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기반한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Work Value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
Abstract
본 연구는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기반한 대학생 직업가치관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직업가치관 측정 도구의 개발을 위해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을 정의하고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기반한 직업가치관의 구성요인에 따라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이렇게 개발된 문항들에 대해서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업가치관 검사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를 위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의 구성요인 및 문항은 무엇인가? 연구문제 2: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는 타당한가? 2-1.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2-2.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공인타당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예비조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과 81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두 차례 Holland 워크숍을 진행하는 과정을 거쳐 척도의 구성요인과 기초 문항을 도출하였으며,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문항을 구성요인에 따라 개발하고 타당화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4년제 대학교 1~4학년 대학생들로서 문항 개발을 위한 집단과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집단을 다르게 구성하였다. 문항 개발을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광주, 부산, 제주 지역의 대학생 620명이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 척도의 전문가 내용타당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인천, 광주, 부산, 제주 지역의 대학생 456명으로, 먼저 구인타당도 검증을 통해 척도의 일반화 수준을 검증하였고, 그 다음으로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보다 적극적 타당화 검증을 위해 Holland 적성탐색검사와 직업선호도검사 이렇게 2개 검사와의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직업가치관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자료분석은 PASW 18.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모형은 선행연구와 Holland 워크숍을 통해 도출된 문항을 기본으로 하며, 이러한 문항은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 6가지 RIASEC 유형을 기반으로 6가지 유형별에 해당하는 직업가치 특성들로 직업가치관이 표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 결과 선행연구와 Holland 워크숍 과정을 통해 총 508개 문항이 도출되었고, 도출된 문항을 전문가 5명이 검토한 후 바람직하지 않은 문항을 교정 및 제거하는 방식을 거쳐 총 491개의 기초 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선행연구와 Holland 워크숍 과정에서 도출된 491개 문항에 대한 두 차례 Holland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분석을 통해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항을 제거하는 과정을 거쳤다. 먼저 1차 Holland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에서는 491개 문항에서 총 104개 문항이 도출되었고, 다시 2차 Holland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에서는 104개 문항에서 총 87개 문항을 도출하였다. 셋째,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 과정을 거쳐 재구성된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측정 도구의 87개 문항은 다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이론적 근거에 의한 총 6개 요인으로 고정한 결과 6개 요인의 최종 48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신뢰도를 검증한 결과 비교적 높은 신뢰도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된 6개 요인의 48개 문항이 요인에 따라 적합하게 묶였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유형별 문항 전체에 대한 상관 관계에 의한 문항 분석, 그리고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요인은 적절하게 나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요인부하량도 양호한 수치를 보여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의 모형은 잘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비교적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 타당성을 보다 견고하게 입증하기 위해 구인타당도를 마친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공인타당도를 알아보았다. 절차는 새로 개발된 검사와 이미 타당도가 검증된 기존의 유사한 특성을 재는 검사 도구와의 상관관계를 살펴 보기 위해 Holland 적성탐색검사, 직업선호도검사 2개 검사와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 결과를 보여 본 연구의 대학생 직업가 치관 척도는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이로써 본 연구에서 개발된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 총 6개의 요인 48개 문항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진로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기존의 다양한 Holland 진로탐색검사와의 연계 및 진로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에 적용하기에 효과적이며, 단시간 내에 효율적인 진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대학 진로상담 현장에서 대학생 진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he work
values scale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then to develop a new work values scale for them and verify
its validity. In order to develop a work values measurement tool, the work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were defined and the ite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factors of work values based on Holland's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The validity of the items developed in this
manner was verified. This study set up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work values test tools:
RQ 1: What are the constituents and items of the work values of
university students presented by Holland?
RQ 2: Is the work value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presented by
Holland valid?
RQ 2-1: What does the concurrent validity of Holland's work values
scale for university look like?
RQ 2-2: What does the construct validity of Holland's work values scale
for university look like?
