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지역 프리마켓 주체자의 참여의도 영향요인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Factor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Intension of Managers, Sellers, and Visitors of Free Market in Jeju
Abstract
이 연구는 제주도내 프리마켓의 형성과정, 분포와 현황, 주요활동 및 운영실태를 살펴보고, 프리마켓 주체자인 운영자, 판매자, 방문자들의 프리마켓 참여경험과 판매자와 방문자의 프리마켓 참여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제주지역 프리마켓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제공 및 제주지역 프리마켓의 지속·발전을 위한 실무적·정책적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면접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으며, 면접조사는 측정도구의 구성을 위하여 실시되었다.
제주지역의 프리마켓 주체자인 운영자, 판매자, 방문자 총 55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Window 18.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ANOVA, Sheffe의 다중범위검증,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리마켓 운영자와 판매자 대부분이 이주민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을 대상으로 제주지역 문화 및 특성에 대한 강좌를 개설·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 진다.
둘째, 판매자 선정기준이 '핸드메이드이어야 한다.'의 비율이 높은 반면, '상품의 질'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운영자는 판매자 선정에 있어 상품의 질에 대한 부분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여 진다.
셋째, 프리마켓 주체자 대부분이 상품 구매경험이 있었으며, 아트/수공예품과 즉석먹거리를 많이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나, 아트/수공예품과 즉석 먹거리가 프리마켓 운영의 주요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판매자는 이들 상품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상품의 질을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방문자는 판매자에 비해 프리마켓 정보획득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자는 프리마켓 홍보를 다양하게 해 나가야 할 것이다.
다섯째, 프리마켓 주체자의 약 2/3가 프리마켓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었으며, 특히, 주차 및 쓰레기 발생과 프리마켓의 난립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자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여섯째, 판매자와 방문자는 프리마켓을 선택할 때 각각 진행관리속성과 물리적 환경속성을 가장 중요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나, 운영자는 프리마켓 운영 또는 이용을 원활하게 해주는 시스템 개발, 프리마켓 편의시설 및 안내 표지판 설치, 매력적이고 자유로운 공간 창출 등을 위한 노력을 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일곱째, 판매자와 방문자의 프리마켓 참여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각각 참여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인 것으로 나타나, 운영자는 판매자들로 하여금 프리마켓에 판매자로 참여하는 것은 가치 있고, 유익한 일이며, 프리마켓에 참여함으로써 매력과 역동성을 경험할 수 있음을 인식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또한, 방문자들을 대상으로 프리마켓이 보다 많은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곳이 아니라 일상적으로 즐길 수 있는 자유스런 곳임을 인식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여덟째, 판매자의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참여태도와 지각된 행동통제였으며, 경제적 가치, 개인적 가치, 물리적 환경속성, 진행관리속성, 내적동기는 매개변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방문자의 참여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참여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내적동기였으며, 경제적 가치, 사회·문화적 가치, 상품속성, 외적동기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아홉째, 관광객의 비율이 21.2%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프리마켓의 제주지역 관광자원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활용해 나갈 수 있도록 지역 및 지방자치단체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또한, 운영자들은 원활한 프리마켓 운영을 위하여 지역 또는 마을의 장소지원 및 편의시설 제공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방자치단체와의 연계를 통한 공공의 지원 정책마련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이 연구의 결과는 제주지역 프리마켓에 대한 후속연구와 제주지역 프리마켓 주체자의 참여증진 및 프리마켓 활성화를 위한 실무적·정책적 방안 마련을 위한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oretical implications on free markets in Jeju and suggest practical and political measures for continuous development of free markets in Jeju by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ation, distribution and current conditions, main activities and operation realities of free markets in Jeju, and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experience and participation intention of operators, sellers and visitors who are the managers of free markets, and free market participation intention of sellers and visitors.
To achieve the objectives, this study combined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for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This study collected data targeting total 552 free market operators, sellers and visitors, and conducted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Sheffe's multiple range 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SPSS Window 18.0 Program for data analysis.
Key outcomes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majority of free market operators and sellers are settlers, opening and operating a class on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Jeju region for them is considered necessary.
Second, while the ratio of seller selection criteria that 'products should be handmade.' is high, 'quality of product' was relatively low, which indicates that operators need to enhance the quality of product in selecting sellers.
Third, the majority of free market managers have experience of purchasing products, and they purchase art/handicraft and instant foods much, which shows that art/handicraft and instant foods are the main elements of free market operation. Therefore, sellers need to develop in various way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ose products.
Fourth, as visitors have difficulties in obtaining information of free market as compared to sellers, operators need to promote free market through various methods.
