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공유리더십의 선행요인과 성과변수에 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Antecedent and Consequences of Shared Leadership
Abstract
조직 내에서 한 사람의 리더가 존재하는 상황과 둘 이상의 리더가 공존하는 상황 중에서 어떤 상황이 바람직한지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연구자들은 공유리더십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공유리더십의 선행요인, 성과변수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조절요인에 대하여 통합적으로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공유리더십을 중심으로 선행요인으로는 상사의 코칭을 설정하였고, 성과변수로는 조직성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공유리더십과 성과 변수 간에 매개요인으로 생산적 에너지를 선정하였고, 조절 변수로는 혁신적 조직문화를 선택하였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고 이에 기초하여 연구모델과 가설을 수립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1개의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전국 174개 점포의 직원 3명을 선정하여 522명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통제변수로는 학력, 연령, 직위, 근속 등을 활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설문 측정항목들의 타당성 분석을 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크론바흐 알파(Cronbach's alpha)값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항목들은 타당성과 신뢰성이 모두 확보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본 연구에 사용된 변수와 종속변수들 간 상관관계 분석결과 변수들 간의 관련성 측면에서 모든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산분석과 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그리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연구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검증결과 코칭의 영향력에 대한 결과를 보면, 코칭이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에 대한 직접효과는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채택되었고 조직성과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인식된 재무성과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리더십이 영향력에 대한 결과를 보면,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와의 관계에서 정(+)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성과와 인식된 재무성과에도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왔다. 또한 생산적 에너지가 성과(조직성과,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긍정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코칭과 생산적 에너지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대한 매개효과는 완전매개 하였고, 코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도 부분매개 하였다. 그러나 코칭이 인식된 재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에 대한 매개효과는 기각이 되었다. 이는 코칭이 인식된 재무성과에는 직접효과만 가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생산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면 코칭과 조직성과간의 관계에서 생산적 에너지에 대한 매개효과는 부분매개 하였고, 코칭과 인식된 재무성과 간의 관계는 생산적 에너지에 의하여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공유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에서 생산적 에너지에 의하여 매개효과는 완전매개하였고, 공유리더십과 인식된 재무성과 간의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코칭과 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의한 매개효과는 기각되었다. 조직문화는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역할을 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공유리더십의 선행변수 및 매개변수를 찾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종속변수들을 사용하여 공유리더십의 효과를 광범위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코칭의 효과를 명확하게 하기위하여 객관적인 규명을 하기 위해 코칭 프로그램에 대한 많은 경험적 연구를 축적하여 측정지표를 정교하게 해야 할 것이다. 결과 변수인 재무성과의 지표를 향후에는 다양한 지표를 사용하여 성과 변수를 더욱 다양하게 활용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Researchers have gradually raised their interests in the studies of shared leadership to find answers about whether a situation where a leader exists in an organization is desirable or a situation where more than two leaders coexist in an organization is desirable.
The study comprehensively presented a theoretical model for antecedents of shared leadership, its influence on outcome variables and moderators and then empirically verified it. In other words, the study set coaching from a boss as an anteceden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an outcome variable. It also set productive energy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outcome variables and innov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s a moderator. A theoretical study was carried out, and then a research model and a hypothesis were set based on it.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522 employees- that is, 3 employees each from 174 branches of a financial institution. The study used gender,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years of service, and department, etc. as control variables. The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measurement items in the survey, and conducted a reliability analysis through Cronbach's alpha. As a result, it was considered that measurement items used in this study had both validity and reliability. As a result of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ll variabl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terms of their relevance. In this study, analysis of varianc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In the result on the influence of coaching, it showed a hypothesis that coaching might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was accepted, and it also suggested that coaching had a direct associ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However, it was indicated that coach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s.
In the result on the influence of shared leadership, it show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ductive energy. It was also indicated that shared leadership had a positive impact on bo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Also, productive energy had a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s (both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In the research outcome on a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it was indicated that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productive energy, a mediating effect on shared leadership had a complete mediation, and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shared leadership had a partial mediation. However,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a mediation effect of shared leadership was not accepted. It meant that coaching only had a direct effect on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s.
In the research outcome on a mediating effect of productive energy, it was indicated that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mediating effect on productive energy had a partial mediation, and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the mediation effect was not accepted due to productive energy.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 mediating effect had a complete mediation due to productive energy, and a mediating effect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recognized financial performance was not accepted. In a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and performance, a mediating effect of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was not accepted. It was indica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played a role as a controller when it had an impa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productive energy.
The research outcomes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find antecedents and parameters of shared leadership and to identify the effect of shared leadership extensively using a variety of dependent variables. To clarify the effect of coaching and identify it in an objective way, it is necessary to review empirical studies on coaching programs and set clear measurement indicators.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the indicator of financial performances that are consequence variables by using performance variables in various ways.
Author(s)
양인실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84
Alternative Author(s)
In Sil Yang
Department
대학원 경영학과
Advisor
김정훈
Table Of Contents
차례 ⅰ
표 차례 ⅳ
그림 차례 ⅵ
국문요약 ⅶ

제 1 장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목적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목적 4
2. 연구방법 및 범위 5
1) 연구방법 5
2) 연구범위 6

제 2 장 이론적 배경 8
1. 공유리더십 8
1) 공유리더십의 개념과 정의 8
2) 공유리더십의 구성요소 15
3) 공유리더십의 선행연구 16
2. 코 칭 19
1) 코칭의 개념 19
2) 코칭 프로세스 20
3) 코칭의 선행연구 22
3. 생산적 에너지 24
1) 에너지의 개념 24
2) 생산적 에너지 24
3) 에너지의 유형 25
4. 조직문화 27
1) 조직문화의 개념 27
2) 조직문화의 유형과 경쟁가치모형 30
5. 성 과 35
1) 조직성과 35
2) 인식된 재무성과 36

제 3 장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38
1. 연구모형 38
2. 가설설정 39
1) 코칭과 공유리더십의 관계 39
2) 코칭과 생산에너지와의 관계 40
3) 코칭과 성과와의 관계 41
4)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와의 관계 42
5) 공유리더십과 성과와의 관계 43
6) 생산적 에너지와 성과와의 관계 44
7) 공유리더십의 매개효과 44
8) 생산적 에너지의 매개효과 46
9)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48

제 4 장 연구방법 50
1. 조사대상 및 범위 50
2. 변수들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도구 51
1) 공유리더십 51
2) 코 칭 52
3) 생산적 에너지 52
4) 혁신적 조직문화 53
5) 성 과 54

제 5 장 실증적 분석결과 55
1. 인구 통계적 분석 55
2. 타당성 분석 56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6
2) 상관관계분석 결과 60
3. 연구가설 검증 61
1) 코칭의 영향력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61
2) 공유리더십의 영향력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64
3) 생산적 에너지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66
4) 공유리더십과 생산적 에너지의 매개효과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68
5) 조직문화와의 조절효과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78

제 6 장 결 론 84
1. 연구결과 요약 및 시사점 84
1) 연구결과 요약 84
2)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 86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 89

참고문헌 91

Abstract 114

설 문 지 117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양인실. (2017). 공유리더십의 선행요인과 성과변수에 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Business Administr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