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이어도에 대한 제주도 중학생의 인식 및 교육실태 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Analysis of Jeju Island-residing Junoi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Range and Actual Education Condition of Ieodo
Abstract
본 연구는 제주도 중학생의 이어도에 대한 인식 정도 및 교육실태를 분석하여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진행되었다. 2001년 한국과 중국 양국은 「한중어업협정」을 체결하여 12해리 영해를 제외한 양국 간의 수역은 공동어로 수역으로 잠정 조치하여 추후에 양국 간에 배타적경제수역에 관한 협정을 체결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논의가 있어 왔다. 배타적경제수역은 영해기선으로부터 200해리까지 설정할 수 있는데, 한중 양국은 좁은 해협을 사이에 두고 있어 각기 200해리까지 배타적경제수역을 설정할 수 없으며, 이어도는 양국이 주장하는 배타적경제수역에 중첩되어 있는 수역에 위치하여 이를 어느 국가에 포함할 것인가가 앞으로 전개될 협상에 쟁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양국은 이어도가 평균 해수면 아래 4.6km에 잠겨 있어 국제법상 섬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수중 암초로서 영토 분쟁의 대상이 아니라는데 합의를 본 적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어도는 마라도로부터 149km에 위치한 반면에, 중국의 유인도인 서산다오(余山島)로부터 287km, 무인도인 퉁다오(童島)에서 247km 떨어져 있어 우리 쪽에 훨씬 가깝게 있어 양국의 협상 결과 우리 쪽 배타적경제수역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현재 이어도해양종합기지가 이곳에 설치되어 관리 중이다. 중국은 인구 및 국토 비례를 통한 경계획정 주장과 근거가 없는 역사적 사실을 들어 자국의 수역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하지만, 이러한 논리는 2016년 7월 12일 국제상설중재재판소에서 내린 판결 결과 국제법상 명분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런 사실을 바탕으로 학교에서 체계적인 이어도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사회과교육과정에서 이어도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이어도 관련 선행연구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조사한 바에 의하면, 중학교 사회과 성취기준에는 영토, 영해 및 독도 관련 내용은 있지만 이어도 관련 내용은 언급 되어 있지 않다. 주로 중3학생들이 배우는 사회② 교과서에 이어도 관련 기술은 본 단원에 없고 참고내용으로만 잠깐 소개되어 소홀히 다루거나 학습하지 않고 그냥 지날 가능성이 있음이 설문조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사회과부도에 등장한 이어도 지도는 마라도와의 거리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지도상에 위치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대다수 출판사가 그렇지 않음이 밝혀졌다. 선행연구를 조사한 바에 의하면, 최근 이어도 논문과 관련단체의 연구 및 활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아직은 이에 대한 관심이 많지 않았다. 특히 학교에서의 이어도교육이나 중 학생의 이어도 인식 정도 및 교육 방안을 조사하고 모색하는 연구물은 찾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추후에 진행될 관련연구에 많은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이어도에 대한 인식 및 교육방안 모색은 제주도내 중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갖고 진행되었다. 설문조사를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어도에 대한 인식 정도는 남녀 간에 큰 차이가 없으나, 3학년이 1,2학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귀포지역 학생들이 제주시 동지역과 읍면지역에 비해서 이어도에 대한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이어도에 대한 인식 정도가 비교적 낮고 학교 현장에서 이어도 교육을 받은 정도가 매우 낮았지만, 대체로 이어도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이어도를 들어본 경로는 TV나 신문이 가장 많았으며, 학교 선생님으로부터 알게 되었다는 학생의 비중은 매우 낮았다. 넷째, 학교에서 이어도교육의 실시에 대하여 대다수가 찬성하고 있으며, 이어도 교육은 관련교과 수업을 통해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가장 적당한 교과가 사회과라고 생각하고 있다. 다섯째, 독도에 대한 일본의 주장과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하여는 비교적 인지도가 높지만, 한중간의 EEZ 경계획정과 일본의 EEZ 정책 및 남중국해와 동중국 해서의 중국의 정책에 대하여는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서 대체로 주변국가의 영토정책에 대하여 관심이 없거나 잘 모르고 있음이 밝혀졌다.여섯째, 이어도 교육이 실시된다면 이에 참여할 의향이 높아 학교현장에서 이어도 교육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를 밝히고, 추후에 보다 발전된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한다. 첫째, 본 연구를 위하여 설문조사한 대상은 제주도내 중학생이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이어도에 근접한 제주도의 지역적, 문화적, 역사적 여건이 관련되어 반영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지역에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기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후 전국 단위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학교에서 이어도교육이 실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왜 학교에서 이어도교육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는가에 대하여 심층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이어도 관련 사회과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가 추후에 이루어져야 하겠다. 셋째, 학교현장에서 이어도 교육의 성공가능성을 살펴보기는 하였지만, 구체적으로 이어도 관련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구성하고 학생들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사회과뿐만 아니라 과학과의 종합해양과학기지, 국어과의 전승문학, 음악과의 민요 등 이어도를 다룰 수 있는 부분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이 이어도에 대한 인식 부족은 교사 자신이 이어도에 대하여 관심이 없거나 전문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에 대한 이어도의 인식도를 알아보는 연구와 전문성 함양을 위한 연수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다섯째, 이어도 관련 단원이 없고, 성취기준에도 이어도가 없어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과의 배타적경제수역이 획정되지 않은 상황을 고려한 때문이지만, 양국 간의 관계를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으로 독도교육처럼 위치, 면적, 역사, 국제법상의 지위, 생태환경, 가치 등의 이어도 내용을 교과서에 담을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이어도 교육 방안을 모색하는 지름길은 학교에서 일정기간 실제 교육을 한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학교와 시범학교를 선정하고,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 문제점, 가능성을 점검하여 이어도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확산하여야겠다.
