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고등학교 현대미술비평 지도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Methods for Teaching [: Focused on Geahigan's Criticising Methods]
Abstract
현대미술로 불리는 동시대미술(Contemporary Art)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미술의 개념 아래 내포되는 미술 형식의 다양화에 따라 소재·기법·매체의 사용 범위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급변하는 사회·문화·정치·경제의 흐름에 영향을 받으며 작품 창작의 의미와 개념, 표현의 방식 등 미술 전반에 걸쳐 총체적인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미술 개념의 확장은 미술 교육의 접근에 있어 새로운 변화가 시도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대변하기도 한다. 과거의 틀에서 미술을 감상하는 시각과 기준에서 벗어나 변화하는 시대를 반영한 작품 감상 방법과 이를 해석하고 비평하는 독창적인 시각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고 있다. 따라서 미술 교육에 있어서 표현 활동에 치중된 기능 위주의 교육보다는 표현 활동과 비평 활동이 골고루 반영되는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내용 구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이다.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미술 문화' 과목 목표에서도 미술 감상과 미술비평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 내용을 보면 '인간의 삶 속에서 미술을 이해함으로써 비평적 사고력과 미적 감수성을 길러 생활을 풍요롭게 영위할 수 있는 문화적 소양을 가지도록 하는 데 있다.'고 제시하면서 그 하위 목표로서 미술의 기능과 소통 방식의 이해, 비평적 관점에 근거한 미적 가치의 판단, 확장된 미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창의적인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교육 현장에서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은 여전히 표현 활동에 비하여 수업 비중이 부족한 편이다. 감상 활동도 형식적이고 지식 중심의 단편적인 교육으로 운영됨으로써 미술비평 교육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미술 문화' 과목의 감상 영역을 바탕으로 탐구 중심의 비평 방법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비평 교육의 대안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는 현대미술비평 교육에 적합한 이론으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과정을 적용하여 미술비평 지도 방안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먼저 미술비평 탐구 이론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과정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미확정적인 대상의 가치를 직면하는 과정에서는 비평적 추론의 경험을 강조하였고 작가의 의도 및 작품에 관련된 사실적인 정보 수집의 필요성을 깨닫도록 하였다. 즉 담화적 성격의 단계적 절차를 따르기보다는 순환 과정의 유연성을 강조함으로써 문제에 대한 가설을 세우고 추론을 통해 이를 검증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미술비평 교육의 실천적 방안에 대한 제안은 현대미술의 개념 확장에 따른 총체적인 변화를 반영하여 현대미술 작품의 가치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탐구과정 중심의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스스로 문제를 발견하고 이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하는 방법'을 체득하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탐구과정별 발문 중심의 상호 토의 및 토론 학습을 활용하여 공동의 결과를 이끌어내는 협력 활동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비평 능력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 왔다. 그 결과, 학생 활동 중심의 탐구과정과 상호 협력에 따른 토의 및 토론 학습은 현대미술비평 교육의 효율성은 물론이고 학교 현장에서의 비평 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게 되었다.
The most distinctive characteristic of Contemporary Art, also known as Modern Art, is that it's range of applications in material, techniques, and media is greatly expanding in accordance with the diversion of art form within the concept of art. Also, it is influenced by the rapidly changing flow of society, culture, politics, and economy and is facing an overall change in terms of the meaning, concept, and expression techniques of creation. This expansion in basic art concept also represents the need for new changes in approaching art education. The methods of appreciating art by reflecting the changing era apart from the past perspectives and standards of enjoying art as well as interpreting and criticising them in a creative perspective are becoming more important than ever. Therefore, in terms of education for understanding Modern Art, systematical and well-balanced contents evenly reflecting expression and criticism rather than education focusing on expressing techniques have become a necessity. The importance of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ing is even emphasized in school subjects such as 'art culture' within the 2009 revised high school art education curriculum. The contents in the curriculum states that 'the purpose is to possess cultural refinement that can enrich our lives through cultivating esthetic sensibility and critical thinking by understanding art in human life' and emphasizes creative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while perceiving the understanding the functions of art and communicating methods, determining esthetic values based on critical perspectives, and the importance of expanded art. However, art appreciation and art criticism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teachings of expression techniques at schools. Even the art appreciation activities are very formal and focuses on fragmentary lessons and so does not fulfill the educational purposes of art criticism. Accordingly, this study sought an efficient and systematical criticism education alternative using criticism methods focusing on research based on the appreciation areas of 'art culture' clas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pply George Geahigan's critical research process which is a suitable theory for modern art criticising education to study methods for art criticising classes. First of all,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Geahigan's critical research process based on art criticism research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Geahigan's critical research process experiences critical inference in the process of facing the values of an undecided subject and through this procedure, the researching attitude that realizes the necessity of collecting fact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artwork and the intentions of the artist is emphasized. In other words, this focuses on the activity of verifying through making a hypothesis and inference on a problem by emphasizing the flexibility of a circulation process rather than following a narrative step-by-step procedure. Therefore, the proposal for a practical art criticising education method is presented by a class focusing on a research process that determines and interprets the values of artwork by reflecting the overall changes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ual expansion of Modern Art. In this process, an opportunity for naturally gaining a 'method of learning' is provided which is for finding a problem and solving it on one's own. As for teachers and teaching methods, criticising skills were shown to improve by actively using cooperation learning that derives a common result by utilizing mutual discussion and debates focused on questions for each research processes. Through th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accordance with student-oriented research process and mutual cooperation enhanc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riticism classes in schools as well as the efficiency of Modern Art criticising education.
Author(s)
박재희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105
Alternative Author(s)
Park, Jae Hee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미술교육
Advisor
김용환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i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3
1. 미술감상과 미술비평 교육의 이해 3
2. 현대미술과 게히건의 비평적 탐구 방법의 이해 6
Ⅲ. 고등학교 미술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 16
1. 2009 개정 고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해 16
2. 고등학교 '미술 문화' 교과서의 분석 19
Ⅳ. 게히건의 이론에 근거한 미술비평 지도 방안 22
1. 고등학교 미술비평 수업의 적용 원리 22
2. 현대미술비평 교수·학습 지도의 실제 24
Ⅴ. 결론 50
참고문헌 52
ABSTRACT 54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재희. (2017). 고등학교 현대미술비평 지도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Fine Art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