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교과기반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 개발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Based Self-Reflective Learning Program: Centered on the Sixth Grade Practical Course
Abstract
2011년 초등학교 1ㆍ2학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된 2009 개정 교육 과정은 미
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는 기치 아래 학습의 효율성 제고,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인성교육 추구, 학생의 핵심역량 강화, 학교의 다양화
유도를 새로운 교육과정의 중점적인 방향으로 설정하여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교육의 고질적인 병폐인 분과주의에 기반한 단편적인 지식 획득
중심의 교육 활동을 해소하지 못하고 있으며, 이는 수많은 초등학생들이 방과
후에 여러 학원을 전전하다 저녁 혹은 늦은 밤이 되어서야 귀가하는 현재의 사
교육의 세태를 감안해볼 때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문제점으로 드러나고 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교육 목표를 살펴보면 교육의 외재적 측면과 내
재적 측면 중 어느 한 부분도 소홀히 하지 않고 균형 있게 충족이 되도록 교육
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바 지금까지의 학교교육을 돌이켜 보았을 때, 교육의 외
재적 측면에 해당되는 교육은 모자람 없이 이루어져 왔지만 교육의 내재적 측면
은 상대적으로 소홀하게 다뤄져 왔음을 부인하기 어려울 것이다.
교육의 내재적 측면을 보완하는 것은 앞서 언급한 우리나라 교육의 고질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효과적인 방안이라는 측면에서 진지하게 고려되
어질 필요가 있다. 교육의 내재적 측면을 충실하게 실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들이 강구되어
왔는데 그 중 학습의 과정을 잠재된 자신을 발견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발현함으
로써 자기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체계적인 자아성찰의 과정으로 파악함으로써 비
단 교과교육의 목적을 지식의 습득에 머물게 하지 않고 참다운 행동의 변화로
파악하고자 하는 일련의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다.
이 연구들에 의하면 교과서의 다양한 지식이 지식의 차원에 매몰되지 않고 개
인적인 경험과 자연스럽게 통합됨으로써 학습에 대해 긍정적인 동기를 부여하
며, 또한 학습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과의 지식이 통합되어 분과주의에
입각한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지식의 축적을 넘어서서 창의적이고 통합적인 교과
교육을 전개할 수 있다. 이 뿐만 아니라 지식구조가 개인의 경험에 결합됨으로
써 개인의 감성적인 영역의 계발에도 기여하여 학습자의 전인적 발달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자아성찰을 촉진하는 교과학습의 실천적
대안인 무지개 학습의 개념을 응용하여 기존의 교과 학습목표를 기반으로 자아
성찰 학습목표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6학년 실과를 완전하게 재구
성한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교과로 실과를 선택한 이유는 실과 교
육을 자기 관리 능력,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진로 개발 능력 등과 같은 핵심
역량을 학생들에게 함양하려고 하는 바, 이와 같은 핵심 역량은 자기이해, 자기
조절, 자기설계 등의 자아성찰의 방법을 통해 효과적으로 학습이 가능하기 때문
이다.
또한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살펴보면 가정생활과 기술의 세계에
대한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목표를 제시하고 있는데, 이를 종합해보면 가족
이라는 공동체 안에서 나의 삶을 조화롭게 영위함과 동시에 사회라는 공동체 안
에서 직업과 일이라는 사회적 역할을 적절하게 수행함으로써 사회의 일원으로서
순조롭게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내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가족 안에서 다
른 구성원들과 화목하고 행복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자신을 이해하는 능력이,
진로를 탐색하여 미래 사회에 적응하는 역량과 태도 역시 자기조절 및 자기설계
능력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을 것임을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에서 실과를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반 교
과로 선정하였으며 교과 학습목표와 자아성찰 학습목표를 유기적으로 성취함으
로써 기존의 단편적이고 파편적인 지식의 축적을 벗어나 자아성찰을 통해 참다
운 내적 변화를 이룰 수 있는 진정한 의미의 학습을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안내
하는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6학년 실과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각 단원별로 교과 학습목
표를 추출한 후 교과 학습목표의 핵심을 구성하고 있는 지식 영역이 어떻게 형
성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이렇게 파악한 지식 구조에 은유 기제를 적용하여 자
아성찰 영역과의 접목 가능성을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차시별로 자아성찰
학습목표를 제시하였다.
