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한국에 도래하는 제비(Hirundo rustica)의 번식생태 및 관리방안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Breeding Ecology and Management of Barn Swallow (Hirundo rustica) in Korea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habitat features, nesting habits and breeding ecology of barn swallows in the Gwangju Metropolitan Area during the breeding season from 2012 to 2014. Furthermore, this study aims at using the results to propose a management plan for the protection of swallows and their habitats in Korea.
It was confirmed that barn swallows fly to Korea in late March and leave their breeding grounds in late August. For breeding grounds, nesting habitats accounted for approximately 5~10%, farmland for predatory activities accounted for 27~52.7%, and rivers took up 10~15%. The home range area was 0.8~0.84㎢ and the most land used within the home range was farmland (42.2~53.2%). The majority of potential prey included insecta, while aranea was also collected. Among the insecta, diptera was the most commonly sought at 48.3%, followed by hymenoptera at 24.7%, coleoptera at 10.7%, hemiptera at 3.0%, lepidoptera at 1.8%, odonata at 1.5% and homoptera at 0.7%. All nests were attached to the vertical walls and roofs of buildings, and the outer diameter of nests were 18.2±3.2㎝, with a depth of 9.8±3.1㎝, an inner diameter of 11.2±1.5㎝, and inner depth of 3.4±0.5㎝, and were located at a mean height of 2.9±0.3m. Breeding nests were attached to cement walls (44.9%), lumber (23.1%), bricks (21.8%), and light poles (6.4%). The usage rate of nests was found to be 39.0% for older nests and 61.0% for new nests. Both male and female swallows made nests and took approximately eight days to complete a nest. In the morning hours when there is highest concentration of nesting activities, nesting frequency displayed a range of 14.2~31.0 trips/h with males at 10.2~19.8 trips/h and females at 4.0~11.4 trips/h. Clutch sizes ranged from 2~5 and the mean was 4.5. The mean egg length was 18.23±0.73㎜, the height was 13.11±0.25㎜, and the volume 1.60±0.11㎤, the egg shape index 1.39±0.05, and egg weight was 1.69±0.15g. Only the female incubated eggs and the average incubation period was 13 days. The incubation time was 50.6±17.5 min/h in the early morning at 6 a.m., and about 84% of one hour was used for incubation. At 7 a.m., it took an average of 24.5 min/h (40.8%), and following that time, it was found to be at an average of 15.6 min/h (26.0%). The weight of birds immediately after hatching were approximately 1.4~2.0g. They grew rapidly from four to ten days after hatching, and on the 12th to 14th day, the mean weight was 18.2g (15.8~20.5g). The brooding period was approximately 23 days and feeding activity was carried out by both the male and female. The frequency of feeding during the day included a total of 385.2±66.9 trips/nest, and was 219.2±37.1 trips/nest for males and 166.0±30.8 trips/nest for females. The success rate of hatching and fledging were 89.1% and 84.5%, respectively. The main causes for reproduction failure were unfertilized eggs, predators, damage to nests, and the forfeiture of reproduction. There was a high rate of infection by ectoparasites such as lice and mites. The return rate of chicks was very low at 0~3%. Barn swallows are distributed nationwide excluding some mountain areas and urban regions, and the population of barn swallows has been stabilizing recently.
In conclusion, it is judg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widely as data necessary for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barn swallow habitats.