The preliminary survey of this study analyzed the previous studies and
conducted two sessions of Holland workshops with 81 university students to derive the components of the scale and the basic items, and developed and
validated the items of the Holland's work values scale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facto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st- to 4th-year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roups for item development and the groups for
verifying validity were differently constructed. In order to develop the items,
experts' content validity and exploratory factors of the work values scale
were analyzed targeting 620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do, Gwangju
Metropolitan City, Busan Metropolitan City, and Jeju-do, an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cale developed through this was confirmed.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the generalization level of the scale was verified through
the construct validity test targeting 456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Incheon
Metropolitan City, Gwangju Metropolitan City, Busan Metropolitan City, and
Jeju-do. After that,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Holland's aptitude search
test and job preference test was examined, in order to more actively validate
the validity of the Holland's work values scale. PASW 18.0 software was used for data analysis for developing and validating the work values scal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model of Holland's work values scale was based on the items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ies sand Holland workshop. These items were constituted so that work values can be expressed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 values based on Holland's RIASEC vocational personality types. As a result, a total of 508 items we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tudies and Holland workshop; and among them, 491 basic items were composed after correcting or removing undesirable ones following 5 experts' review. A total of 104 items were derived from the 491 items in the first content validation test by the Holland experts, and a total of 87 items were extracted from 104 items in the second content validity test. Thir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gain on the 87 items of the reconstructed Holland's work values measurement tool after the contents validation was performed by the experts, and the final 48 items of 6 factors were constituted as a result of fixing them as a total of 6 factors on the theoretical grounds.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iability, it was confirmed to be relatively high. Fourth,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48 items of the 6 factors constructed through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appropriately grouped according to the factor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 item analysis by correlation with all items by type, and a reliability test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factors were appropriately divided and the factor loadings showed good numerical values, leading to a conclusion that the model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work values scale was well match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iability, it was confirmed to be relatively high. Finally, to verify the validity more firmly, the concurrent validity of Holland's work values scale was examined after its construct validity was verified. To this end, the correlations between Holland's aptitude search test and job preference test were analyzed in order to look at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newly developed test and the test tools which measure the existing similar characteristics whose validity was already verified. As a resul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and thus the work values scale generated by this study proved to be valid. By doing s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48 items in the 6 factors in the Holland work value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developed by this study were confirmed to be valid. As the importance of career education incre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areer counseling and to group counseling in connection with various Holland career search tests, and are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assistance to career counseling for university students because they can provide efficient career information in a short period of time.
Author(s)
김종학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054
Alternative Author(s)
Jong-Hak Kim
Department
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ⅰ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9
3. 용어의 정의 9
가. 대학생 9
나. Holland의 직업적 성격유형론 10
다. 직업가치관 11
라.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 11
Ⅱ. 이론적 배경 13
1. 진로발달 13
가. 진로발달 이론 13
나. 대학생의 진로발달 16
2.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의 이해 20
가. 직업적 성격유형의 발달 배경 21
나. 직업적 성격유형의 이론적 근거 22
다. 직업적 성격유형의 6가지 유형과 직업 26
라. 직업적 성격유형과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 30
3. 직업가치관 34
가. 가치관의 개념 34
나. 직업가치관의 개념 36
다. 직업가치관의 기능 39
라. 직업가치관 척도 개발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41
4.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따른 직업가치관의 내용 구조 44
Ⅲ.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기반한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
의 개발 58
1. 제1차 문항 선정 과정 61
가.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과 관련한 문헌 고찰을 통한 문항 추출 및
문항 검토 61
나. Holland 워크숍을 통한 문항 제작 및 문항 검토 64
2. 제2차 문항 선정 과정 69
가. 1차 Holland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69
나. 2차 Holland 전문가 내용타당도 검증 73
3. 제3차 문항 선정 과정 82
가. 탐색적 요인분석 82
Ⅳ. Holland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의 타당도 검증 101
1. 구인타당도 검증 102
가. 확인적 요인분석 103
나. 유형별 문항 전체에 대한 상관관계에 의한 문항 분석 106
다. 신뢰도 분석 108
2. 공인타당도 검증 110
가. Holland 적성탐색검사와의 공인타당도 111
나. 직업선호도검사와의 공인타당도 113
Ⅴ. 논의 및 결론 116
1. 연구결과 및 논의 116
2.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 122
3.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연구 제언 124
참고문헌 125
Abstract 141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종학. (2017). Holland 직업적 성격유형에 기반한 대학생 직업가치관 척도 개발 및 타당화
Appears in Collections:
General Graduate School > Convergence Education Software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