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2015년 3월~2016년2월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from March 2015 to February 2016
Abstract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제주대학교 조사선(제라호)을 이용하여 2015년 3월부터 2016년 2월까지 10개의 정점의 0, 30, 50m 수심에서 매월 관측한 수온, 염분, 용존산소 등 환경요인과 매월 채집한 식물플랑크톤 시료를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제주연안의 수온은 0m에서 13.56~25.13℃의 범위를 보였고, 30m에서 13.58~21.52℃, 50m에서 13.68~ 19.78℃의 범위였고, 3월 0m에서 최소값을 8월 0m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염분은 0m에서 31.99~34.63psu, 30m에서 33.07~34.67, 50m에서 33.70~34.80psu의 범위였으며, 7월 0m에서 최소값, 3월 50m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용존산소(D.O)는 0m에서 5.08~6.73mg/L, 30m에서 5.72~8.09mg/L, 50m층에서 5.25~8.07mg/L를 보였고, 최소값은 7월 0m에서, 최대값은 3월 30m에서 나타났다. Fluorescence로 측정한 엽록소-a는 0m에서 0.23~2.06mg/m3, 30m에서 0.44~1.05mg/m3, 50m 에서 0.28~0.58mg/m3 였으며 최소값은 3월 0m에서 최대값은 6월 0m에서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연중 5,281~639,934 cells/L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7월 세화리 연안 30m에서 최소값을, 8월 표선리 연안 0m에서 최대값을 보였다. 수심별 평균 현존량은 0m에서 24,899~150,536 cells/L, 30m에서 20,619~78,505 cells/L, 50m에서 12,687~83258 cells/L를 나타내었다.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현존량은 보편적으로 2월에 최소치를 7월 8월에 최대치를 보였고, 수온과 염분의 수치는 전체적으로 높았으나 용존산소량은 낮게 나타났다. 해역별 현존량의 변화에 따라 추측해보면 제주북부해역은 제주에 영향을 주는 해류인 대마난류(Tsushima Warm Current; TWC)와 제주난류(Jeju Warm Current; JWC)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않으며, 다른 해역은 대마난류와 제주난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이 추측되며, 제주서부해역과 남부해역은 장마기간인 6월에 현존량이 감소하는데 이것은 양쯔강 유출류(의 영향을 받아 염분 등 환경요인이 급변함에 따라 현존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추측되며, 추후 정확한 요인을 밝힐 필요가 있다.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연구결과는 각 계절별로 서로 다른 형태로 나타나며 이번 연구에서는 규칙성을 알아낼 수는 없었다. 생태지수의 계절적 변화에 따르면 제주동부해역(성산)은 여름을 제외한 봄, 가을과 겨울에 종이 다양하고, 종풍부도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여름한철을 제외하고 비교적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서부해역(차귀도)은 봄과 여름이 가을과 겨울보다 종이 다양하게 나왔으며, 풍부도면에선 봄 여름보다 가을 겨울이 풍부하게 나왔다. 균등도는 여름이 낮고 나머지는 골고루 분포되어 있었다. 남부해역(서귀포)은 봄과 겨울철에 종이 제일 다양하였고, 풍부도면에서 가을철이 제일 낮고 겨울철이 제일 높았고, 균등도는 여름철과 겨울철이 낮고 봄과 가을은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북부해역(제주)은 전체적으로 다양한 종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으나, 봄과 여름이 가을 겨울보다 종이 더 다양하고 풍부하게 나왔다. 균등도는 여름철을 제외하고 비교적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현존량은 1월최소치와 8월 최대치를 나타냈으며, 봄철보다 가을철에 현존량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16.42%), Chaetoceros decipiens(11.6%) 이었으며, 생태지수는 전반적으로 높았다.
