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제주도 무가(巫歌)를 활용한 풍물놀이 지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Pungmul-nori Utilizing Jeju Island's Shaman Songs A Research on Guidance Method : With Elementary Schools as the Center
Abstract
2014년 11월 27일 반가운 소식이 들렸다. 우리나라 농악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9차 무형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가 확정되
었다는 소식이었다. 그 이면에는 우리나라 전통문화의 대표적인 풍물놀이1)가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고, 앞으로도 보존해야할 소중한 우리의 문화유산
이라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도 우리의 전통문화를 보존․계승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이
펼쳐지고 있지만, 유네스코에 등재된 가치만큼이나 과거에 비해 좀 더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대해서는 다시 한 번 제고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풍물놀이 문화재가 특별히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서의 풍물 교육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할까라는 근본적인 질문에서부터 출발했다. 물론 지역에 원형
이 잘 보존된 무형 문화재가 남아 있다면 그 지역의 문화재를 잘 보존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면 될 터이지만,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또 다른 측면에서 우리나라
전통음악인 풍물놀이를 더 발전시키기 위한 방법을 새로이 모색하는 것이 옳은
일일 것이다.
특히나 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가장 부각되는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풍물놀이의
지역화 방법을 고민하고 현장에서 가장 현실성 있는 지도 방안을 고민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을 고려하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가장 적합한
풍물놀이 지도 방법을 모색하고자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지역에 남아있는 전통음악이나 민속 문화의 모습을 먼저 살펴보고 접목
가능한 제재를 선정하는 것이다.
둘째, 각 지역의 대표적인 풍물놀이 관련 문화재를 살펴보고 초등학생에게 가
장 적합하고 풍물놀이 본연의 맛을 살릴 수 있는 장단을 선정하는 것이다.
셋째, 위의 과정을 통해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풍물놀이 지도 방안을 마련하
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학교 현장에서 우리 조상의 얼과 정신을 이
을 수 있는 유의미한 교육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어렸을 적 경험은 평생 간다."는 말을 자주 한곤 한다. 그만큼 어렸을 적 경험
은 우리 아이들이 커서도 잊을 수 없는 추억이나 소중한 기억으로 남게 될 것이
고, 많은 사람들이 주장하는 우리 문화를 보존․계승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
는 일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소 부족한 점이 많은 연구지만 학교 현장에서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풍물놀이나 우리 전통음악을 지도하려 고민하는 분들께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On November 27, 2014, a good news was heard. It was the news that
Korean Farmers' Music was decided to be register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t the 9th Intangible Heritage Committee
conference in Paris, France. It can be said that Pungmul-nori**), the representativ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acknowledged in the
world and that it has the implication that it is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to
be preserved in the future, on the background of this.
Although various efforts are being developed to preserve and inherit our
traditional culture at schools, we need to rethink once again the question as to
whether the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more systematically than in the past
as much as the value registered in UNESCO.
This paper started from a fundamental question of how the education of
Pungmul should be conducted in the areas where there are no special cultural
assets of Pungmul-nori. Of course, i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whose
original forms have been well preserved remain in the areas, you will have to
consider the ways to preserve the cultural assets of the areas but, if not, it
will be right thing to newly search for the ways to develop Pungmul-nori,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 in another aspect.
Especially, since it was considere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onder on
how to localize Pungmul-nori in elementary schools where the importance of
arts education is emphasized and to ponder on the most practical guidance
method on the spot, this study started.
This research proceeded in order to search for the guidance method for
Pungmul-nori most suitable fo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sidering
th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the method as follows:
First, we take a look at the traditional music or folk culture left in the local
areas in the first place, and select materials that can be engrafted.
Second, we take a look at representative cultural assets related to
Pungmul-nori in each local area, and select rhythms most suitab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ossible to reflect the original taste of
Pungmul-nori.
Third, through the above process, we prepare a guidance method for
Pungmul-nori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area, reconstruct it suitable for the levels of the students, and develop meaningful educational
activities that can succeed to the soul and spirit of our ancestors in the school
field.
People often say, "The experiences in childhood are lifelong." Like the
words, the experiences in childhood will be left as cherished memories
impossible to be forgotten by our children even after they grow up, and so
making them such experiences may be an important task to preserve and
inherit our culture as many people insist. Though it is insufficient research, I
hope that it could be a little help for those who worry about guidance on
Pungmul-nori or our traditional music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local area in the school field.
Author(s)
장정주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2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088
Alternative Author(s)
Jang, Jung Ju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
Advisor
조영배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연구의 검토 2
3. 연구 대상과 방법 9
4. 연구의 제한점 10
Ⅱ. 풍물놀이의 개요 11
1. 풍물놀이의 유래 및 특징 11
2. 풍물놀이와 사물놀이의 차이점 14
3. 풍물놀이의 지역적 분포 및 특성 15
4. 제주도 풍물놀이의 연행배경 및 특성 20
5. 제주도 풍물놀이(걸궁)의 실제 21
Ⅲ.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개요 24
1.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유래 및 특징 24
2.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교육적 활용 방법과 당위성 24
3. 제주 칠머리당 영등굿의 제차 형식(第次儀式) 27
4. 제주도 굿에 사용된 악기 32
Ⅳ. 제주 무가를 활용한 풍물놀이 지도 방안의 실제 39
1. 국가무형문화재를 활용한 풍물놀이 지도 내용 선정 39
2. 풍물놀이와 접목 가능한 제주 무가와 연물 장단 선정 40
3. 풍물놀이 동아리의 조직과 악기의 이해 40
4. 제주 무가를 활용한 풍물놀이 지도 방안 구안 45
Ⅴ. 결론 및 제언 105
참고 문헌 107
ABSTRACT 11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정주. (2017). 제주도 무가(巫歌)를 활용한 풍물놀이 지도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usic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