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의 구조적 관계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among the relational Aggression, Empathy Ability and Cyberbullying of Middle School Students[: An application of multi-group analysis across Smartphone usage time]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Cyberbullying 경향성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다중 집단 분석을 적용해 스마트폰 일일 사용 시간별 조절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서귀포시)에 있는 중학교 1, 2학년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437부를 회수해 39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관계적 공격성을 측정하기 위해 Marsee, Kimonis & Frick(2004)이 제작하고 한영경(2008)이 번역한 자기-보고형 또래갈등 척도(Peer Conflict Scale, PCS), 공감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s(1980)가 개발한 대인관계적 반응 지수(IRI :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와 Bryant(1982)의 공감적 각성 검사를 박성희(1997)가 번안한 척도, Cyberbullying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윤미선, 김명주, 박정호(2015)가 개발한 Cyberbullying 경향성 검사(CBTT : CyberBullying Tendency Test)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통해 빈도 분석, 상관 분석,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0.0을 활용해 확인적 요인 분석, 경로 분석, 다중 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의 구조적인 관계를 살펴보면, '관계적 공격성→공감 능력'과 '공감 능력→Cyberbullying 경향성' 간의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고, '관계적 공격→Cyber bullying 경향성' 간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이 Cyberbullying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 능력의 간접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관계적 공격성이 Cyberbullying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공감 능력이 부분 매개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관계적 공격성, 또래 관계 및 Cyberbullying 경향성의 구조적 관계에서 컴퓨터 사용 시간과 스마트폰 사용 시간에 대해 다중 집단 분석을 통한 조절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컴퓨터 사용 시간은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스마트폰 사용 시간은 유의미한 조절 효과가 있음이 검증 되었다.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Cyberbullying 경향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공감 능력이 매개 변수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검증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조절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 관계적 공격성 감소 및 Cyberbullying 감소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공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적인 부분까지도 살필 수 있는 연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aggression, empathy ability, and cyberbullying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 of controlling the daily use time of smartphone by applying multi - group analysis. For the study, 450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junior high schools in Jeju Island (Jeju city, Seogwipo city) were surveyed and 437 copies were collected and 395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measure relational aggressiveness, Marse, Kimonis & Frick (2004) produced self-report Peer Conflict Scale (PCS) translated by Han Young-kyung (2008) In order to measure the emotional awakening test of the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 and Bryant (1982) developed by Davis (1980) and to measure the Cyberbullying tendency, (CBTT: CyberBullying Tendency Test)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15). Data analysis for the study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one - way ANOVA using SPSS 18.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ath analysis and multiple group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Amos 20.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ional aggression → empathy ability' and 'empathy ability → Cyberbullying tendency' was found 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ational aggression', 'empathy ability', and 'cyberbullying' → Cyber ​​bullying tendenc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Second, indirect effects of empathy ability appeared in the influence of the relationship aggressiv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on Cyberbullying tendency. This implies that empathy ability ha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relational aggression on Cyberbullying tendency. Third, in the structural relation between relational aggression, peer relationship, and cyberbullying tendency, we checked the adjustment effect of computer use time and smartphone use time through multi - group analysis. However, the computer use time did no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regulatory effects. We confirm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ationship aggressiveness, empathy ability, and cyberbullying tendency of middle school students, verified that empathy ability plays a role as a parameter, and showed that the use time of smartphone shows a moderate effe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information on research that can be us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methods to improve empathy
Author(s)
이범석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22
Alternative Author(s)
Lee, Beom Seok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상담심리
Advisor
김성봉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문제 5
Ⅱ. 이론적 배경 6
1. 관계적 공격성 6
2. 공감 능력 8
3. Cyberbullying 경향성 10
4.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 경향성 간의 관계 14
5. 컴퓨터 및 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Cyberbullying 경향성 간의 관계 18
6. 연구 모델 23
Ⅲ. 연구 방법 26
1. 연구 대상 및 표본 수집 26
2. 측정 도구 27
3. 자료 분석 방법 32
Ⅳ. 연구 결과 34
1. 기초 통계 분석 34
2. 측정 모델 분석 37
3. 구조 모델 분석 41
4. 다중 집단 분석 45
Ⅴ. 논의 및 결론 52
1. 결과에 대한 논의 52
2. 연구의 의의 및 제언 55
참고 문헌 58
Abstract 71
부록 7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이범석. (2017). 중학생의 관계적 공격성, 공감 능력 및 Cyberbullying의 구조적 관계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Education > Counseling Psychology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