Spatial and temporal changes of phytoplankton in term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arameters were monitored in the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from Mark 2015 to Feb 2016. Samples and environmental data were collected at 0m, 30m, 50m depth of ten stations using Jera-ho R/V of Jeju National University. Monthly and seasonal variations of standing crops and species components of phytoplankton commun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were analyzed. During the study, water temperatures ranged from 13.56 to 25.13℃ at 0m depth, 13.58 - 21.52℃ at 30m, 13.68 - 19.75℃ at 50m, respectively. It showing a lowest at 0m in March and a highest at 0m depth in August. Salinity ranged from 31.99 to 34.63psu at 0m depth, 33.07~34.67psu at 30m, 33.70~34.80psu at 50m, respectively. Dissolved oxygen (D.O.) ranged from 5.08 to 6.73mg/L at 0m depth, 5.72 - 8.09mg/L at 30m, 5.25 - 8.07mg/L at 50m, respectively. It showing a lowest at 0m in July and a highest at 30m in March. Chlorophyll-a by Fluorescence ranged from 0.23 to 2.06mg/m3 at 0m depth, 0.44~1.05mg/m3 at 30m, 0.28~0.58mg/m3 at 50m, respectively. It showing a lowest at 0m in March and a highest at 0m in June. A total of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ranged from 5,281 to 639,934 cells/L, showing a lowest at 30m of Sewha in July and a highest at 0m of Pyosun in August. Mean standing crops ranged from 24,899 to 150,536 cell/L at 0m depth, 20,619 - 78,505 cells/L at 30m, 12,687 - 83,258 cells/L at 50m, respectively.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in Jeju coast showed a lowest in February and a highest in July or August.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standing crops by region, northern Jeju Island was not directly affected by Tsushima Warm Current (TWC) and Jeju Warm Current (JWC), and another region (Eastern, Western, Southern waters in Jeju Island) was directly affected by TWC and JWC. Standing crops in the western and northern regions of Jeju Island decreased in the rainy season of June. A reason of standing crops decrease might be due to the Yangtze River Discharge Flow (YDF) during the rainy season. Standing crop of phytoplankton was higher in spring then autumn, but any pattern of phytoplankton variation by seasonal. According to the seasonal variation of ecological indices eastern waters (Sung-san) in Jeju Island showed high species diversity except summer season. Richness indices and evenness indices is also. Western waters (Chagwi-do) in Jeju Island showed high species diversity in spring and summer comparison to autumn and winter. Species richness was same pattern, species evenness was a little low in summer and another seasons evenly. Southern waters (Segwi-po) in Jeju Island showed a highest species diversity in spring and winter, species richness showed a lowest in autumn and a highest in winter. Species evenness was a low in summer and winter, showed a high in spring and autumn. Northern waters (Jeju) in Jeju Island generally high species diversity and species richness and It showed high in spring and summer comparison to autumn and winter. Species evenness was evenly except summer season. Standing crops showed a lowest in winter and a highest in summer and a high in autumn comparison to spring. We found dominance species in this study Chaetoceros affinis(16.42%) and Chaetoceros decipiens(11.6%). Ecological indices showed high comparison to previous research.
Author(s)
김규범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7987
Alternative Author(s)
GyuBeom Kim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지구해양과학과
Advisor
이준백
Table Of Contents
목 차 4
List of Figures and Tables 6
Summary 9
요 약 11
1. 서 론 14
2. 재료 및 방법 17
2.1 시료채집 17
2.2 식물플랑크톤 정량 및 정성분석 19
2.3 생태지수 및 집괴분석 20
3. 결 과 22
3.1 환경 요인 22
3.1.1 수심별 환경변화 22
3.2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월별 및 계절별 동태 특성 31
3.2.1 월별 현존량 31
3.2.2 계절별 종조성 및 우점도 34
3.2.3 계절별 집괴분석 39
3.3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해역별 동태 특성 46
3.3.1 현존량의 해역별 특성 46
3.3.2 해역별 생태지수 52
4. 토 의 55
5. 결 론 62
6. 참고문헌 6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규범. (2017). 2015년 3월~2016년2월 제주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변화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Earth and Marine Convergence > Earth and Marine Scienc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