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 국내연구 메타분석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Meta-Analysis Methods of Variable Related to University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bstract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관련변인과의 관계에 대한 국내연구 결과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관련변인의 선택과 분류는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의 과정을 설명 할 수 있는 사회인지진로이론의 구인변인인 개인변인, 근접맥락변인, 자기효능감 변인, 목표변인과 대학생의 진로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구인 중에 하나인 자기개념을 변인군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연구는 2000년부터 2015년까지 출간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분석한 국내논문 중 150개의 연구가 포함되었으며 339개의 효과크기가 사용되었다. 효과크기의 분석을 위해 R프로그램을 사용 하였다. 먼저 출판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funnel plot를 실시하였으며, 효과크기 분석을 위해 상관계수를 효과크기 변환 값으로 사용하였다. 효과크기는 Cohen(1988)의 기준에 따라 해석하였으며, 효과크기에 대한 해석을 보완하기 위해 비중복백분위(U_3)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준비행동은 총 5개의 변인군과 19개의 관련 변인이 추출되었다. 변인군에서는 개인변인과 근접맥락 변인의 효과크기 수가 가장 많았으며, 관련 변인으로는 성별, 학년,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 변인이 가장 많은 효과크기 수로 분석이 되었다. 둘째, 전체 변인군 중 자기효능감 변인군이 큰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자기개념과 목표변인군이 중간크기의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개인변인군과 근접맥락변인군은 변인군 자체에 정적 효과와 부적 효과크기를 나타내는 변인들로 인하여 변인군의 효과크기가 미비하게 나타났다. 셋째, 진로준비행동의 관련 변인 중에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효과크기가 가장 컷으며, 탄력성도 큰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또한 희망,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 사회적지지, 부모지지가 정적효과를 나타내는 중간효과크기로 분석되었으며, 진로장벽은 부적효과를 나타내는 중간효과크기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하여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진로장벽과 같이 부적효과를 나타내는 변인도 있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 탄력성, 희망, 사회적지지, 부모지지 같은 정적 효과를 가지는 변인도 있으며, 그 변인들의 영향력이 더 높다는 것이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국내연구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하며, 진로상담 장면에 있어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을 제공하는 근거자료로 사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meta-analysis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results of domestic studies on a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For se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related variables, this study selected person inputs which is a construct variable of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proximity context variable, self-efficacy variable, goals variable, and self-concept variabl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construct variables in career development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Researches included in the analysis are the published theses from 2000 to 2015. 150 studies among domestic studies that specifically analyze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were included and 339 effect sizes were used. R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 size. This study conducted funnel plot to confirm bias of the publication, and used correlation coefficients as the conversion value of effect size for effect size analysis. The effect size wa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Cohen(1988), and calculated the non-overlapping percentile(U_3) to complement an interpretation of the effect size. The summary of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tal 5 variables and 19 related variables have been extracted fo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erson inputs and contextual influences to choice behavior variable had the largest number of effect size, and gender, grade level,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variable were analyzed to have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related variables. Secondly, among the whole variables, the self-efficacy variable showed great effect size, and self-concept and goals variables showed medium effect size. Also, the effect size of person inputs and contextual influences proximal to choice behavior variable was inadequate by variables that showed static effect and negative effect size on variables. Thirdl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greatest effect size among related variable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lasticity showed great effect size as well. Also, hope, ego identity, self-efficacy, career decision level, social support, and parent support were analyzed to be the medium effect size that shows static effect, and career barrier was analyzed to be the medium effect size that shows negative effect.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are variables that show negative effect as career barrier among variables that mak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but there were also variables that made positive effect a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lasticity, hope, social support, and parent support, and it has been identified that influence of these variables are hig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data that can comprehensively investigate results of domestic studie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to be used as a base data that provides direction for improv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career counseling.
Author(s)
박유리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14
Alternative Author(s)
Park, Yu R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최보영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4
Ⅱ. 이론적 배경 5
1. 진로준비행동 5
가. 진로준비행동의 개념 5
나. 진로준비행동의 연구동향 및 한계점 6
다. 진로준비행동의 선행 메타분석 8
2. 진로준비행동의 관련 변인 10
가. 진로준비행동과 개인변인 11
나. 진로준비행동과 자기개념 관련 변인 14
다. 진로준비행동과 근접맥락 관련 변인 15
라. 진로준비행동과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 18
마. 진로준비행동과 목표 관련 변인 20
3. 메타분석 21
Ⅲ. 연구방법 22
1. 연구대상 및 절차 22
2. 자료의 수집 및 선정 23
가. 자료의 수집 23
나. 자료의 선정 23
3. 자료의 처리 26
가. 자료의 코딩 26
나. 효과크기 산출 26
다. 효과크기의 분석 28
라. 효과크기의 해석 29
Ⅳ. 연구결과 31
1. 출판편향 31
2.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3
3. 변인군의 전체 효과크기 35
4. 개인변인의 효과크기 37
5. 자기개념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 39
6. 근접맥락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 39
7. 자기효능감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 41
8. 목표 관련 변인의 효과크기 41
Ⅴ. 논의 및 결론 43
1. 결론 요약 및 논의 43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7
Ⅵ. 참고문헌 49
Abstract 69
부 록 70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박유리. (2017).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 국내연구 메타분석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