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성인 경마장 이용객의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f Adult Racecourse Visitors On Gambling Behaviors[: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Abstract
본 연구는 성인경마장 이용객을 대상으로 일상스트레스, 기본심리욕구, 도박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주 경마장 이용객 20세 이상 성인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443명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60부를 제외한 38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일상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언숙(2010)이 개발한 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도박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Ferris와 Wynne(2001)이 개발한 CPGI(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척도를 김아영, 차정은, 권선중, 이순묵(2011)이 한국판으로 제작한 PGSI(Problem Gambling Severity Index)을 사용하였고, 기본심리욕구를 측정하기 위해 Ryan과 Deci(2002, 2004)가 개발한 기본심리욕구 척도(BPNS; 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를 이명희와 김아영(2008)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자료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성인 경마장 이용객의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
(1986)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도박행동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일상스트레스와 도박행동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일상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는 부적상관을 나타났다. 또한 기본심리욕구와 도박행동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기본심리욕구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기본심리욕구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도박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에 대한 기초 자료로써 도박행동의 예방 및 상담 개입 방안을 수립하고 기본심리욕구 충족과 일상스트레스를 탐색하는 근거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daily str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ambling behaviors among adult visitors to a horse-racing course and, furthermore, to prove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gambling behavior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the research tool of questionnaire surveyed 600 adults over 20 years old visiting the Jeju horse-racing course named as "Let's Run Park Jeju". Among the 443 respondents to the questionnaire, 60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lack of sincerity, leaving the remaining 383 analyzed in this study. The Stress Scale developed by Lee, Eun-sook(2009) was applied for the purpose of measuring the daily stress level. By employing PSGI(Problem Gambling Severity Index) revised for Koreans by Kim, Ah-young et al (2011), whose original version was CPGI(Canadian Problem Gambling Index) developed by Ferris and Wynne(2001), the severity of gambling was diagnosed. In order to measure basic psychological needs, the Korean version of BPNS(Basic Psychological Need Scale) was implemented, which was translated by Lee, Myung-hee et al(2008). The BPNS was originally developed by Ryan and Deci(2002, 2004).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through the statistical software of SPSS 18.0.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With a view to proving the mediating effect of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f the adult visitors to the racing course, the four-step mediation effect test developed by Baron & Kenny(1986) was conducted together with Sobel test, whose aim was to prov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proved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aily stress,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gambling behaviors. In other words, daily stress and gambling behaviors shows positive relationship while daily stress and basic psychological needs showing negative relationship. Second, in the influence of daily stress on gambling behaviors, it is proved that basic psychological needs function as a partial mediator. In conclusion, although daily stress has a direct influence on gambling behaviors, it also do this in the an indirect way basic psychological needs plays a role of a mediator. I hope this study, as basis materials for investigating various elements relate to gambling behaviors, will be useful in establishing practical measures for the prevention of gambling behaviors and setting up related counselling strategies. My another hope is that this study will be applied as evidentiary material for exploring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daily stress.
Author(s)
이세자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19
Alternative Author(s)
Lee, Se ja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및 가설 5
3. 연구모형 5
Ⅱ. 이론적 배경 6
1. 일상스트레스 6
가. 일상스트레스의 개념 6
나. 성인의 일상스트레스 9
다. 선행연구동향 10
2. 도박행동 11
가. 한국의 사행산업 11
나. 도박행동의 개념 11
1)도박행동의 특성 12
2)성인의 도박행동 14
3)선행연구동향 14
다. 일상스트레스와 도박행동과의 관계 15
라. 선행연구동향 18
3. 기본심리욕구 19
가. 자기결정성 19
나. 기본심리욕구의 개념 20
1)자율성에 대한 욕구 21
2)유능성에 대한 욕구 22
3)관계성에 대한 욕구 24
다. 선행연구동향 24
라. 일상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의 관계 25
마. 일상스트레스와 기본심리욕구, 도박행동 간의 관계 26
Ⅲ. 연구방법 28
1. 연구대상 및 절차 28
2. 측정도구 31
가. 일상스트레스 척도 31
나. 도박행동 척도 31
다. 기본심리욕구 척도 32
3. 자료처리 33
Ⅳ. 연구결과 34
1. 주요 변인의 기술통계 34
2. 일상스트레스, 도박행동, 기본심리욕구의 상관관계 35
3. 일상스트레스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의 매개효과 36
4. 일상스트레스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하위변인(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의 매개효과 36
가. 일상스트레스와 도박행동의 관계에서 자율성 욕구의 매개효과 38
나.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관계에서 유능성 욕구의 매개효과 39
다.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관계에서 관계성 욕구의 매개효과 40
Ⅴ. 논의 및 결론 42
1.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 42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4
Ⅵ. 참고문헌 46
Abstract 60
부 록 63
부록 1. 일상스트레스 척도 65
부록 2. 도박행동 척도 66
부록 3. 기본심리욕구 척도 67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세자. (2017). 성인 경마장 이용객의 일상스트레스가 도박행동에 미치는 영향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