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추상화에 질문던지기를 통한 미술과 표현력 신장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Improving Expressiveness in Art Class through Asking Questions to Abstract Painting
Abstract
본 연구는 추상화에 질문 던지기를 통한 미술과 표현력 신장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제주시에 소재하는 1개 초등학교 5학년 28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1일부터 2015년 12월 31일까지 4개월 동안 10회기에 걸쳐 미술과 감상 및 표현수업을 지도하였다. 지도에 앞서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하여 사전설문지를 제작하였는데, 미술과 영역별 선호도와 추상화 대한 이해 여부 등 미술과 실태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와 추상화 감상 및 표현활동 결과물, 사후설문조사를 비교-검토하는 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표현력 신장의 도구로 추상화를 선택한 이유는 광범위한 재료의 사용과 제작기법에 있다. 표현에 대한 부정적인 제약을 낮추고 자유로운 발상을 도모하기 위해 추상화 감상을 도입하고 이를 표현활동과 연계하였다. 각 수업의 동기유발은 추상화 감상으로 시작하여 그림에 대한 질문을 던져보고 대답을 찾아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전개 단계에서는 추상화의 표현기법 또는 제재에서 영감을 받은 후 작품을 구상하고 제작하였다. 수업의 마무리 단계에서 학생들이 서로의 작품을 감상하였다. 본 연구주제에 대하여 사전, 사후설문지와 수업결과물을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미술교육과정을 통해 추상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이 시기에 편견 없이 다양한 예술 양식의 아름다움을 접할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교육의 의무이다. 둘째, 미술 교과에서도 질문을 중요한 컨텐츠로 다루어져야 한다. 질문을 하는 행위는 텍스트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이며 자기주도적인 학습의 첫걸음이자 결과물이다. 셋째, 다양한 추상화를 학생들에게 소개하여야 한다. 현존하는 추상화의 수만큼 각기 다른 감수성과 문화가 공존한다. 넷째, 학생들에게 재료선택과 표현방법의 자유를 주어야 한다. 학생들이 개성있는 감성과 욕구를 담을 수 있는 알맞은 수단을 고를 수 있게 된다면 발상에 대한 스트레스 및 '완벽한' 표현에 대한 부담감을 덜고 미술과 표현활동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미술과 '표현력'의 범위 안에 발상을 포함시켜야 한다. '무엇이 예술인가?'에 대하여 끊임없는 재정의가 이루어졌던 것처럼 학교 현장에서도 미술과 표현력의 범위를 넓히는 시도를 통해 학생들의 심미안을 신장시키고 표현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수 있다. 학교는 학생들이 시각적 문해력을 갖출 수 있도록 다양한 시각적 자극을 제공하여야 하며, 학습자는 미술 작품에 관하여 스스로 질문을 구성해가고 답을 찾는 과정에서 예술가와 동급의 위치를 확보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만의 고유한 예술세계를 재창조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expressiveness in art class through asking questions to abstract paint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in art class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in 4 months from September 1st to December 31st, 2015 subjecting 28 5th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ju-si. Before the session, pre-questionnaire was designed based on contemplation of previous studies, which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of art class such as preference for each field of art, and understanding toward abstract painting. The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by comparing and reviewing the survey result, abstract painting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y result, post-questionnaire result. The reason that abstract painting was chosen as a tool for expressiveness improvement lies on its use of wide-range of material and production method. In order to lower the negative limitation to expression, and promote free imagination, abstract painting appreciation was introduced and associated with expression activity. Motivation of each session was composed of an activity starting by appreciating abstract painting to asking questions and looking for answers. At the level of development, students designed and painted artwork after being inspired by the expressive technique or material of abstract painting. For the final level, students appreciated each others' paintings. The conclusions obtained by analyzing pre, post-questionnaire and session results regarding the study subject are as follows. First, upper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should be provided with chance to appreciate abstract painting through arts education. It is duty of education to provide chance to encounter the beauty of various types of art without any stereotype at this period. Second, question must be a significant contents of art class. Asking question is an active intervention to text, the first step and result of self-oriented learning. Third, various types of abstract paintings must be presented to students. Different and unique sensibility and culture exists along with the number of currently existing abstract paintings. Fourth, students should be granted with liberty to choose material and expressive technique. If they are able to choose proper method to express their own unique emotion and desire, they will lighten the burden to "perfect" expression and stress for ideas, and participate in expression activity in art class. Fifth, idea must be included in the range of "expressiveness" in art class. As endless redefinition of "what is art?" has been in discussion, through an attempt to broaden the range of expressiveness in school will improve sense of beauty and maximize the expressiveness of students. School should provide various visual stimulation for students to obtain visual literacy. With the experience to secure the equal status as artist in the process of asking question and looking for answer by oneself regarding the artworks, the learners are able to recreate their own artistic world.
Author(s)
임은경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075
Alternative Author(s)
Eun-Gyeong Im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
Advisor
오재환
Table Of Contents
목 차
표목차 i
그림목처 ⅲ
국문 초록 ⅳ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1
2. 연구내용 3
3. 연구방법 4
4. 연구의 제한점 5
Ⅱ. 이론적 배경 6
1. 추상화의 이해 6
2. 초등학교 발달단계에 알맞은 질문 전략 15
3. 시각적 문해력의 중요성 17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19
1. 추상화에 질문 던지기란 무엇인가 17
2. 연구 참여자 분석 25
3. 수업의 실제 31
Ⅳ. 요약 및 결론 76
1. 요약 76
2. 결론 78
참고 문헌 80
ABSTRACT 82
부 록 8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임은경. (2017). 추상화에 질문던지기를 통한 미술과 표현력 신장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Art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