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 및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Ego-Identity on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bstract
현대 사회의 변화에 따라 기혼 여성의 취업이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가사노동 및 아이 돌봄은 아직도 어머니의 몫이 크고, 그만큼 기혼 여성들에게 많은 어려움을 초래하고 있다. 이 연구는 기혼 보육교사가 어머니와 아내로서, 전문직여성으로서 역할을 잘 수행하려면 이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인식이 각별히 요구된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기혼 보육교사의 역할 수행에서 중요하다고 인식해 온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및 부모역할 만족도가 이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얼마나 다른지, 그리고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및 부모역할만족도는 관계를 살펴보고,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자아정체감이 부모역할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할 것이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부모역할 만족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 정서지능과 부모역할 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은 정서지능과 부모역할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자는 제주도내의 보육시설(국·공립, 법인·단체·직장, 민간·가정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기혼 보육교사 19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부모역할 만족도에 대한 신뢰도를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기혼 보육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 부모역할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했고,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 보육교사의 가정의 월 소득에 따라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 부모역할 만족도가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온 것으로 보아 가정의 경제력이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에서만이 아니라 가정에서 제 역할을 잘 수행하려면 이들에 대한 경제적 처우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함을 시사한다. 기혼 보육교사의 정서지능이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추후 더 많은 연구를 통해 변인들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다. 둘째, 자아정체감은 정서지능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정서지능은 부모역할만족도와 정적 상관이었으며, 부모역할만족도는 자아정체감과 유의미한 정의 상관이었다. 부모역할 갈등은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그리고 부모역할만족도에 부의 상관을 나타냈다. 이는 자아정체감이 높을수록 정서지능이 대부분 높게 나타나고, 부모역할만족도도 높은 것을 의미하며, 부모역할갈등이 낮을수록 자아 정체감과 부모역할만족도는 높은 것을 말한다. 다른 취업모들과 마찬가지로, 기혼 보육교사 역시 어머니와 아내로서의 역할과 전문직 여성으로서의 역할 사이에 겪는 부모역할갈등을 줄여 나가기 위해 남편과 시부모·친정부모 등 가족 구성원들의 협조, 지역공동체의 사회적 돌봄에 대한 문화 확산 및 국가의 정책적 지원 등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미래확신성, 친밀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주도성이 낮을수록 정서지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수용성이 높을수록 부모역할 만족도가 높았다. 그만큼 기혼 보육교사들이 그들의 자녀들은 물론 어린이집에 다니는 영유아들을 더 잘 이해하고 보살피고 교육하기 위해, 이들의 자아정체감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안들을 모색해야 할 것이며, 예비 보육교사들의 자아정체감 함양에도 더욱 관심을 가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societal changes in the modern period resulted in the expanded job opportunities for women, while mothers among them still take a great deal of responsibility for household chores and child rearing. This suggests that married women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in the contemporary era. This study is based on the awareness that a married woman with the vocation of a child care teacher requires social attention and recognition so that she canfulfillher responsibilities as a mother, wife, and career woman proper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vary depending on different demographic conditions, as well as the correlations of the said three factors to one another. The study also discussed the impacts that her ego identity may have on 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specific research topics are as follows: 1) Do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vary depending on different demographic conditions? 2) What are the correlations of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3) Does ego identity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affect her emotional intelligence? 4) Does ego identity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affect her parental role satisfaction? To answer the above-mentioned qu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for 194 married women who had been working as childcare teachers at local childcare facilities (including national/public, incorporate/ organizational/workplace, and private/home childcares). The reliability of the collected data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alpha, while conducting a frequency analysis on married childcare teachers to determine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study also carried out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features. Then Scheffé's multiple range test was conducted, exhibiting a meaningful difference when p < .05. On top of that, the responses from the survey underwent a correlation analysis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among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as well as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impacts of ego identity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on 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the final step, all the tests were analyzed and verified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The collected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WIN 21.0.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fore-mentioned procedures are as follows: The varied monthly household incomes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brought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 levels of their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inancial situation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and her family had a great impact on her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enhancing financial rewards is more essential than any other measure in order to assist with the role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both at work and at home. Interestingly, however, the analysis showed different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of married childcare teachers depending on the types of the childcare facilities they work for. Given the results, more research projects on different variables are required in the future. In terms of the correlations among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it turned out that ego ident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vice versa.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go identity at a significant level. In contrast, empathy, one of the subcategories of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n insignificant level of correlation to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equating to some 5%. The parental role conflict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it is crucial to create the culture where a married childcare teacher, just as all the other working mothers, can expect cooperation from her family members including her husband and parents-in-law. Another implication is that building a social consensus on the care-giving services offered by the local community is essential, as well as the national support given through policies. The afore-mentioned measures will eventually help married childcare teachers to reduce the possibilities of parental role conflicts that they experience when fulfilling their roles as a mother/wife and as a career woman at the same time. The impacts of ego identity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on her emotional intelligence were analyzed based on the subcategories including future certainty, closeness, and initiative, which showed significant influences in the order. In other words, the more a married childcare teacher is certain about her future with a closer family relationship and a lower initiative, the higher the level of her emotional intelligence becomes. In terms of the correlation of ego identity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there parental role satisfaction, self-acceptance showed a significant level of impact. This implies that the better she accepts herself, the more she is satisfied with her parental role. In conclusion, it was evident that ego identity of a married childcare teacher had a great impact on h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In this context, more social attention and support are required to provide them a practical assistance to enhance their ego ident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This implies that the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potential or incumbent childcare teachers should include activities and contents that can help raise the levels of their ego identity. Developing different measures to improve their ego identity is essential in that the childcare teachers with a higher level of ego identity can take better care of and better educate the infants and preschoolers, her care receivers. Those who are expecting to begin the career as a childcare teacher should also pay keen attention on the levels of their ego 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uthor(s)
김성숙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069
Alternative Author(s)
Kim, Sung Sook
Department
사회교육대학원 심리치료학과
Advisor
김민호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ⅴ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4
3. 용어의 정의 4
1) 자아정체감 4
2) 정서지능 5
3) 부모역할만족도 5
Ⅱ. 이론적 배경 6
1. 자아정체감 6
1) 자아정체감의 개념과 특징 6
2) 자아정체감의 형성과 발달 7
3) 현대 여성의 정체감 8
2. 정서지능 9
1) 정서지능의 출현과 발달 9
2) 정서지능의 특징과 구성요소 10
3)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 12
3. 부모역할만족도 13
1) 부모역할만족도의 개념 13
2) 부모역할의 단계 14
3) 자아정체감과 부모역할만족도 18
Ⅲ. 연구방법 19
1. 연구모형 19
2. 연구대상 19
3. 측정도구 21
1) 자아정체감 검사 21
2) 정서지능 검사 2
3) 부모역할만족도 검사 23
4. 통계적 분석 25
Ⅳ. 연구결과 26
1. 기혼 보육교사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및 부모역할만족도의 차이 26
2.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 부모역할만족도의 상관관계 30
3.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33
4.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부모역할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35
Ⅴ. 논의 및 결론 38
1. 논의 38
2. 결론 43
참고문헌 46
Abstract 54
설문지 58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Citation
김성숙. (2017). 기혼 보육교사의 자아정체감이 정서지능 및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Psychotherap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