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일 양국의 비유표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Figurative Language in Korean and Japanese
Abstract
이 연구는 한·일 양국의 언어 학습자가 해당 국가의 언어를 습득하면서 표면적 의미 그대로 해석해서는 의미전달이 되지 않거나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관용구와 속담 등의 비유표현임을 연구하였다.
비유표현의 목적은 표현하고자 하는 대상을 강조하거나 보다 알기 쉽게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표준적이고 일상적이라고 하는 생각과는 벗어난 것으로 오랜 세월에 걸쳐 습관처럼 쓰는 말로 돌려 말할 때 쓰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비유표현은 한 나라의 민족이 오랜 세월을 거쳐 문화, 생활, 사고방식 등 사회적 전반의 영향을 받아 생성된 그 나라 민족의 고유한 표현이다. 그러므로 외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해당 언어의 관용적 비유표현을 문화・사회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습득해야만 원만한 학습과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양국의 주식인 밥과 국 그리고 중요한 행사의 차림상의 주요 음식인 떡을 가지고 양국의 관용구에서 그 소재가 비유하고자 하는 표현과 의미는 각각 무엇인지를 비교·분석하여 지리적으로 가깝고 동일 한자문화권 속에서 양국의 비유표현은 어떠한 차이와 유사점이 있는지를 조명하였다.
위의 내용으로 한·일 양국의 비유적 표현을 추출하여 총 100개의 비유표현으로 연구대상을 삼았으며 조사대상인 비유표현의 선정은 선행연구 자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최경봉의 『우리말 관용어 사전』, 米川明彦의 『日本語 慣用句 辞典』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분류하였다.
양국의 비유표현 내에서의 이미지 차이를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 이중적 표현으로 분류하였고, 최경봉(2014) 우리말 관용어 사전 선행연구를 이용하여 의미 분류를 감정심리, 성격태도, 동작행위, 상태가치, 사회생활로 나누고 이 다섯 가지 의미 분류를 다시 세분화하였다.
이미지 및 의미는 분류자의 관점에 따라 다양하게 달라질 수 있지만 선행연구자의 분류표에 의거하여 연구자의 관점에서 내용에 따라 이미지 및 의미를 분류하여 양국의 밥·국·떡에 대한 이미지와 의미에서 나타나는 비유표현의 비교·분석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일 양국은 쌀 중심의 밥을 주식으로 하며 하루 세끼의 식생활을 한다. 밥상의 구성도 비슷하나 식사방법이나 식사예절은 각기 독자적인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비유표현에서 밥의 이미지는 부정적인 비율이 높다. 이는 밥이 생명 유지와 건강에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밥이 자신과 가족을 살리는 수단에서 비롯된 표현들이 많기 때문이다.
밥의 의미 분류에서는 쌀을 주식으로 하는 동일 문화권이라 할지라도 그 나라의 환경과 문화 그리고 국민의 개성에 따라 그 언어가 나타내는 의미는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양국은 모두 국물 문화를 가지고 있으나 국물의 이미지와 의미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음식에는 반드시 국물이 뒤따르는 숟가락 문화라고 한다면 일본은 국을 부식의 개념으로 젓가락을 사용하는 문화로 말할 수 있다.
한국의 국 문화는 여럿이 나누어 먹음으로서 공동체를 유지되는 힘이 된다는 이미지가 있으나 일본에서의 국은 공동의 음식보다는 개인적인 성향이 강하며 한국은 국에 밥을 말아먹지만 일본은 말아먹지 않는 문화적 관점에서 나타나듯이 한국 보다는 일본이 국에 대한 중요도는 낮게 나타나고 있고 국의 이미지 역시 부정적 비율이 높았다. 비유표현을 통해 고찰한 결과 한국과 일본의 식탁문화의 차를 구분하는 소재가 국이었다.
셋째 떡의 이미지에서 나타나는 특이점은 밥과 국에 비해 긍정적 이미지의 표현이 많았다. 떡은 어려운 시절에 함께 나누어 먹는 넉넉한 인정의 이미지가 한국에 있고, 일본은 힘이 나는 음식과 초자연적인 힘이 머무는 성스러운 특별한 이미지로 각종 행사와 생활 속에서 빠뜨릴 수 없는 음식으로 사용되고 있어 긍정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표현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떡은 양국의 명절이나 중요한 행사와 제례의 음식으로 사용했는데 한국의 음복(飮福), 일본의 나오라이(なおらい)와 같이 제사를 지낸 음식을 같이 나누어 먹음으로 공동체의 일체감을 형성하고 덕을 쌓는 의미의 종교적인 영향에서 비롯되어 부정적인 표현을 자제하는 것으로도 추정된다.