Fifth, approximately 2/3 of free market managers expressed concern about free market especially over parking, wastes production and flooding with too many free markets, so operators need to find solutions for the aforementioned.
Sixth, when selecting a free market, sellers and visitors place most importance on the process management attribute and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 respectively, so operators need to make efforts for development of system enabling smooth operation or use of free market, installation of convenient facilities and signboards for free markets and creation of an attractive and free space etc.
Seventh, participation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having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ree market participation intention of sellers and visitors, so operators need to let sellers recognize that participation in the free market as a seller is valuable and beneficial, and they can experience attraction and dynamics by participating in free markets. Operators also need to enable visitors to recognize that free market is a free place they can enjoy routinely, not a place where they need to invest much time and costs.
Eighth, the factors influencing directly on sellers' participation intention were participation attitude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economic value, personal value, physical environment attribute, process management attribute and internal motivation were influencing indirectly through a mediation variable. The factors influencing directly on visitors' participation intention were participation 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and internal motivation, and economic value, social·cultural value, product attribute, external motivation were influencing indirectly.
Ninth, the ratio of tourists take 21.2%, which confirms the value of Jeju region as a tourist attraction. Therefore, efforts of community groups and local government for utilizing the value as a tourist attraction are considered necessary. In addition, operators need support for place and offering of convenient facilities from a region or village for smooth operation of free markets, so preparation of a public supporting policy through connection with local government is considered necessary.
Outcomes of this study will be used usefully as relevant data for preparation of practical·political measures for follow-up studies on free market in Jeju, promotion of free market managers' participation and revitalization of free market in Jeju.
Author(s)
오진숙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48
Alternative Author(s)
JinSook Oh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Advisor
김정숙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2. 연구의 목적 5
3. 연구의 내용 7
Ⅱ. 이론적 배경 . 9
1. 프리마켓의 개념과 구성요소 9
1) 프리마켓의 개념 9
2) 프리마켓의 구성요소 12
3) 프리마켓 관련 선행연구 고찰 . 15
2. 국내외 프리마켓 사례 . 18
1) 국내 프리마켓 18
2) 국외 프리마켓 22
3) 제주지역의 프리마켓 25
3. 참여의도와 영향요인 45
1) 참여의도 45
2) 참여의도 영향요인 46
4. 계획된 행동이론과 참여의도 63
1) 계획된 행동이론 63
2)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66
3) 계획된 행동이론과 참여의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66
Ⅲ. 연구방법 69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69
2.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70
3. 측정도구 개발 . 71
1) 면접대상자 선정 72
2) 질문지 구성 73
3) 면접조사 및 분석방법 73
4) 핵심어휘 분석 결과 74
4.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93
1) 프리마켓 운영실태 93
2) 프리마켓 참여경험 관련 특성 . 93
3) 프리마켓 가치인식 93
4) 프리마켓 선택속성 94
5) 프리마켓 참여동기 95
6) 프리마켓 참여태도 96
7) 프리마켓에 대한 주관적 규범 . 96
8) 프리마켓에 대한 지각된 행동통제 . 96
9) 프리마켓 참여의도 97
5. 분석방법 . 98
Ⅳ. 분석결과 및 논의 100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00
2. 프리마켓 운영실태 103
1) 프리마켓 운영 관련 현황 . 103
2) 프리마켓 홍보 및 참여규모 관련 현황 . 104
3) 프리마켓 참가비와 기부금 모금 관련 현황 . 106
4) 판매자 참여 신청 및 판매자 선정기준 관련 현황 107
5) 프리마켓과 지역마을과의 마찰 및 지원 관련 현황 108
6) 소결 109
3. 프리마켓 주체자 분석결과 110
1) 프리마켓 운영자의 참여경험과 참여의도 . 110
2) 프리마켓 판매자의 참여경험과 참여의도 영향요인 118
3) 프리마켓 방문자의 참여경험과 참여의도 영향요인 141

Ⅴ. 결론 및 제언 . 165
1. 결론 . 165
2. 연구의 시사점 . 167
1) 이론적 시사점 167
2) 실무적 시사점 167
3) 정책적 시사점 169
3.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 178
참고문헌 171
Abstract . 186
부록 . 189
1. 판매자의 프리마켓 참여의도에 대한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상관관계 189
2. 방문자의 프리마켓 참여의도에 대한 회귀분석에 사용된 변수들의 상관관계 190
3. 설문지 . 191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오진숙. (2017). 제주지역 프리마켓 주체자의 참여의도 영향요인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Human Ecology and Welf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