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중심으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 - Focusing On Adolescents' Perception Of Positive Reinforcement Of Parents -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로서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과 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이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형성과 부모의 긍정적 강화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이와 관련된 교육과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주시내 중학교 3군데의 2․3학년 4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부실응답 등 적절하지 않은 조사대상자를 제외하고 총 428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방법으로는 t-test, 일월 배치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청소년들의 인식은 물질적 강화에 대한 인식이 3.61점, 사회적 강화 중 칭찬에 대한 인식이 3.40점, 신체적 강화에 대한 인식이 3.26점, 사회적 강화 중 공감에 대한 인식이 3.15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모두'보통'의 수준이었다. 이는 가정 내에서 칭찬과 공감 등의 사회적인 강화와 신체적 접촉보다는 용돈, 선물과 같은 물질적 매체를 더 많이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물질적 강화에 대한 인식은 청소년이 독자일 때,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신체적 강화에 대한 인식의 경우 성적이 높을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 강화 중 칭찬에 대한 인식의 경우 성적이 높을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 수록,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공감에 대한 인식의 경우 여학생보다 남학생일 경우, 성적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부모 중 주 상호작용 대상이 아버지보다 어머니일 경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은 전체적으로 3.38점, 하위요인으로 자기효능감 3.47점, 희망 3.46점, 낙관성 3.41점, 자아탄력성 3.31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청소년들의 긍정심리자본이 '보통'의 수준임을 나타내며,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교육과 지원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전체 긍정심리자본의 경우 성적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 상호작용 대상이 어머니일 때, 긍정적 강화의 모든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의 수준이 높았으며, 자기효능감은 성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과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긍정적 강화의 모든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희망의 경우, 성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주 상호작용 대상이 어머니일 경우, 긍정적 강화의 모든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자아탄력성은 성적과 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아버지의 직업이 사무직 및 기타일 때, 긍정적 강화의 유형 중 신체적 강화, 사회적 강화 중 칭찬에 대한 인식, 공감에 대한 인식이 높을 때 높게 나타났다. 낙관성의 경우 성적과 가정의 경제적 수준,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 때, 주 상호작용의 대상이 어머니일 때, 긍정적 강화의 모든 하위요인의 수준이 높을 때 높게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은 성적, 가정의 경제적 수준이었으며, 사회적 강화에서는 칭찬에 대한 인식과 공감에 대한 인식이었다. 특히 성적과 칭찬에 대한 인식은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이는 자녀 양육에 있어 칭찬과 공감의 표현은 자녀의 긍정심리자본을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임을 말해준다. 또한 사회적 강화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고 인식되는 물질적 강화보다 자녀에게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해준다. 따라서 이러한 가정환경의 중요성과 부모 역할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은 청소년기 긍정심리자본 형성의 중요성과 긍정심리자본 형성을 위한 부모의 긍정적 강화의 효과성과 중요성을 말해준다. 따라서 국가 및 사회적 차원에서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을 위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과 부모의 긍정적 강화의 올바른 사용과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and the influence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positive reinforcement of parents as a research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mation and positive reinforcement of adolescent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this.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480 junior high school students in three junior high schools in Jeju city. A total of 428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T-test, January batch distribu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perception of positive reinforcement of parents was 3.61, 3.40, 3.40, 3.26, and 3.15, respectively, on the perception of material strengthening, praise on social reinforcement, , Respectively, and all were in the 'normal' level. This means more use of physical media such as pocket money and gifts rather than social reinforcement and physical contact in the home such as praise and empathy. The perceptions of material strengthening were found to be higher when the adolescent was a reader, and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hysical strengthening,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education level of parents, The higher. In the case of the recognition of praise during the social strengthening, the higher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the higher the recognition of praise. In the case of perception of empathy,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the higher the parental interaction was with mother than father.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was 3.38 points as a whole, 3.47 points of self - efficacy as a sub - factor, 3.46 points of hope, 3.41 points of optimism, and 3.31 points of ego - resilience. This suggests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is 'normal', and the need for diverse education and support is needed to raise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case of to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the level of parental educ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higher the level of all sub factors of positive reinforcement, the higher level of self - 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economic and parental educ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all subcategories of positive reinforcement. In the case of hope, the higher the level of all the sub - factors of positive reinforcement, the higher the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parents, the main interaction subject is the mother, and the ego - The level of education, the economic level of the family, the father 's occupation, the clerical recognition, and the empathy in the social strengthening. In the case of optimism, when the level of economic performance of the grades and the family,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the level of all the sub - factors of positive reinforcement were high when the subject of the main interaction was mother, it was high. Third, the main variables affect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were grades, economic level of family, and awareness of empathy and praise in social reinforcement. Particularly, the perception of grades and compliments had a significant impact in all areas. This suggests that the expression of praise and empathy in childrearing is an important factor in raising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the child. It also suggests that social reinforcement has more impact on children than material reinforcement, which is perceived to be the most us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home environment and the role of parents, and a parent education program should be implem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importanc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mation in adolescence and the effectiveness and importance of positive reinforcement of parent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rmation.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various education programs f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adolescents at the national and social level, and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the recognition of the right use of parents' positive reinforcement and parental role are necessary.
Author(s)
이지연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22
Alternative Author(s)
Ji-Yeon Lee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혜연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제2장 이론적배경 5
제1절 청소년과 긍정심리자본 5
1. 청소년의 특징 및 긍정심리자본 5
2. 긍정심리자본의 개념 및 유형 7
제2절 청소년에 대한 긍정적 강화 11
1. 긍정적 강화의 개념 및 유형 11
제3절 선행연구의 고찰 13
제3장 연구방법 17
제1절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7
제2절 측정도구 18
제3절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22
1. 자료수집 22
2. 분석방법 23
제4장 분석결과 25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5
제2절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인식의 차이 28
제3절 청소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긍정심리자본의 차이 30
제4절 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에 따른 긍정심리자본의 차이 33
제5절 긍정심리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35
제5장 결론 및 제언 39
참고문헌 44
Abstract 49
부록 52
1.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상관관계 53
2. 설문지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이지연. (2017).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연구-부모의 긍정적 강화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을 중심으로-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