한국과 일본의 밥, 국, 떡을 중심으로 비유표현이 나타내는 이미지와 그 표현의 의미를 다섯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역사적・지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한・일 양국의 밥, 국, 떡 중심의 음식문화는 공통성도 있지만 이질성도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한·일 양국의 언어가 다르다는 것은 그 언어 공동체의 역사와 삶의 환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문화로 각각 오랜 세월을 거치며 생성된 고유한 언어로 이 연구에서 나타나는 비유표현의 차이는 다소간의 문화적인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외국어 학습자들은 이러한 해당 언어의 관용적 비유표현을 문화・사회적 관점에서 이해하고 습득하여야만 원만한 학습과 소통이 이루어 질 수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Koreans who study Japanese language and Japaneses who study Korean language often experience difficulties when interpreting and delivering messages. This study figures out that figurative language including idiomatic phrases and proverbs can cause the difficulties.
Figurative language is language that uses words or expressions with a meaning that is different from the literal interpretation. Figurative language strengthens or makes a point more compelling and effective. Figurative language reflects culture, lifestyle and way of thinking about a situation of a group of people over long periods of time. Therefore, people need to understand figurative language from a cultural and social standpoint to better acquire second language.
Korea and Japan in close geographic proximity are within the cultural sphere of Chinese character.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Korean and Japanese figurative language that uses rice and soup, main elements of Korean and Japanese cuisine, and rice cake, representative dish for events of the two countries to se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100 figurative expressions are chosen from each language and researched and classified for this study. The expressions are selected from『Korean Figurative Language Dictionary』written by Choi Gyeong-bong and 『Japanese Figurative Language Dictionary(日本語慣用句 辞典)』written by Yonekawa Akihiko(米川明彦) that preceding researches quote frequently.
The selected figurative expressions are classified by image: positive; negative; neutral; and ambivalent, and classified by meaning: describing emotion; personality and attitude; movement and action; state and value; and daily life and elements of the five categories are regrouped by detailed criteria.
Categorization by image and meaning can vary depending on researchers' point of view. This study classifies figurative expressions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preceding researches.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s and Japaneses have three meals a day with cooked rice as a staple food. A bowl of rice and side dishes are incorporated in both of the Korean and Japanese tables. But eating culture and table manners are different.
Figurative expressions that include "cooked rice" have more likely negative image. As rice is critical for life and health, many of the figurative expressions are related to family support. This study finds out that meaning of rice related figurative language can vary depending on environment, culture and national characters even if Korea and Japan are within the rice cultural sphere.
Second, both of Korean and Japanese tables incorporate a bowl of soup, but image and meaning of soup are not the same. Koreans eat soup with a spoon while Japaneses have it with chopsticks because they consider soup one of the side dishes.
As Koreans share soup with family members, it has image of supporting communal culture. Soup in Japan is personal food, not communal food. Koreans sometimes put rice in a soup, while Japaneses have rice and soup separately. Japaneses consider soup less serious and more negative than Koreans. This study finds out that soup distinguishes eating culture of Koreans from that of Japaneses.
Third, rice cake more likely has positive image compared with rice and soup. Koreans share rice cake during hard times, so the food represents sympathy in Korea. While, in Japan, rice cake is considered as stamina boosting food and Japaneses believe that supernatural energy lies in rice cake. And it is the essential item for various events and daily life, which may contributes to positive image for the food.
It is assumed that rice cake doesn't carry negative image because both of Koreans and Japaneses make rice cake for holidays, important events, ancestral rituals and religious rituals. Participants of the rituals share rice cake for blessing themselves, which contribute to sense of unity.
This study divides image and meaning of rice, soup and rice cake containing figurative expressions of Korean and Japanese into five categories. It finds out that food cultures of the two countries hav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even though the countries are geographically close and connected historically.
Each language community experiences different history and environment, which creates its unique culture and figurative languages over long periods of time. Differences in meaning of figurative expressions are caused by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s that second language learners need to understand figurative expressions from the cultural and social perspectives.
Author(s)
이무용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44
Alternative Author(s)
MooYong L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일어일문학과
Advisor
이창익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2
3 연구대상 및 방법 3
Ⅱ. 본론 7
1. 한일 밥, 국, 떡 문화 7
1.1 한국의 문화 8
1.2 일본의 문화 9
2. 한일 밥, 국, 떡의 이미지 9
2.1 밥 10
2.1.1 한국의 이미지 11
2.1.2 일본의 이미지 16
2.2 국 19
2.2.1 한국의 이미지 20
2.2.2 일본의 이미지 22
2.3 떡 25
2.3.1 한국의 이미지 25
2.3.2 일본의 이미지 31
3. 한일 밥, 국, 떡의 의미 분류 35
3.1 밥 36
3.1.1 한국의 의미 분류 36
3.1.2 일본의 의미 분류 41
3.2 국 44
3.2.1 한국의 의미 분류 45
3.2.2 일본의 의미 분류 47
3.3 떡 50
3.3.1 한국의 의미 분류 50
3.3.2 일본의 의미 분류 55
4. 한일 이미지의미 분류 차이 59
4.1 밥의 분류 차이 59
4.2 국의 분류 차이 61
4.3 떡의 분류 차이 62
Ⅲ. 결론 64
참고문헌 66
부록 6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이무용. (2017). 한·일 양국의 비유표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