 경제적 자립을 한 신여성으로 보인다. 그러나 미네코라는 인물 안에는 전근대적인 여성의 모습과 신여성의 모습이 뒤섞여 있다. 『우미인초』『산시로』『그 후』에 등장하는 여주인공들은 실제 존재했던 인물을 모델을 삼기도 했고 작가의 상상력, 예술적 감수성과 라파엘전파 회화 이미지를 이용하여 창조하고 있다. 소세키가 창출한 『우미인초』의 후지오, 『산시로』의 미네코, 『그 후』의 미치요의 공통점은 회화적 이미지를 지닌 여성들이라는 것이다. 이들은 지성과 미모를 갖춘 매력적인 여성들임에도 불구하고 남성들과 대등한 정신적 연애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인물 설정은 당시의 남성들이 기존의 유교적 가치관과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에 고착되었다는 것을 말하며 소세키 또한 예외가 아니었음을 방증한다. 이것이 작가의 한계였다고 말할 수 있겠다. 『열흘 밤의 꿈(夢十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는 남성을 조종하는 능동적 여성이거나 팜므파탈적인 여성 이미지를 발견할 수 있다. 여기에 등장하는 남자들은 여자의 말에 맥없이 조정당하는 수동적인 남자들이다. 「제1야」의 여성의 이미지는 신비스럽고 밝은 반면 「제10야」의 여성은 관능으로 남자의 욕망을 부추겨 파멸시킴으로써 팜므파탈 이미지를 더 강화했다고 말할 수 있겠다. 『풀베개』의 여주인공 나미에게는 매력적이고 자아가 강한 신여성의 모습과 함께 광기 어린 여자라는 새로운 이미지를 부여했다. 나미를 매력적이라고 표현하고는 있지만, 여성인 나미를 성적으로 신비화시키고 있고 욕망의 대상으로 수동적 피사체에 불과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논문에서 다룬 소세키의 문명관 · 직업 인식 · 여성관에는 시대정신과 더불어 서양 체험이라는 중요한 계기가 있다고 고찰했다.
This dissertation, using the Geistesgeschichte method, examines the works of Natsume Sōseki in the early stages of his literary career, focusing on the themes of civilization, jobs, and women. The first chapter, the introduction, looks in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ōseki's personal experiences in order to uncover the genesis of his literary works. The novelist was born during a turbulent time in Japan's history, When he was born, the country was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formed from a feudal to a modern civil society. As such, Sōseki grew up experiencing the ironic nature of modernization both politically and ideologically. In his works, Sōseki dissected a number of the side effects emerging from the process of odernization through the characters in his works, which were influenced, it is believed, by the experiences Sōseki had while he was studying in England The second chapter, the world of Sōseki's works in terms of civilization, investigates three novels of his early literary career: Sanshiro, And Then, and The Gate. In Sanshiro, Tokyo plays a vital role by representing a space that symbolizes modern civilization with the railroad network of the trains and the city. His hometown Kumamoto seemed to be an appropriate device to represent premodernity in that it is a peaceful place that changes little and seems to almost stand still in time. The main characters appearing in And Then are critics. Through them, the author criticizes the superficial civilization of Japan and warns the country about thoughtlessly following the West. Natsume Sōseki expresses his opinions not only in his novels but also in his comments and lectures, assuming a critical attitude toward civilization as his key principal. In his travel essay, the Trip to Manchuria and Korea, he avoids substantive truth by highlighting his humorous writing style and pain he experienced from a chronic disease. The Gate, a follow-up novel, reflects this trend again. Sōseki skillfully turns his back on Japanese imperialism and toward the reality of the people who fought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The third chapter examines Sōseki's view on occupations by reviewing I Am a Cat, Sanshiro, and And Then with his lectures, journals, and comments. Reading Sōseki's works in regards to jobs reveals that the writer divides jobs into two groups; the 'intellectuals' and the 'businessmen.' He then goes on to compare the two groups. He expresses the sense of superiority and pride of the intellectual class while revealing the inferiority and distrust of the businessmen and politicians. Moreover, he displays a negative view toward working women as well. In his lecture Dilettantism and Occupations, Sōseki expounds that jobs inherently have a strong other-centered attribute and considers activities which are self-centered ideal occupations. Sanshiro features a variety of jobs; however, among all of the occupations, he suggests scientists and artists are ideal jobs. This suggestion can be regarded as a reflection of the author. The thesis looks into the jobs of the people belonging to the Nagai family in Sōseki's