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만 5세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Execution research for enhancement of storysharing class of 5-year old class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유치원 만 5세반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을 반성적 사고로 성찰하고 지식 전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에서 유아들이 주도성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해 교사가 실천한 양상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와 유아에게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자의 수업을 개선을 목적으로 하였기에 본 연구자는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28명의 유아와 함께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2017년 03월까지 8개월간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세그멘팅-주제어 짓기-유목화하기-연구 축 잡기-글쓰기의 과정을 거쳐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진행해 나갔다. 이런 과정에서 구체적인 교사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실천은 무엇인지, 수업 개선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는 이야기나누기 수업 시 항상 교사가 이야기 할 순서를 정해주거나 유아가 유아를 '지목'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지목하기'는 이야기나누기 보다 '지목받기'를 위한 시간으로 전락하여 이야기나누기 수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교사는 주제와 상관없이 28명의 유아들 모두 교사를 향해 앉도록 반원의 대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반원형의 수업은 유아들이 서로 상호작용하기 보다는 교사 대 28명 유아들의 대화에 가까웠다. 교사는 집단의 크기를 고려하지 수업 진행으로 유아들에게 참여 기회를 주지 못하였다. 많은 숫자의 유아들이 이야기나누기에 참여하다보니 상대적으로 1명의 유아가 이야기나누기 수업 때 발언하는 기회가 적었다. 또한 유아들은 많은 친구들의 이야기를 오랜 시간 앉아 들어줘야 하는 시간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교사는 지식전달에만 몰두하여 유아들의 흥미와 관심을 살피지 못하였다. 이야기나누기 수업에 문제점을 인식한 교사는 수업을 개선하고자 이야기순서 정하기를 교사에서 유아로 전환하였으며, 교사를 향한 반원 대형을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원형 대형으로 전환하였다. 또한, 집단의 크기를 줄여 유아들의 이야기나누기 참여 기회를 늘렸으며, '이야기꾼' 이야기나누기를 진행하며 지식전달에서 유아들이 이끌어나가는 이야기나누기 수업으로 바꿔나갔다. 교사는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의 노력을 통해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의미를 깨닫게 되었으며, 가르침의 의미를 알게 되었다. 그로인해 유아들은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주체가 되었고, 이야기나누기 수업 시간을 소통하는 시간으로 행복감을 느끼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행복한 이야기나누기 수업에서 유아들은 친구의 이야기를 저절로 경청하게 되었고, 친구들의 경청은 동기유발로 작용하게 되어 이야기나누기 수업이 기다려지는 시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유아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꺼내놓으며 자신의 존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제주시에 위치한 G유치원에서 연구자가 담임하고 있는 28명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행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사례만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단기적으로 진행하여 만 5세 희망반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후속 연구에서는 보다 장기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후속연구에서는 이야기나누기의 더욱 다양한 변인을 고려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hich is execution research, is to introspect story sharing class of 5-year old class of kindergarten through reflective thinking and to find practice ways for children to participate in story sharing class of knowledge delivery actively. Followings are the concrete research subjects to fulfill these purposes. First, what is the aspect that teachers practiced to improve story sharing class? Second, what is the meaning of story sharing class improvement for both of them, teachers and children? For this research,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with 28 children together who were taught by researcher. This research was proceeded for 8 months, from August. 2016 to March. 2017, as qualitative research to improve story sharing class.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following steps, ① segmenting. ② making subject words. ③ classification process, ④ grasping main structure of research, ⑤ writing process, and it proceeded the improvement of story sharing class. Through these steps, this research examined the meaning of class improvement and practice for concrete story sharing class improvement of teachers. As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the teacher only let one child to 'pointed out' other child or gave children the turn to tell their story when they had story sharing class. However, as teacher used 'pointing out', then the class did not go well for children only focused on being 'pointed out' rather focusing on sharing their story. Also, regardless of themes, teacher proceeded the class as letting the children sit in half moon shape to let them watch teacher. Sitting in half moon shape was almost same of talking teacher versus 28 children rather than communicating with each other. For the class progression that regardless of group size, teacher failed to give childre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ince large number of children were participating in story sharing, the number of each child's speaking opportunity was relatively low in story sharing class. Also, the class time became the time that children had to listen to other friends' story for long time. Lastly, since teacher only cared for delivering knowledge, he/she was not able to figure out the interests and attention of children. To improve the class, teacher who recognized the problems of story sharing class handed over the right for deciding story sharing order from teacher to children, and changed half moon shape of class, which was heading to teacher, to circular shape, which made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lso, by decreasing the size of group, teacher increased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tory sharing of children, and by proceeding story sharing of 'storyteller', teacher changed the story sharing class from delivering knowledge to the class that is led by children. For the effort to improve story sharing class, teacher realized the meaning of class, and meaning of teaching. Through this, children became main agents of story sharing class, and they started to feel happiness as they regarded story sharing class as time of communicating. The happy story sharing class let the children to listen for others automatically. Listening for others worked as motivation, so it made children to eagerly expect this class. But also, children put their own stories naturally and tried to show their existence.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for follow-up studies.First, this research was done as executive research which took target 28 children were attending G kindergarten in Jeju which was the researcher worked for. Therefore, it is quite irrational to generalize only by this case. Second, this research only examined class improvement process of 5-year old children's class named Hope in short term, so it is necessary for follow-up studies to have long term research. Third, the researcher expects for follow-up studies to consider more various variables of story sharing.
Author(s)
조인지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09
Alternative Author(s)
Jo, In J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이인회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3
Ⅱ. 이론적 배경 4
1. 이야기나누기 수업 4
1) 이야기나누기 수업의 개념 4
2) 이야기나누기의 중요성 5
3) 이야기나누기 운영 6
4) 이야기나누기 현황과 문제점 8
2. 수업개선 10
1) 수업개선 10
2) 수업반성 11
3) 수업반성을 위한 방법 12
Ⅲ. 연구방법 15
1. 실행연구 15
2. 연구 참여자 16
3. 자료 수집 및 분석 17
1) 자료수집 17
(1) 참여관찰 17
(2) 반성적 저널 18
2) 자료 분석 및 타당성 18
Ⅳ. 연구결과 및 해석 20
1.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교사의 실천 20
1) 이야기순서 정하기(수업의 주체)를 교사에서 유아로 전환하기 20
2) 교사를 향한 반원 대형을 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원형으로 전환 하기 25
3) 집단의 크기를 줄여 참여 기회 늘리기 31
4) 지식전달에서 유아들이 진행하는 수업으로 전환하기 35
5) 이야기나누기 수업개선으로 번져가는 다른 수업의 개선 46
2.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의 의미 47
1) 교사 47
(1)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의미 깨닫기 48
(2) 가르침의 의미 깨닫기 48
2) 유아 50
(1) 수업의 주체가 되어 가는 유아 50
(2) 소통하는 시간으로 행복감 느끼기 52
(3) 동기유발로 작용하는 친구의 경청 54
(4) 기다려지는 시간 56
(5) 이야기로 자신을 드러내고 싶은 존재 57
Ⅴ. 결론 및 제언 59
1. 요약 59
2. 논의 및 결론 60
3. 제언 64
참고문헌 65
ABSTRACT 69
부록 1. 연구동의서 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조인지. (2017). 만 5세반 이야기나누기 수업 개선을 위한 실행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