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국어 겹문장 교육 방안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Study on education methods of Korean complex sentences [: Focused on the issue of the grammatical category in adverbial clauses]
Abstract
학교 문법은 기술 문법의 성과 그 자체가 교육적 대상이 될 수는 없다. 교육적 차원에서의 고려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이 선정되고 적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현행 국어 겹문장 교육은 그 체계에 관해 복수의 관점을 취하고 있어 교사나 검인정교과서의 관점에 따라 교육 내용이 선정됨은 물론 학습자 간 지식 체계가 상이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을 내포한다. 한편으로 겹문장은 국어 문법 원리와 특성을 지닌 국어 활용의 주된 현상으로, 다양한 유형의 특성을 포괄하고 있어 학습적 측면에서 매우 유용한 탐구 주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학교 문법의 겹문장 교육은 단순히 '표현 효과'에 중점을 두고 교육 내용이 구성되어 있어 그 교육적 가치가 제대로 구현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겹문장 교육의 혼란을 줄일 수 있는 하나의 기본안을 제시함과 동시에 교육적 유용성을 고려한 교육 내용 체계화에 초점을 맞추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겹문장 체계의 변화 양상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겹문장 교육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는 겹문장 교육과 관련한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겹문장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에 근거한 교육 내용 체계화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Ⅲ장에서는 겹문장 교육의 혼란을 줄이기 위한 하나의 체계를 제안하기 위해 대상이 되는 겹문장의 국어학적 특성과 그 복합적 성격과 관련되는 개념을 살펴 보았다. 겹문장의 주요 개념인 '접속'과 '내포'에 대해 검토해보았으며, '접속'과 '내포'의 개념과 구조의 중첩으로 종속절을 부사절로 포함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대등절, 종속절, 부사절의 설정 문제를 국어학적 관점으로 통찰하여 대등절의 독립적 지위를 인정하는 반면, 종속절을 부사절의 하위 범주로 포함하여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위 논의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기존 겹문장 교육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국어 겹문장 체계의 기본안을 바탕으로 겹문장 교육의 실제를 제시하였다. 겹문장의 구조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는 탐구 활동을 제시하고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겹문장을 다양한 문법 요소의 구조적 유기체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국어 겹문장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돕는 것은 물론, 궁극적으로 국어 언어 구조를 탐색하고 인지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기존 겹문장 교육을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교육적 관점에서 국어 겹문장에 관해 논의함으로써 더 발전적인 겹문장 교육을 실현시키고자 하였다. 또 한 겹문장을 통해 언어에 관한 탐구에 이르는 문법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지향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의 구안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 연구의 의미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School grammar is chosen and applied to teaching after consideration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based on research outcome about descriptive grammar. However, educational contents are sele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individual teachers or authorized text books and knowledge system can be differently built between students because the current education for Korean complex sentences reflects disputes over descriptive grammar. A complex sentence in Korean language is a common phenomenon that reflects principles and features of Korean language. As the sentence includes various types of features, it can be a useful subject of inquiry. But education for complex sentences at schools simply focuses on understanding linguistic expression, so educational values of the complex sentences are not properly realized. Based on the point in question, this study suggests a plan to cause less confusion in the education for complex sentences and focuses on structurizing educational contents for effective education. For the purposes, chapter Ⅱ looks into educational situations for complex sentences
Author(s)
김정아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111
Alternative Author(s)
Kim, Jeong-Ah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Advisor
송현정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3
3. 연구 내용 6
Ⅱ. 국어 겹문장 교육 내용 분석 8
1. 교육과정에 따른 겹문장 체계 변화 양상 8
2. 겹문장 교육 현황에 대한 비판 12
Ⅲ. 국어 겹문장에 관한 통사적 논의 20
1. 접속과 내포의 의미와 구조 21
2. 대등절과 부사절 30
3. 종속절과 부사절 35
Ⅳ. 국어 겹문장 교육 방안 41
1. 국어 겹문장 교육 내용 구성 방안 41
2. 국어 겹문장 교육 내용 구성의 실제 48
Ⅴ. 결론 60
62
6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정아. (2017). 국어 겹문장 교육 방안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Korean Language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