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에 수록된 실제적 자료의 유형과 기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ypes and functions of practical data included in statistics chapter for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Abstract
통계교육의 목적은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가운데 발견된 지식을 현실적 문제 상황의 해결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적 사고력을 개발하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 통계 교육은 기계적으로 자료를 공식에 대입하여 계산함으로써 자료의 표현과 해석, 적용하는 경험이 적절히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통계과목은 다른 과목에 비해 실제적 자료를 가져와 해석하고 적용할 수 있는 영역이지만 아직 교과서에서는 실제적 자료보다는 가상적인 자료들이 많이 제시되어 있다. 자료의 소재들을 보면 실생활 소재로 만든 통계자료이기는 하지만 지나치게 잘 다듬어져 있으며 기계적인 단순 계산만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느끼기에는 통계 수업은 지루하고 건조한 수업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교과서 통계단원에 수록된 실제적 자료가 어떻게 구성되고 있는지와 실제적 자료의 유형과 기능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2009개정에 따라 출판된 중학교 3학년 교과서 13종에 제시된 통계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적 자료의 유형과 기능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3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통계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 중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보다 가상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이 약 5배로 월등히 높았다. 출판사별로 교과서에 제시된 통계자료 중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의 구성 비율이 제일 높은 것은 37.09%이고, 제일 낮은 것은 3.22%으로 교과서마다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에서의 자료 유형은 환경유형(39%), 스포츠유형(22%), 기타유형(19%), 사회유형(14%), 경제유형(3%), 의학유형(3%)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13종의 교과서에 제시된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 중 수학적 과정 요소로 나누어 보면 문제해결 73%, 의사소통 19%, 추론 8%로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요구하는 문항은 모든 교과서에 모두 제시되어 있지만, 의사소통과 추론은 일부 교과서에 만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출판될 교과서에는 학생들이 수학적 가치와 유용성을 느낄 수 있도록 실제적 자료를 활용한 문항들을 많이 제시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다양한 통계적 사고경험을 할 수 있도록 추론, 의사소통 문항이 추가 되어야 하겠다.
Purpose of statistics education is to develop statistical thinking ability which can be applied to solution of actual problem using the knowledge obtained from collecting and analyzing data. However, current statistics education in Korea only teaches calculating data into formula mechanically and is unable to provide proper chance to experience expression,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data. The statistics subject is required to bring up practical data to interpret and apply, but the current text book suggests hypothetical data rather than practical data. The sources of data come from actual living, but it is too well tempered, and only requires mechanical and simple calculation. Thus, students regard statistics class boring and not interesting.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types and functions of practical data and how the middle school third grader's textbook compose practical data about statistics chapter. For this, the study examined questions utilizing statistical data suggested in 13 textbooks published since revision in 2009, and based on the result, the study analyzed types and functions of practical data. As the result, number of questions using hypothetical data was 5 times larger than questions using practical data among the questions utilizing statistical data in 13 types of textbooks. Among the statistical data suggested on textbook by publications, the one with the highest rate utilizing practical data was 37.09% while the lowest was 3.22% which indicated significant gap. For questions utilizing practical data, the types of data were in order of environmental (39%), sports (22%), others (19%), social (14%), economic (3%), medical (3%). Also, among the questions utilizing practical data suggested in 13 textbooks, when analyzing the mathematical process element, there were 73% of problem solving, 19% of communication, and 8% of inference. Also, all textbooks suggested questions requiring problem solving ability, but questions about communication and inference are only suggested in some textbooks.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confirmed the necessity for textbooks to be published by the newly revised curriculum in 2015 to include more questions utilizing practical data to teach students about mathematical value and its usefulness. Also, to let students have various statistical thinking experiences, more inference, communication questions should be included.
Author(s)
김송이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149
Alternative Author(s)
Kim, songy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수학교육
Advisor
이경언
Table Of Contents
표 목차 2
그림 목차 2
국문 초록 4
Ⅰ. 서론 6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6
2. 연구 문제 7
3. 용어 정의 8
4. 연구의 제한점 8
Ⅱ. 이론적 배경 9
1. 통계 교육 9
1) 중학교 통계교육 9
2) 2015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통계 10
2. 수학적 과정 12
3. 통계 교육의 문제점 15
Ⅲ. 연구 방법 17
1. 분석 대상 17
2. 분석 방법 및 절차 18
3. 분석 기준 설정 19
Ⅴ. 연구 결과 26
Ⅳ. 결론 및 제언 41
1. 결론 41
2. 제언 43
참고 문헌 44
Abstract 46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김송이. (2017). 중학교 3학년 통계단원에 수록된 실제적 자료의 유형과 기능
Appears in Collections:
Elementary Education >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