둘째, 이렇게 개발된 자아성찰 학습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자아성찰 학습 프로
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는 교과의 구조를 개인의 주관적인 경험세계에 연결함으
로써 자아성찰을 촉진하고 위한 것으로 차시별로 제시된 자아성찰 학습목표의
유용성 평가를 통해 평가 점수가 가장 높은 2개 차시를 선별하여 구체적인 교수
ㆍ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의 학습목표
와 교수ㆍ학습 과정안의 전체적인 방향을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의 중점적인
목표에 부합되도록 하였다. 즉,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비단 가정과 학
급 내에서 필요한 자기 관리 및 자립적 생활 수행 능력을 함양할 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의 대표적인 특징인 저출산 사회ㆍ고령 사회ㆍ
다문화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기 관리 능력,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진로 개방
능력을 길러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요컨대 이 연구는 2009 개정 실과 교육과정이 미처 보완하지 못하는, 즉 분과
주의에 매몰되어 지식의 축적에 편향되고 학습의 과정과 내용이 학생의 삶과 괴
리되어 있는 우리 교육의 고질적인 병폐를 학급 단위에서 세밀하고 밀도 높게
개선하는데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Since 2011, Wish Elementary School has gradually applied a character education course to their first and second grade curriculum that is aimed at encouraging students to become more efficient by learning course material that promotes a caring and sharing approach for students. The curriculum has been steadily revised step by step under the banner of fostering the creative talent from students that is required to build a healthy future society. The goals of this program include reinforcing the competence of students by focusing the direction of the new curriculum. Despite these various changes, they do not solve the problem of having fragmented knowledge acquisition as the center of educational activities or the chronic lack of time that is spent personally on each student. This situation is made worse when one considers it is coupled with an afterschool system that does not allow students to go home and rest, but instead often leaves students studying for long hours into the evening and facing the extra social problems that are often associated with private afterschool tutoring. The intrinsic aspects of instruction need to be seriously considered and rethought to create effective measures for solving the persistent problems I mentioned previously in the Korean education system. There are several ways in which to practice and faithfully improve the inherent aspects of education needed for students to discover their potential. The process of learning the curriculum by specifically identifying and expressing a process of systematic self-reflection can help students reach a greater understanding of their own selves. The newly proposed studies do not only focu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but instead seek to identify a genuine change of behavior for students. Without this change in the curriculum, students are only focused on the various bits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textbook and not a curriculum which focuses on merging textbook knowledge that also incorporates personal experience. This curriculum not only naturally gives students a positive motivation for learning, but also incorporates the knowledge of various subjects integrated around the learners' experiences. Instead of focusing on the accumulation of fragments of knowledge, this curriculum is more based on generating a creative environment and developing an integrated training curriculum. This not only contributes to the knowledge of the student by engaging them through personal experience, but also grants access to areas of emotional development while focusing on specific areas of study.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practical alternatives or "rainbow learning" coursework is that it promotes attaining knowledge through self-reflection through a subject of an existing curriculum. These learning objectives were created and developed for self-reflection Grade 6 in particular has been focused on to use this style of curriculum to vastly improve knowledge retention and improve both grades and behavior issues in the classroom. Furthermore, having self-reflection learning programs develops core competencies in self-management skills,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Even the advancement and raised potential for career development capabilities are raised to unparalleled levels by using Practical Arts Education. Selected gardening as a subject. This practical gardening course is effective because it can effectively guide students through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in a self-learning design format. The objectives of the 2009 revised Practical Arts curriculum are infinitely able to be personalized. They have been used in many regions of the world, with students of vastly varied home lives, and by the skills featured within each goal. This curriculum has generated results in many countries and fosters has been shown to even generate an improved sense of community in the areas where it has been implemented. This curriculum has even been incorporated by social workers to help encourage values such as living in harmony with family and by giving back to the community by properly performing different roles in a team setting. It can be seen that this curriculum raises the ability of students to adapt smoothly as a member of society. This approach to learning not only reinforces material thought in the classroom. It also helps students mature and understand themselves in a healthy way. Under this curriculum, students are expected to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mselves and hold them accountable for helping create a harmonious atmosphere and happy relationships with their classmates. This generates happy and healthy relationships within the classroom and generally helps in student's home lives as well. Under our current style of curriculum, students may be too depended on self-regulation and not fully equipped to adapt in future society.
Author(s)
문병곤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079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교육학
Advisor
송재홍
Table Of Contents
국문 초록 ⅵ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문제 6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8
1. 교과교육과 자아성찰 8
2. 무지개 학습 10
3. 초등학교 실과 교육과정의 분석 12
4. 실과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모형 21
Ⅲ. 자아성찰 학습 목표의 개발 29
1. 자아성찰 학습 목표의 개발 절차 29
2. 초등학교 6학년 실과 단원별 자아성찰 학습 목표의 개발 30
Ⅳ.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56
1.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56
2. 초등학교 6학년 실과 단원별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의 전개 58
Ⅴ. 요약 및 결론 92
참고 문헌 97
ABSTRACT 99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문병곤. (2017). 교과기반 자아성찰 학습 프로그램 개발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