This study was proceeded with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Jeju island-residing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 range and actual education condition of Ieodo, hence seek an education method. In 2001, both Korea and China signed the "Korea-China Fisheries Agreement" and took tentative measures in waters between the two countries excluding the 12 nautical miles territorial waters as joint fishery waters and decided on concluding an agreement on future bilateral exclusive economic zones; a continuous discussion regarding this had been taking place. China claims the island should be included in their own waters based on boundary delimitation by population and land proportions and on their unfounded historical facts, however, it turned out that such logic is not justified under the international law at the International Permanent Court of Arbitration on July 12, 2016. Based on this,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school to offer structured education on Ieodo. According to the survey, the criteria for achievement in junior-high school social studies include territorial, territorial waters, and Dokdo-related contents, but contents relevant to Ieodo are not mentioned. The map of Ieodo that appeared in the atlas should be placed not only in a correct distance from Marado but also on the map of Korea, but it turns out that most textbook publishers do not mark so. According to previous researches, paper researches and activities of related organizations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recently, but not much interest was shown to be drawn in yet. The results of surveys for junior-high school students in Jeju Island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egree of awareness of Ieodo, there was no big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age, however, the degree of awareness of 9th graders was higher than that of 7th and 8th graders, and the students in Seogwipo area had higher degree of awareness compared to those in Jeju district area and town / village areas. Second, although the awareness degree of Ieodo were relatively low and the related education from school field were very much lacking, it wa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think Ieodo education is necessary. Third, the channel through which they heard of Ieodo were mostly TV and newspaper, while their channel being the school teacher were very less likely. Fourth, the majority of the students agree on executing Ieodo education in school, thinking the education is best done through class in relevant subject, and that subject relevance lies in social studies.
Author(s)
강문석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08
Alternative Author(s)
Moonseok Ka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사회교육
Advisor
한석지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및 범위··········································································································6
Ⅱ. 이론적 배경 ···················································································································8
1. 용어의 정의 ···················································································································· 8
2. 우리나라 중학교 이어도 교육 실태 ··········································································10
3. 선행연구 고찰·············································································································· 18
4. 시사점 ······························································································································23
Ⅲ. 연구방법 ····················································································································· 25
1.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 및 분석 방법····································································25
2. 측정 도구의 신뢰도 검증····························································································2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9
1. 이어도에 대한 일반적 인식························································································29
2. 이어도 교육실태············································································································33
3. 이어도 교육 주요 변수의 기초분석 ··········································································37
4. 이어도 교육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의 비교분석··············································42
5. 이어도 교육 변수 간 상관분석 ··················································································50
6. 이어도 교육 참여의향에 대한 회귀 분석 ································································51
7. 분석 결과························································································································52
Ⅴ. 결론 및 제언 ···············································································································55
참고문헌·······························································································································58
부 록·······························································································································61
영문요약(Abstract)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강문석. (2017). 이어도에 대한 제주도 중학생의 인식 및 교육실태 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Social Studie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