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인간관계 및 업무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A Comparative Study on Human Relations and Task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of schools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내 국·공립 초·중등학교를 대상으로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인간관계 및 업무에 대한 인식 차이를 분석하고, 더 나아가 교육활동의 실질적인 저해 요인이 될 수 있는 두 조직 간 불명확한 업무에서 오는 갈등을 조정하고 건전한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학교문화를 이루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대한 인식차이는 어떠한가? 1-1.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인간관계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2.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합리적이고 실질적으로 인식하는 업무갈등 해소방안의 우선순위는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질문을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두 가지 연구방법을 수행하였다. 먼저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으며, 인터뷰는 반구조화된 면담(Semi-structured interview) 문항을 사용하였는데 학교현 장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업무영역이라는 문항으로 개발하여 교사 5명, 교육행정직원 5명을 대상으로 총 두 차례 걸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분석 결과를 토대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관계, 업무와 관련된 내용 및 두 집단 간 불명확한 업무 사례를 추출하고 예비문항을 구성하여 교육전문가와 개별문항에 대한 내용 검토를 거친 후 최종 설문 문항을 완성하였고, 설문지는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직접적인 비교·분석을 위하여 모든 문항을 동일하게 총 5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개발된 설문지는 2017년 3월 15일부터 4월 6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 내 국·공립 초·중·고교 교사 및 교육 행정직원 전체를 대상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메신저를 통해 온라인설문 (http://www.stat school.net/answer.jsp?a=4959)을 발송하여 답변을 수집하였으며, 그 결과 교사 244명(77.5%), 교육행정직원 71명(22.5%)이 설문에 응답하여 315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사적인 인간관계를 살펴보면, 전체적으로 서로 간 인간관계 개선에 노력한다는 공통적 경향을 보이고 교사가 서로 간의 인식에 유의미한 수준에서 교육행정직보다 긍정적 응답을 하였다. 반면, 교사들이 인식하는 정도와는 다르게 교육행정직원은 교사들의 인간관계 개선의 노력을 교사들의 인식보다는 것보다 낮게 인식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었다. 둘째,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관한 인간관계 전반적인 문항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교사의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고, 특히 교사는 수업 이외의 행정업무로 인하여 업무가 과중하다고 인식하고, 교육행정직원은 교육활동과 크게 관계되지 않는 행정업무는 교육행정직원이 처리한다는 인식의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학교에서 발생하는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불명확한 업무로 갈등을 빚는 업무에 대한 사례를 가지고 설문조사한 결과 두 조직 간 동일하게 교육행정직원이 업무로 인식하는 항목으로 학생복지의 교육급여 교육비 지원, 학교 회계의 인건비 산정 및 지급 요청, 인사복무의 교육공무직원 및 계약직원의 인사 및 복무, 안전의 시설 안전관리 및 점검, 기타의 문서분류 및 비전자문서 등록을 확인할 수 있었고 교사의 업무로 동일하게 인식하는 항목으로 나이스 운영 기관 마스터,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학적업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교원과 교육행정직원의 인간관계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학교 내 인간관계 및 업무가 원활히 추진되는데 필요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고, 교원과 교육행정직원 간 불명확한 업무분장에서 오는 갈등을 두 조직 간 인식을 비교함으로써 불명확한 업무사례에 대한 인식과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마찰과 갈등을 타개해 나갈 대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about human relations and work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in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Furthermore, the aim was to create a school culture that can coordinate the conflicts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and promote healthy developmen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perceptions of work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a school organization? 1-1. What is the perception of huma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1-2. What is the perception of the work between the teacher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2. What is the prioritized approach to resolving conflicts that are reasonably and practically perceived by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wo research methods were performed. First,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the school organization. Interviews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that were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question of the field of work of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the field. Two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teachers and fiv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work, and the unexplained cas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extracted and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composed, Th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an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a total of 50 items for the direct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public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in the Jeju Special Self - Governing Province from March 15 to April 6, 2017 through the online survey(www.statschool.net/answer.jsp?a=4959). As a result, 244 teachers (77.5%) and 71 administrative staff (22.5%)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terms of the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in the school organization, they showed a common tendency to try to improve human relations as a whole, and the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teachers' efforts. On the other hand, unlike the degree of recognition by teachers, educational administration staff showed tendency to perceive teachers' efforts to improve human relations lower than teachers' perception. Teachers' perceptions are higher at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s in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administrative staff in school organizations. Especially, the teachers perceive that the work is heavy due to the administrative work outside the clas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shows the tendency of the recognition that the administration work which is not related to the educational activity is handled by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Finally,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on the cases of conflict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at the school revealed that the education administrative staffs recognized the same tasks between the two organizations. The calculation of the personnel expenses of the school account and the request for payment, the personnel and service of the education official staff and contract staff of the personnel service, safety management and inspection of the safety facility, and other document classification and non-electronic document registration. As a recognized item, we were able to confirm the master of the administrative agency for good, and the work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urvey, it is possible to find out the necessary measures to facilitate human relations and work in the school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 of human relations between teachers and education administration staff, We can expect to find useful implications for identify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recognition of unclassified work cases and conflicts and to find alternatives to resolve various conflicts and conflicts.
Author(s)
황지영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16
Alternative Author(s)
Hwang, Ji Young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Advisor
김대영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Ⅱ. 이론적 배경 3
1. 학교조직의 개념 및 특성 3
가. 학교조직의 개념 3
나. 학교조직의 특성 4
2. 학교조직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특성과 역할 10
가. 교무조직과 행정조직의 특성 11
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의 역할 17
3.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갈등 27
가. 갈등의 개념 27
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업무에 대한 갈등 28
Ⅲ. 연구방법 35
1.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 35
2. 설문조사 36
Ⅳ. 연구결과 41
1. 학교조직에서의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인간관계 41
가. 사적인 인간관계 41
나. 업무에서의 인간관계 43
다.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 동일한 인간관계 인식 45
2. 학교에서 발생하는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불명확한 업무 사례 48
가. 학생복지 업무 사례 52
나. 학교회계 업무 사례 53
다. 인사 및 복무 업무 사례 55
라. 안전 업무 사례 57
마. 보건 업무 사례 59
바. 정보 업무 사례 60
사. 기타 업무 사례 61
아.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 동일한 인식을 보이는 업무사례 63
Ⅴ. 결론 67
▣참고문헌 71
▣영문초록 74
▣부록(설문지) 7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황지영. (2017). 학교조직에서 교사와 교육행정직원 간의 인간관계 및 업무에 대한 인식비교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Educational Consulting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