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마타요시 에이키(又吉栄喜) 『자귀나무 저택(ギンネム屋敷)』론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Discussion on 『The Ginnemu Yashiki』 by Matayoshi Eiki
Abstract
본 논문은 현대 오키나와문학을 대표하는 마타요시 에이키(又吉栄喜)의 자귀
나무 저택(ギンネム屋敷)(1981)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소설의 제목이기도 한 '자
귀나무'와 '자귀나무 저택'의 상징적 의미에 관해 고찰하였다.
제4회 스바루문학상(すばる文学賞)수상작인 자귀나무 저택(ギンネム屋敷)은 조
선인과 일본군 '위안부'를 등장시킴으로써 오키나와인의 피해자 의식에 대한 인
식문제를 제기하여 오키나와문학계에서도 그 의의가 높이 평가되고 있는 작품이
다. 따라서 선행연구의 대부분이 오키나와사회 내부의 중층적인 차별구조, 특히
조선인에 대한 차별문제와 일본군 '위안부'문제를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본고
에서는 이러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메타포로서의 '자귀나무'와 '자귀나무 저택'이
의미하는 바를 오키나와의 근현대사의 상흔과 모순을 통해 고찰하였다. '자귀나
무'와 '자귀나무 저택'의 의미를 고찰하기 위해 우선 제1장에서는 소설 속 배경이
되는 1950년대의 오키나와사회에 대해 살펴보았다. 오키나와는 미국에 의한 점령
시기에 일본 본토와는 달리 직접 통치가 이루어졌다. 점령이 끝난 후에도 미군기
지 확대로 오키나와인들의 삶에 다양한 형태로 개입했고, 이러한 미국과 미군에 대한 이미지는 작품 곳곳에서 폭력적이고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2장에서는 작품의 등장인물들이 모두 전쟁의 상흔을 간직하고 있는 사람이
라는 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결과 전쟁의 상흔을 입은 오키나와인들이 '자귀
나무'를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쟁으로 황폐해진 전쟁의 흔적을 은폐
하기 위해 오키나와 전역에 뿌려진 '자귀나무'는 전쟁의 상흔을 간직하면서도 강
인한 생명력으로 자생하는 오키나와인의 삶의 모습을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제3장에서는 '자귀나무 저택'이 상징하는 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소설에서 '조
선인'의 고백으로 인해 '나'는 전쟁의 기억을 상기하게 되고, 비가시화된 오키나
와전의 피해자가 가시화된다. 뿐만 아니라 조선인의 강제동원, 집단학살, 위안부
강제동원 등 오키나와전의 역사가 상기된다. 메타포로서의 '자귀나무 저택'은 국
적 불명의 시신과 망령을 통해 비가시화된 망자들의 존재를 상기시키는 공간이
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오키나와의 근현대사의 모순과 상처가 압축되어
있는 공간으로 '자귀나무 저택'은 오키나와 그 자체를 상징하고 있음을 알 수 있
었다.
제4장에서는 '조선인'이 '나'에게 '자귀나무 저택'을 증여한 이유에 대해 고찰하
였다. 전쟁의 기억이 혼재되어 있는 공간으로써의 의미가 내재되어있는 '자귀나
무 저택'을 '나'에게 증여함으로써 전쟁의 피해자들과 전쟁의 기억을 전승하는 것
이다. 소설에서 '자귀나무 저택'의 처리에 대해서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이것은
전쟁 피해자와 전쟁의 기억을 다음 세대에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 하는 것을 숙
제로 남기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자귀나무 저택은 전후 오키나와의 자연경관을
소재로 하여 오키나와인들의 모습을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오키나와인들
의 피해자의식에 대한 인식문제와 전쟁의 피해자들에 대한 전후 책임문제를 제
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examines "The Ginnemu Yashiki" (1981) written by Matayoshi
Eiki, who represents contemporary Okinawan literature, in order to study the
symbolic meanings of the 'ginnemu trees' and the 'ginnemu yashiki', which is
also the title of the novel.
"The Ginnemu Yashiki", winner of the 4th Subaru Literature Prize, raises the
problem of awareness concerning the victim consciousness of Okinawans by
featuring a Korean and a 'comfort woman' for the Imperial Japanese Army. In
this regard, the novel is highly regarded in Okinawan literary circles.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 focused on the structure of multi-layered discrimination
in Okinawan society and highlighted the discrimination faced by Koreans and
'comfort women'. The study,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 investigates the
meanings, the 'ginnemu trees' and the 'ginnemu yashiki', as metaphors,
attempt to convey through the scars and paradoxes of contemporary Okinawa.
To that end, the first chapter carefully examines Okinawan society in the
1950s.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unlike mainland Japan, Okinawa was
completely under US rule. Even after the occupation period ended, the US
military bases expanded and intervened in the lives of Okinawa people in a
variety of forms; imagery of the U.S. and the US Army are recognized as
representing violence and negativity throughout the novel.
The second chapter reveals that the Okinawa people, who have scars from
war, are the 'ginnemu trees' themselves. This conclusion is the result of
studying the novel with a focus on the fact that all the characters of the novel
bear the scars of war. To cover up the fields devastated by war, 'ginnemu
seeds' were scattered all across Okinawa. As such, the suggestion can be
made that the trees represent the lives of the robust people of Okinawa who
survive while holding the wounds of war in their hearts.
The third chapter looks into what the 'ginnemu yashiki' attempts to portray.
In the novel, the confession of a 'Korean' reminds me of 'my' memories of
war, and the victims of the battle of Okinawa, who have been invisible,
become visible. In addition, light is shed on some parts of the history of the
battle of Okinawa, including compulsory mobilization of Koreans, genocide, and
compulsory mobilization of comfort women. The 'ginnemu yashiki' as a
metaphor could be a place where existence of the invisible dead are recalled
through the souls and corpses of unknown nationality. In this regard, it can be
assumed that the 'ginnemu yashiki', a place where the paradoxes and scars of
the contemporary history of Okinawa are condensed, symbolizes Okinawa
itself.
The fourth chapter investigates the reason why the 'Korean' gave 'me' the
'ginnemu yashiki'. By offering 'me' the 'ginnemu yashiki' which symbolizes a
place where the scars of war are entangled, the 'Korean' attempts to pass
down the memories of war and its victims. The novel doesn't mention how the
'ginnemu yashiki' will be handled.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at the issue of
how to pass on the memories of war and its victims to the next generation
remains unsolved.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Ginnemu Yashiki" depicts the
images of Okinawa people symbolically, using the nature of postwar Okinawa.
The novel also raises the problem of awareness regarding the victim
consciousness of Okinawans and the postwar issue of responsibility in regards
to the victims of war.
Author(s)
박윤희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06
Alternative Author(s)
Bak, Yun-H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소명선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Ⅱ. 본론 6
1. 1950년대의 오키나와사회 6
2. 메타포(Metaphor)로서의 자귀나무 13
3. 자귀나무 저택의 상징적 의미 21
4. 유산 상속의 의미 28
Ⅲ. 결론 35
Ⅳ. 참고문헌 39
ABSTRACT 42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박윤희. (2017). 마타요시 에이키(又吉栄喜) 『자귀나무 저택(ギンネム屋敷)』론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