work And Then. The business circle they belong to is a family business under a banner of increased production and industrial promotion in the capitalistic system. The novel depicts a new human character emerging in the Meiji Era. The fourth chapter, the world of Sōseki's works in terms of women, analyzes femal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hree-Cornered World (The Grass Pillow), The Poppy, Sanshiro, Ten Nights of Dreams, and And Then. It was when the development of a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Japan was in its infancy that the Seito, the first feminist literary journal, was launched and the women's movements began in earnest. A significant implication can be drawn from the fact that Sōseki wrote Sanshiro at the same time that "modern women" appeared in Japan. Sōseki, well aware of the advent of modern women, created Mineko, a character representing the spirit of the time. However, Mineko is a woman who displays the internal haracteristics of both premodern and modern women. Fujio, a character Sōseki created in The Poppy, Mineko in Sanshiro, and Michiyo in And Then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are the women with a pictorial image. Although they are very attractive and intelligent women, they are unable to have a psychological romance with a man on equal terms. Such a character setting suggests that the men in those days were stuck in the existing Confucian value system, with its expectations regarding an ideal wife and a wise mother, and implies that Sōseki was no exception. It can be argued that this was the author's limit. In Ten Nights of Dreams, it is possible to find images of women who are active in manipulating men as well as images of the femme fatale. The passive men portrayed in the novel who follow the instructions given by women without hesitation. The main female character Nami of The Three-Cornered World is given a new image as both a charming modern woman possessing a strong ego and a lunatic. Even though Nami is portrayed as an attractive woman, Sōseki also portrays her as a sexually mysterious person who eventually turns out to be a passive object of desire. In conclusion, this thesis suggests that the views Sōseki expressed in his works on civilization, jobs, and women reveal two important elements: the spirit of the time as well as the experiences people had with the West.
Author(s)
김대양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01
Alternative Author(s)
Kim, Dae-yang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김난희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방법 2
2. 선행 연구 검토 6
Ⅱ. 으로 본 소세키 작품세계 11
1. 근대와 전근대의 공간으로서의 산시로(三四)론 11
1) 들어가며 11
2) 근대 공간으로서의 도쿄 13
3) 전근대 공간으로서의 어머니의 편지 20
4) 나오며 25
2. 현대 일본의 개화(現代日本の開化)와 그 후(それから)에 나타난 문명개화 27
1) 들어가며 27
2) 현대 일본의 개화(現代日本の開化)로 본 개화의 패러독스 30
3) 그 후(それから)에 나타난 메이지기 자본주의의 실태 34
4) 나오며 40
3. 문(門)론 : 만한 여기저기(韓ところどころ)와 연계하여 41
1) 들어가며 41
2) 만한 여기저기(韓ところどころ)에 나타난 제국주의 식민지 묘사 42
3) 문(門)의 문학 장치를 이용한 일본 제국주의의 현실 회피 47
4) 나오며 52
Ⅲ. 으로 본 소세키 작품세계 53
1.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론 : 등장인물의 직업 양상과 직업 담론 54
1) 들어가며 54
2)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 등장하는 직업 양상 55
3) 무직(無職) 여성의 설정과 차별적 시선 62
4) 나오며 67
2. 산시로(三四)에 나타난 직업에 대한 인식 :도락과 직업(道樂と職業)과 관련하여 69
1) 들어가며 69
2) 강연도락과 직업(道樂と職業)에 나타난 자기본위의 덕목 70
3) 산시로(三四郞)의 등장인물에 투영된 직업 실험 74
4) 나오며 78
3. 그 후(それから)론 : 실업가 고등유민 표상으로 본 메이지 사회의 단면 79
1) 들어가며 79
2) 메이지 시대와 신흥 자본주의 81
3) 실업가 나가이 도쿠와 세이고로 표상되는 공리주의 83
4) 고등유민 나가이 다이스케로 표상되는 이상주의 89
5) 나오며 93
Ⅳ. 으로 본 소세키 작품세계 95
1. 산시로(三四)에 나타난 소세키의 여성 인식
1) 들어가며 95
2 세이토(靑踏)창간과 신여성의 출현 97
3) 미네코의 표상 102
4) 나오며 105
2. 우미인초(虞美人草)의 후지오 산시로(三四)의 미네코 그 후(それから)의 미치요의 공통 이미지 : 팜므파탈 106
1) 들어가며 106
2) 소세키와 라파엘전파 107
3) 여성으로 인한 남성들의 수난 111
4) 나오며 116
3. 열흘 밤의 꿈(夢十夜)과 풀베개(草枕)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117
1) 들어가며 117
2) 열흘 밤의 꿈(夢十夜)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119
3) 풀베개(草枕)에 나타난 나미의 이미지 122
4) 나오며 129
Ⅴ.결론 130
참고 문헌 139
Abstract 148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대양. (2017). 나쓰메 소세키(夏目漱石)의 작품세계 - 문명․직업․여성으로 읽기 -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