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and Anxiety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종속변수인 학교폭력피해 경험과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연구문제 2. 자아탄력성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할 때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경로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J시 소재 중학교 4개교, 고등학교 2개교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응답에 소요된 시간은 약 15분이였다. 각 학급의 자율활동 시간에 담임선생님의 협조를 얻어 설문의 목적에 대해 안내한 후에 설문지를 배부하여 성실하게 응답하도록 하였다. 총 270명 중 무응답 문항이 많거나 동일한 번호로 응답하는 등 불성실하게 반응한 27명의 자료를 제외한 243부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서 사용하였다. 설문은 학교폭력척도, 불안 척도, 우울 척도, 자아탄력성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각 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순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과 불안 수준을 설명할 때, 자아탄력성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Baron과 Kenny(1986)에 의해 제시된 매개효과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 절차를 실시하였고, 유의성 검증을 위하여 Sobel(1982)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이 높을수록 우울과 불안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탄력성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를 매개효과를 살펴 본 결과 자아탄력성은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 및 불안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폭력피해 경험은 우울과 불안에 직접영향을 미칠 뿐 만 아니라 자아탄력성의 손상을 통하여 우울과 불안에 간접영향을 비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아탄력성은 개인․내부의 적응적인 성격자원으로서 기능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어려운 상황에서 스스로 자신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자아탄력성을 길러주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자아탄력성은 개인의 내부에서 적응적인 성격자원으로서의 기능을 한다는 것을 본 연구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으며 본인의 자아탄력성에 따라 위험한 상황에 대해 이겨낼 수 있는 중요한 개인 내적 변인임을 확인한 선행연구 (김정수 노성덕, 2003)와 같은 맥을 가지며, 고선(2009)의 선행연구 결과를 확인하였고,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향상 프로그램 내용을 제공하고 내적 자원인 자아 탄력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상담 및 효과적인 청소년지도 방법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depression and anxiety as well as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by exploring relation between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which is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research, and depression or anxiety. For this purpos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 no.1: What are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on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Research problem no.1: When ego-resilience acts as mediator variable, how does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victimization affect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by conducting a survey in four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s located in Jeju city, which took about fifteen minutes to fill out during period of self-regulated activities. With teachers' cooperation, the students were told to respond sincerely after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e survey. Among total 270 data sets, 243 data sets were used in final analysis, excluding 27 data sets with several non-response questions or the same number from beginning to end. The survey used school violence scale, depression scale, anxiety scale and ego resilience scale. Collected data sets were analyzed with SPSS 23.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in order to look at the average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each variable,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 among the variables. When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explains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to find out whether ego resilience acts as the mediator, this research used mediating effect analysis proposed by Baron and Kenny (1986). After conducting verifying procedure of mediating effect suggested by Baron and Kenny (1986), Sobel (1982)'s method was used for the significance test.
Based on the study conducted so far, this research concluded as following. First of all, as the answer to the question of what kind of effects adolescents'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has on depression and anxiety, the more the adolescents experience school violence,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depression and anxiety. Secondly, ego-resilience partly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the school violence and depression or anxiety, and the experience of school violence not only affects directly to the level of depression and anxiety but also indirectly by damaging ego resilience. Thus, ego resilience functions as internal accommodative personality of individual and therefore, cultivating ego-resilience that can make people help themselves in hard times is needed. This research concluded that ego-resilience functions as internal accommodative personality of individual, which complies with the advanced research (김정수 노성덕, 2003) which had confirmed that ego-resilience is important internal variable that can help overcome dangerous situation. This research is also in accordance with the advanced research of 고선(2009). This research can be applied when forming programs or effective consulting and teaching method that can improve adolescents' ego-resilience.
Author(s)
박지연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05
Alternative Author(s)
Park, Ji Yeoun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6
1. 학교폭력 6
2. 자아탄력성 9
3. 학교폭력과 우울, 불안 11
4. 학교폭력 피해, 자아탄력성, 우울, 불안의 관계 13
Ⅲ. 연구방법 17
1. 연구대상 17
2. 연구도구 17
3. 자료처리 및 분석 19
Ⅳ. 연구결과 21
1. 연구대상의 인구학적 특성 21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22
3. 주요 변인의 상관 23
4.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24
5.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26
Ⅴ. 논의 및 결론 29
1. 논의 및 결론 29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32
【참고문헌】 33
【부 록】 3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지연. (2017).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 경험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