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학교 Repository

대학생의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Metadata Downloads
Alternative Title
Study on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dit Edu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제주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신용지식과 신용 사용경험 등에 따른 신용태도와 신용교육에 대한 중요성 및 필요성 인식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들의 인과적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신용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방법과 자료 개발 등 신용교육에 대한 계획 수립 및 시행에 유용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조사는 2017년 3월 21일부터 3월 31일까지 실시하였으며 941명에게 배부하여 828부가 회수되었으며, 그 중 기재내용이 부실하거나 신뢰할 수 없는 109부를 제외하고 71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요인분석, 카이검증, 빈도분석, t-test, 일원배치분산분석, Scheffe의 다중범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분산팽창계수,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86.4%가 신용교육 경험이 없다는 분석결과를 통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신용교육이 매우 부족한 실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신용교육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50% 이상은 합리적 소비와 신용 의미와 중요성에 대한 교육을 받았지만 나머지 내용들을 교육받은 대학생 비율은 교육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의 35% 미만이었다. 둘째,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은 26.0%이었으며 그 중에서 카드대금 납부를 연체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16.3%였다. 그리고 대학생의 36.0%는 대학생활 동안 채무경험을 한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그 중에서 현재 채무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은 25.3%였다. 채무경험이 있는 대학생 중에서 채무연체경험이 있는 대학생은 25.8%였다. 셋째, 제주지역 대학생들의 신용 사용에 대한 조건적 허용태도가 5점 만점에 3.39점이었고 신용 사용에 대한 부정적 태도는 5점 만점에 3.44점이었으며 신용결제에 대한 적극적 태도는 4.27점이었다. 넷째, 신용카드를 가지고 있는 대학생이거나, 현재 채무가 있는 대학생이거나, 채무연체경험이 없거나, 신용교육 경험이 있거나, 신용 사용의 부정적 태도를 가질수록, 신용 사용 후 적극적인 결제 태도를 가질수록, 신용교육 중요성 인식이 높을수록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용 사용에 대한 부정적 태도, 신용 사용 후 적극적으로 결제하는 태도, 신용교육 중요성 인식은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에 대해 매개요인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고 이들의 인과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올바른 신용태도 형성을 위한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erceived of importance and necessity of a sound credit attitude and credit education according to knowledge of credit processes and credit experience among college students in Jeju region. Moreover, it also intends to analyze the relative impact of factors affecting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a good credit education and analyze their causal effects. The study's result will provide useful reference material for planning credit education such as the method and material development to help effectively conduct sound credit educ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1 to March 31, 2017. The questionnaire was sent to 941 students and 828 were collected. Excluding 109 responses that were poor or not credible, 719 responses were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echniques such as factor analysis, chi verification,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multi-range test by Sheff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variance inflation factor,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18.0 program. Key results of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rvey results reported that 86.4% of college students have no experience of any credit education which indicates that there is great shortage of credit education among college students. Moreover, although more than 50% of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of credit education were educated in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rational consumption and credit, fewer than 35% received any education on other relevant subjects. Second, the percentage of students holding a credit card was 26.0%, and 16.3% of them had experience of failing to make payments. Moreover, 36.0% of students answered that they had experienced debt during their college years, and 25.3% of them still had debt. Among the college students with experience of debt, 25.8% had experience with failing to make payments. Third, college students in Jeju region received 3.39 out of 5 points for a conditional permissive attitude towards credit use, 3.44 points for a negative attitude to credit use, and 4.27 points for a favorable attitude to credit payment. Fourth,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dit education was higher among those students who had credit cards, who currently had debt, who had no experience of failure to meet demands for payment, who had experience of credit education, who had a negative attitude toward credit use, who had an active attitude towards making payments after credit use, and finally high among those who had a higher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dit education. Fifth, the results showed that a negative attitude toward credit use, an active attitude to payment after credit use, an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credit education were the mediating factors for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dit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relative impact of factors affecting awareness of the need for credit education and analyzed their causal effects. This study's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present measures to increase awareness in college students on the need for credit education in order to form the correct attitude towards using credit.
Author(s)
장민희
Issued Date
2017
Awarded Date
2017. 8
Type
Dissertation
URI
http://dcoll.jeju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8244
Alternative Author(s)
Jang, Min-hui
Affiliation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Department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Advisor
김정숙
Table Of Contents
국문초록 ⅵ
Ⅰ. 서 론 01
Ⅱ. 이론적 배경 04
1. 신용 및 신용교육 04
1) 신용에 대한 정의 04
2) 신용교육의 의의와 내용 05
2. 신용태도 07
3.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09
1) 일반적 특성 09
2) 교육경험 관련요인 11
3) 교육인식 관련요인 12
4) 신용태도 관련요인 13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6
1. 연구문제 및 연구모형 16
2. 측정도구 17
1) 일반적 특성 17
2) 신용 사용경험 17
3) 신용교육 중요성 및 필요성 인식 18
4) 신용태도 19
3.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21
4. 분석 방법 21
Ⅳ. 분석결과 및 해석 22
1.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2
2. 대학생의 신용 사용경험 및 교육 실태 24
1) 신용 사용경험 24
2) 신용교육 경험 및 인식 26
3. 대학생의 신용태도 29
1) 신용태도 실태 2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용태도의 차이 31
3) 신용태도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34
4. 대학생의 신용교육 중요성 인식 36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용교육 중요성 인식의 차이 36
2) 신용교육 중요성 인식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38
5. 대학생의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 40
1)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의 차이 40
2)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 영향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 42
6.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 영향요인들의 인과적 효과 44
Ⅴ. 결론 및 제언 47
참고문헌 51
Abstract 56
부록 58
1. 대학생의 신용교육 중요성 및 필요성 인식 실태 59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용지식 59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용카드 유무 60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용 사용경험 61
5. 회귀분석에 사용된 요인들의 상관관계 62
6. 설문지 63
Degree
Master
Publisher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Citation
장민희. (2017). 대학생의 신용교육 필요성 인식에 관한 연구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Educatiion
공개 및 라이선스
  • 공개 구분공개
파일 목록

Items in Repository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