본 연구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의 번식기 동안 광주광역시에서 제비의 서식지 특성, 영소지 선택과 번식생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또한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국내에서 제비의 종 및 서식지 보호에 필요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국내에서 제비는 3월 하순에 도래하여 8월 하순에 번식지를 떠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번식지 일대에는 영소지인 주거지역은 약 5~10% 비율을 차지하고, 포식활동지인 농경지가 27~52.7%, 하천이 10~15%로 분포하였다. 행동권 면적은 0.8~0.84㎢이었으며, 행동권 내 토지이용은 농경지(42.2~53.2%)가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잠재 먹이원은 대부분 곤충류(Insecta)로 나타났으며, 비곤충류인 거미류(Araneae)도 채집되었다. 곤충류 중에는 파리목(Diptera)이 48.3%로 가장 많았으며, 벌목 24.7%, 딱정벌레목 10.7%, 노린재목 3.0%, 나비목 1.8%, 잠자리목 1.5%, 매미목 0.7% 등의 비행성 곤충들이 조사되었다. 모든 둥지는 건물의 수직 벽과 지붕에 붙어 있었으며, 둥지의 외측 직경은 18.2±3.2㎝, 깊이는 9.8±3.1㎝, 둥지 내측 직경은 11.2±1.5㎝, 내측 깊이는 3.4±0.5㎝로 지면에서 평균 2.9±0.3m 높이에 위치하였다. 번식 둥지는 시멘트 벽(44.9%), 목재(23.1%), 벽돌(21.8%), 전등(6.4%)에 부착되어 있었다. 둥지의 이용률은 묵은둥지 39.0%, 생성둥지 61.0%로 나타났다. 제비는 암․수가 공동으로 둥지를 만들며, 소요되는 기간은 약 8일이었다. 영소활동이 집중되는 오전시간에 영소빈도는 14.2~31.0 trips/h 범위, 성별로는 수컷 10.2-19.8 trips/h, 암컷 4.0~11.4 trips/h를 보였다. 한배 산란수는 2~5개 범위로 평균 4.5개이었다. 평균 알 장경은 18.23±0.73㎜, 단경은 13.11±0.25㎜, 알 부피는 1.60±0.11㎤, 알 형태지수는 1.39±0.05, 알 무게는 1.69±0.15g이었다. 포란은 암컷이 전담하며, 포란기간은 평균 13일이었다. 포란시간은 이른 오전인 6시에 50.6±17.5 min/h 으로 1시간의 약 84%의 시간을 포란하는데 소비하였으며, 오전 7시에는 평균 24.5 min/h(40.8%) 하였고 그 이후로는 평균 15.6 min/h(26.0%)로 조사되었다. 부화 직후 새끼의 체중은 약 1.4~2.0g이었다. 부화 후 약 4~10일 사이에 급격히 성장하였고, 12~14일에는 체중이 평균 18.2g (15.8~20.5g 범위)이었다. 육추기간은 약 23일이었으며, 급이행동은 암․수가 공동으로 실시하였다. 주간시간에 급이 빈도는 총 385.2±66.9 trips/nest, 성별로는 수컷 219.2±37.1 trips/nest, 암컷 166.0±30.8 trips/nest로 나타났다. 부화 및 이소 성공률은 각각 89.1%와 84.5%이었다. 번식 실패의 주요 원인은 미수정란과 포식, 둥지훼손, 번식포기로 나타났다. 제비 둥지에서는 이(lice), 진드기(mites)의 체외기생충의 감염비율이 높았다. 새끼의 귀소율은 0~3% 사이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제비는 일부 산간지역과 도심지역을 제외한 국내 전역에 널리 분포하고, 제비 개체군도 최근에 안정된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 결과는 제비의 서식지 보존 및 종 관리에 필요한 자료로 널리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Author(s)
김상진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00
Alternative Author(s)
Kim, Sang Ji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Department
대학원 과학교육학부생물교육전공
Advisor
오홍식
Table Of Contents
List of Tables ⅳ
List of Figures ⅴ
ABSTRACT ⅶ
Ⅰ. 서론 1
Ⅱ. 연구사 3
1. 국외 연구 3
2. 국내 연구 4
Ⅲ. 연구방법 5
1. 연구지역 5
2. 연구기간 5
3. 도래 및 번식경과 7
4. 서식지 이용 및 잠재 먹이원 7
4.1 번식지 환경 7
4.2 행동권 8
4.3 잠재 먹이원 8
5. 둥지 특성 및 이용률 9
6. 알과 새끼 11
6.1 알 크기 및 한배 산란수, 포란․육추 기간 11
6.2 새끼 성장률 11
7. 번식행동 12
7.1 성별 구분 12
7.2 번식행동 조사 12
7.3 분석방법 12
8. 번식 성공률 13
9. 체외기생충 감염 현황 14
10. 귀소율 14
11.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설문조사 15
Ⅳ. 결과 및 고찰 16
1. 도래 및 번식경과 16
1.1 도래 현황 16
1.2 번식경과 16
1.3 고찰 17
2. 서식지 이용 및 잠재 먹이원 20
2.1 번식지 환경 20
2.2 행동권 23
2.3 잠재 먹이원 26
2.4 고찰 30
3. 번식생태 34
3.1 영소습성 34
3.2 알과 포란 44
3.3 새끼와 육추 49
3.4 번식 성공 56
4. 체외기생충 60
4.1 체외기생충 감염 정도 60
4.2 고찰 63
5. 귀소성 65
5.1 귀소율 65
5.2 고찰 67
6. 관리 방안 68
6.1 제비 분포 및 개체군 경향 68
6.2 서식지 요구조건 71
6.3 위협 및 제한 요인 73
6.4 관리 방안 78
Ⅴ. 결론 84
Ⅵ. 국문요약 87
Ⅶ. 참고문헌 89
Degree
Doctor
Publisher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Citation
김상진. (2017). 한국에 도래하는 제비(Hirundo rustica)의 번식생태 및 관리방안
Appears in Collections:
Faculty of Science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